• 제목/요약/키워드: Interview Image Makin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취업 면접 이미지메이킹에 나타난 면접 의상 디자인의 특징 분석 - 일반 사무직 예비 취업 여성 의상을 중심으로 - (Analysis Characteristics of Interviewee Custume Design in Job Interviewee Image-Making - focused on custume of pre-employed women-)

  • 이언영;이인성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5-271
    • /
    • 2010
  • This study aims at academically organizing fashion coordination methods for interview image-making, which have been attempted through seminars in companies and universities, through empirical studies including previous studies and surveys conducted by groups of experts. The methods of this study include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rough literature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such as one-to-one interviews and surveys of groups of experts in the areas of fashion and interview. Through these methods, this study examined elements of image-making characteristics of fashion for an interview, which are required for an interview,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interview image-making.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characteristics of proper clothes for an interview are as follows; Items of clothes: tailored, tuxedo, Chanel, Eton, blazer jackets, button-down and dress shirts, shirt waist, bow, Gibson blouses, tight, A-line, gored, pleats, flared skirts and straight, boot-cut and ankle pants. Color: achromatic colors including white, gray, black, navy, pink and yellow. Patterns: solid, stripe, and basket check.

심층면접법을 이용한 광주지역 보건 교사의 이미지 메이킹에 관한 인식 분석 (Analysis on Awareness of Make-up and Image-Making of the Health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by In-depth Interview)

  • 오서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82-788
    • /
    • 2022
  • Our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health teachers exhausted by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nalyzed the attitudes towards image-making through utilizing the job training at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n August 2022, where our study was able to obtain and analyze 3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teachers who participated. Image making is defined as playing a role in increasing self-esteem through outward appearances such as facial expressions and posture, personal color, makeup, tone, hairstyling, and fashion and impacting individuals inwardly to increase self-confidence. Therefore, there is a positive impact in providing an image-making program that considers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a health teacher. It had the effect of stress relief and aided in building a healthier self-image among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ur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ll participants had various concerns regarding their appearance and deemed that image-making was necessary, yet they needed to be more informed regarding the specific methods of doing so. Secondly, participants were mainly focused on purchasing makeup products for image making. Although participants showed interest in a personal color diagnosis, there needed to be more support in approaching the subject as the diagnosis was necessary from an expert. Third, participants stated that image-making should occur for their middle-aged selves when experienced in the field.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y would be more concerned with how others viewed them after gaining expertise. Hence, this study found that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health teachers greatly benefitted from image-making programs oriented to their careers and would also show an increase in job satisfaction.

BuddyMirror: 이미지 메이킹 서비스를 지원하는 스마트 미러 (BuddyMirror: A Smart Mirror Supporting Image-Making Service)

  • 조연정;심채린;장효원;진재환;이명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811-821
    • /
    • 2019
  • 사람에 대한 이미지 메이킹은 외모나 인상, 자신감 등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사람들은 이미지 메이킹을 위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서 거울이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거나 발표 연습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미러가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됨에 따라 스마트 미러가 거울을 대신하여 이미지 메이킹 도구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 미러는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는 거울의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카메라나 마이크 등 다양한 기기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메이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서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이미지 메이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미러 소프트웨어인 BuddyMirror와 이를 유연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전용 모바일 앱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BuddyMirror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발표준비, 모의면접, 스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용 모바일 앱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새로운 서비스를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 미러 개발 플랫폼인 MagicMirror의 모듈로서 구현하고 동작시키기 기법을 설명한다. 전용 모바일 앱은 사용자가 이미지 메이킹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발표 자료를 스마트 미러에 전달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라이프케어를 위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cessity and Activation Plan of Image Making Program for Life Care)

  • 윤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29-437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전문대학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에 관련된 교과과정의 필요성과 교육내용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의 면접지도와 예비 직장인에게 있어서 대인 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대학 교과과정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고, 이미지메이킹 교과목을 수강한 광주·전남지역 전문대학교 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 후 취업과 예비 직장인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이 필요하고,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위한 적합한 강의실은 일반 강의실,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실, 전용 강의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내용의 중요도는 태도(행동), 예절 및 인사법, 표정, 화법, 대인 관계법, 의복,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순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의 중요 요소는 표정,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태도(행동), 대인 관계법, 화법, 의복, 예절 및 인사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영향력 정도는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활성화 방안을 분석한 결과 적절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시점은 2학년부터이고, 교육시간은 한 학기 주 1회, 교과과정 구분은 교양이나 교양선택 과정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과내용은 예절 및 인사법, 메이크업 및 코디 방법, 취업 설명회, 기능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 국내 기업체 연수 순으로 나타나 예절 및 인사법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지도자는 전공교수를 희망하고, 교육방법은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매체를 희망한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육은 화법이나 목소리,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분석하는 교육, 어울리는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을 분석하고 실습할 수 있는 교육, 기업의 면접에 관한 교육, 워킹이나 자세교정에 관한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의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유권자 선호이미지 구축을 위한 여성정치리더의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about Fashion Designs to Establish the voter's favored Female Political Leader's Image through Survey Analysis)

  • 신지영;김숙진
    • 복식
    • /
    • 제66권7호
    • /
    • pp.154-170
    • /
    • 2016
  • The female leadership styles in the 21st century have been established as a major axis. Especially, the fashion of female politicians being exposed to the public during political activities has become a main element of a measure displaying visually female leadership styles in the 21st century and image making as well. Consequently,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interview method to figure out regular voters' thoughts in depth about images being required for female political leaders and the fashion maximizing those images, and drew the detailed design elements. Suggesting the clothes design reflecting those elements for female political leaders by 3D virtual clothing works emerging as a new market creating profits related to fashion. The images which female political leaders have to have and were extracted through the interviews in this study, showed as feminine, strong leader, honest, and intelligent images, and also it was shown that female political leaders displaying proper imag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using those images in politics rather than sticking to a fashion identity were favored by interviewees.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being used as basic data of various research and fashion items of virtual reality and establishment of successful fashion strategy for female political leaders.

현장연구를 통한 다인용 병실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Ward for multi-patients through Ethnographic Field Study)

  • 권영미;정연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33-4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ighten the reusing rate of hospital making its good image ultimately and giving a feeling of satisfaction to the patients, and to suggest more pleasant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wards which the patients are spending 24 hours a day from the view of nurse. The field study was in medical ward of the C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rough ethnographic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ward model for 4 patients was developed so as to be able to have their own area in consideration of privacy and improvement of life level & consciousness level of patients.

  • PDF

여대생의 신체상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Perception on Body Ima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오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89-300
    • /
    • 2014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에 대한 인식을 그들의 시각에서 그 의미를 확인함으로써 긍정적인 신체상을 안정적으로 정립하는데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12년 10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수집하였고 수집방법은 포커스 그룹을 활용하여 심층면담 및 참여 관찰을 사용하였다. 각 포커스 그룹 별 구성원은 3명~4명으로 집단 구성원간의 친숙도를 고려하여 현상에 대한 진술이 포화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경험의 진술이 반복되는 시점까지로 총 3개 집단, 10명이 참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Giorgi(1985)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참여자가 진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확인한 여대생의 신체상 인식에 대한 의미구조는 12개의 주제와 5개의 중심의미로 분류하여 일반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여대생의 신체상 인식에 관한 의미구조는 "건강한 성격", "건강한 신체", "인위적 몸 만들기", "사회적 편견", "이상적 신체를 향한 개성 존중"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여대생이 긍정적인 신체상을 정립하고 신체상 관련 건강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조화로운 대인관계를 맺는 기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왜곡된 신체상에 대해 인식하고 자신만의 개성을 찾고 그 가치를 인식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의류수출업체의 3D 디자이너 직무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3D Designer Jobs in Fashion Vendors)

  • 최영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04-514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extract and structure the job skills required for 3D designers, which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to the fashion industry. The study aimed to materialize and objectify the 3D designer's job,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for the survey. The 3D designer has the TD task of making 3D virtual samples using the pattern files developed in Pattern CAD. Graphic design and fabric digitization are also major tasks for the 3D designer. CLO is mainly used for 3D virtual sample production, and PixPlant, Substance, Photoshop, Cinema 4D, Daz studio, and 3ds MAX are used for image and avatar editing. As per the job skills required for 3D design work, basic knowledge about patterns and sewing, skill in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ability to use various software, and English skills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that order. In particular, the need for knowledge about patterns and sewing became more important than the skill in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itself. To train 3D designers, it was found that not only 3D virtual clothing software, but also education on patterns and clothing construction, CAD developer's curriculum certification system, and 3D designer qualification management were required. In addition, 3D designers are recognized as an essential job in fashion vendors, and the demand for domestic brands is increasing. The biggest limitation of the 3D virtual clothing system is the perfection of the digital fabric. Also, technical improvement is needed.

간호사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사례연구 - 고려대학교 의료원의 일반 간호사복 및 수간호사복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s for Nurses' Uniforms - Focusing on the Uniforms for Staff Nurses and Head Nurses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s -)

  • 이윤정;이예영;성화경
    • 복식
    • /
    • 제59권10호
    • /
    • pp.22-37
    • /
    • 2009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an example of a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to designing nurses' uniforms. Uniforms for the staff nurses and head nurses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s were designed through the following four steps: research and analyses, design direction establishment, design presentation, and final decision. For the research and analyses, a focused group interview with 14 head nurses were conducted before the actual questionnaires were formed and distributed to 200 nurses at the medical centers. The data collected from 182 among 200 subjects were able to b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As a result, the majority of nurse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esent nurse uniforms. They preferred pants to skirts, and straight pants to tapered pants. Blouses or jackets that slightly cover hips with sleeves reaching above the wrists were also preferred. Many respondents wanted uniforms that were practical and easy to manage. The ideal image of nursing uniforms were feminine, lively, active, light, cool, simple, and modern. According to the research and analyses result, design directions were established and uniform designs were presented to head nurses. Uniforms were designed based on symbols of Korea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s. Colors including white, pink, and grey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e ideal image of nursing uniforms designated by the respondents. Fabrics including polyester(95%) and spandex(5%) blends, polyester(48%), rayon(48%), and spandex(4%) blends, and cotton(100%) were used for making garment samples. Final designs were decided by selecting and modifying the designs presented to the head nurses.

스포츠용품에 있어서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 제품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that brand image in sports equipment gets in consumer product purchase)

  • 윤선영;전성복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385-394
    • /
    • 2003
  • 현대 시장의 경향은 '기업은 제품을 팔고 소비자는 브랜드를 산다'라는 브랜드 전략을 나타내고 있다. 브랜드는 소비자의 요구와 경험을 반영하고 연출하는 제품과 소비자를 연결시키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성공적인 브랜드는 경험적인 미학적 전략을 지향하게 되었고, 소비자는 브랜드를 색다른 경험으로 인식하고 하나의 고정된 관념(인식)으로 떠올리게 된다. 많은 기업들은 막대한 홍보와 광고비용을 절감하는 최소의 투자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고자 한다. 구매시점에서 소비자와의 직접적 대면을 통해 제품 브랜드에 대한 인상을 각인시키고, 구매를 유도하는 기능을 하며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브랜드 이미지의 시각표현은 브랜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소비자의 마음에 고정된 하나의 인상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일단 긍정적인 인상으로 자리잡은 브랜드는 소비자의 기억으로 인출되어 별다른 정보 없이 브랜드만으로 구매에 이를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시각적 표현의 해결은 브랜드 이미지의 핵심적 요소로서 브랜드의 로고 및 마크를 중심으로 한 시각화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커뮤니케이션 요인이라 하겠다. 이는 제품과 관련이 깊은 방향으로서의 디자인적 방향성을 가지게 될 뿐 아니라 브랜드의 언어적 특성과 그 연상성에 기반을 둔 시각 언어적인 의미 전이의 방법들로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장경제를 형성하는 스포츠용품의 브랜드 이미지분석과 소비자 제품구매와의 관계를 이론 적 고찰하여 이를 효과적이고 일관성 있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