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명훈 외 2, "대학생의 진로 관련 인식, 직업기초능력, 직업가치",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
2 |
이승희,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한 전문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사례연구", 직업교육연구, 2013.
|
3 |
안광식 외 2, "대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관한 연구, 직업가치",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
4 |
조붕환, 박미진, 강윤주, 양종국, 정민선, 임경희, "기초직업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2012.
|
5 |
박동열,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
6 |
문새롬,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7 |
배순원,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8 |
박수정,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그룸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9 |
구슬기, "일반화부분점수모형에 의한 대인관계능력 진단도구의 문항특성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0 |
정철영 외4, "직업기초능력 강화방안",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 보고서 , 2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