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abilitie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2초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learning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 Lee, Mi-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45-15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meaningful change in the learning percep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nursing students after completing clinical practice. Participants were 32 nursing students in the third grade.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learning perception. The analysis of data was analyzed by SPSS 21 Versio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Pearson's relation, and differences of variables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clinical practice, interpersonal 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earning outcomes (R =.351, p =.049). The interpersonal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improved significantly(t =2.264, p =.13) after completion of clinical practice. Nursing colleg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ir interpersonal abilities had improved after comple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abilities was statistically supported. Considering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linical practice related stress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it was meaningful that the interpersonal ability improved after the clinical practice.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abilities and learning perception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on education that will enhanc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clinical practice and improve their learning outcomes.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능력이 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n department satisfaction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이종렬;김혜진;고효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47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n department satisfaction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n Busan and Ulsan from March to May 2013. Results : Self-esteem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r=0.487, p<0.001) and department satisfaction (r=0.308, p<0.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influence on department satisfaction (r=0.347, p<0.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positive relations with aptitude for dental hygienics(p<0.001), satisfaction with school facilities(p<0.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p<0.001), choice motive for dental hygiene(p<0.05), self-esteem(p<0.05), and gender(p<0.05). Conclusions : To improve the department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by group counseling and active communication program.

Effects of Elderly's Anger Manage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Mediating Effects of Generativity

  • JOO, Min Kyoung;JUNG, Myung Hee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9호
    • /
    • pp.37-4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in the elderly affected anger control abilitie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generativ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ger control abilities, and self-integr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consisted of randomly selected 300 elderly people currently residing in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senior citizens colleges,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other centers in the Seoul or Gyeonggi area. SPSS 23.0 was utilized for this study.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anger control ability and self-integration was observed. Not only that,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n anger control and self-integra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generativity, was also closely examined. Conclusion: Anger control ability was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Anger control ability had a direct and positively correlated effect on self-integration. Additionally, ability to control ang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generativity, and generativ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ger control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generativity, and genera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integration.

일부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pathy Abil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선주;김한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4-313
    • /
    • 2013
  • 본 연구는 치위생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편의 추출된 충청북도 소재 3개 대학교, 대전광역시 1개 대학교, 경상남도 1개 대학교로 578명의 치위생(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4월 1일부터 5월 7일까지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 평균은 $3.23{\pm}0.49$점, 의사소통능력의 총점은 $85.80{\pm}10.12$점, 공감능력의 총점은 $83.27{\pm}8.37$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능력은 연령(p<0.001), 학년(p<0.001), 임상실습경험(p<0.001), 전공만족도(p=0.016, p=0.018, p=0.04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능력은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및 각각의 하위 항목들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강하게 보였다(p<0.01). 4.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연령(p=0.037), 임상실습경험(p<0.001), 의사소통능력(p<0.001), 공감능력(p<0.001)이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7.2%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은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성인기로의 발달 과정을 거치고 있는 미래의 보건의료인력인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원만한 대학생활과 성공적인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 이들 변수를 고려한 교과과정 개발 및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유능감, 대인관계능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rrelation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oci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Abilities - With a focus on college students -)

  • 이소은;장정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68-177
    • /
    • 2019
  • 본 연구는 외모만족도, 사회적 유능감, 대인관계능력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2018년 12월 3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A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여 총 223명이 분석 대상이 되었다. 연구 결과 사회적 유능감은 대인관계능력, 외모만족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유능감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좋고 외모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유능감, 대인 관계능력, 외모만족의 하위영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하위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외모만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of College Students on Basic Skills)

  • 이재한;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1호
    • /
    • pp.51-56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는 20대 대학생으로 남학생(34.6%), 여학생(65.4%)으로 총 8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첫째, 대인관계능력에 따라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리더십능력은 이성관계(p<.001, ${\beta}=.378$)와 개인교우관계(p<.01, ${\beta}=.238$), 갈등관리능력은 학과대인관계(p<.01, ${\beta}=.313$), 협상능력은 개인교우관계(p<.05, ${\beta}=.267$)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능력이 리더십능력에 대한 상관관계는 개인교우관계-리더십능력, 리더십능력-이성관계, 학과대인관계-리더십능력으로 대인관계능력이 리더십능력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차이는 리더십능력은 남학생(M=3.90), 여학생(M=3.58), 갈등관리능력은 남학생(M=3.59), 여학생(M= 3.54), 협상능력은 남학생(M=4.16), 여학생(M=3.79)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별 대인관계능력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4C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Jang, Kyeung-Ae;Lee, Jung-Hwa;Kim, Ji-So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9-118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4C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It also examined how interpersonal competence can be enhanced b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so that the 4C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can be improv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May 2019 on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Busan, South Korea, and 177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ere calculat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ir degree of 4C core competencies and interpersonal abilities were expressed as means (±standard devi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4C core competencie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e factors affecting the 4C core competencies as; (a) communication ability was affected by interpersonal cognition and confidence building; (b) critical thinking ability was affected by person-oriented, self-expression, and confidence building; (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was affected by self-confidence, person-orientation, self-expression, and confidence building, and (d) cooperative self-efficacy was affected by person-oriented and confidence building.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atic program items and education systems that can effectively develop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thereby improve 4C core competencies among students.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그리고 가정연계 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Self-efficacy to Enlist Parental Involvement on Parent-Teacher Partnerships)

  • 김유정;박지혜;안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1-8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ways this influences their abilities to promote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s. 266 early child 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teacher partnerships,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ere measured by means of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selected elements of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teacher partnershi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type and quality of parent-teacher partnerships. In conclusio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teacher partnerships seems heavily dependent upon the quality and personal abilities an belief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dergraduates' Self-Directed Learning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 최민경;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07-212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학 중인 대학생 341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학교생활만족도, 대인관계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학습의 하위요인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연령이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요인의 학습자신감, 학습열정, 학습책임감 순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연령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학습책임감, 학습열정, 학습자신감 순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긴밀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대학 교육 현장에서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생에 대한 교육 서비스, 학습 지원 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일부지역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및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Body Imag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Regions)

  • 김한홍;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337-347
    • /
    • 2013
  • 본 연구는 치위생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4월 1일부터 5월 7일까지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평균은 $2.79{\pm}0.42$점, 신체이미지 평균은 $2.85{\pm}0.53$점, 대인관계능력 평균은 $3.23{\pm}0.48$점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은 외모만족도와 그 하위영역인 신체강도 및 신체이미지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년(p<0.001), 학제(p=0.005), 임상실습경험(p=0.006), 외모만족도(p=0.003), 신체이미지(p=0.002)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5.6%였다. 위의 결과에서와 같이 외모만족도와 신체이미지는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바람직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자신의 외모와 신체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이고 올바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