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of media things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초

Beginning of a New Standard: Internet of Media Things

  • Kim, Sang-Kyun;Sahu, Nevadita;Preda, Marius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1호
    • /
    • pp.5182-5199
    • /
    • 2017
  • Recently, Internet of Things (IoT) drives a large variety of research, development, and new type of markets. All type of devices and sensors will be part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will be able to communicate not only plain data, but also audio-visual, olfactory, and haptic media data. In addition, as the devices and sensors getting smarter,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y can process acquired media and metadata to extract higher level of information (e.g., semantics). To support such enhanced functionalities, ISO/IEC SC29 WG11 (MPEG) starts a new standard project, ISO/IEC 23093, called Internet of Media Things (IoMT) to provide standard data formats and APIs for media things. This paper presents the standardization activities of IoMT focusing on explaining terms, standard scopes, and major media things with their use cases. One of the use cases, an IoT system for a blind pedestrian navigation assistance, is evaluated to prove its effectiveness.

Mission Description Structure for Autonomous Collaboration of Media Things

  • Chun, Jonghoon;Kim, Sang-Kyun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1034-1042
    • /
    • 2022
  • Internet of Media Things (IoMT) aims to provide intelligent media services to users by connecting (media) things to each other and exchanging media data. The mission given by the user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intelligent media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o achieve this, ISO/IEC 23093-5 started standardization work on the mission data given by the user to the media thing and the media thing controller (MController) that controls the media things.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tents of ISO/IEC 23093-5.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마케팅의 성공: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의 사례 (A Service Marketing Success Using Internet of Things: The Case of Cleveland Museum of Arts in the United States)

  • 주미경;김명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49-555
    • /
    • 2016
  • 이 논문의 목적은 미술관 방문 및 참여 증가 요인이 사물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마케팅 강화에 있다고 보고 이론적 관점에서 사물인터넷 도입 후 제공된 클리블랜드 미술관 서비스의 내용과 그로 인한 결과는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한국의 예술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분석을 위하여 저널논문, 통계, 기관 및 정부의 보도자료, 뉴스기사, 웹문서, 웹페이지 기사를 수집하여 참조한다. 분석결과는 첫째,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의 적용은 미술관 방문 및 재원 창출에 긍정적이다. 둘째, 사물인터넷의 도입은 미술관의 '교육', '접근성', '의사소통' 서비스의 강화는 물론 체험을 활성화시켜 온 오프라인 참여를 증가시킨다. 셋째,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방정부의 자금지원과 관련업체의 기술지원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결론으로 사물인터넷 불모지나 다름 없는 국내 미술관에 관람객의 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이와 같은 디지털기술의 적극적인 도입을 제안한다.

Prototype Design of Mass Distributed Storage System based on PC using Ceph for SMB

  • Cha, ByungRae;Kim, Yongil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3호
    • /
    • pp.62-67
    • /
    • 2015
  • The trend keywords in ICT sector will be Big Data, Internet of Things, and Cloud Computing. The rear end to support those techniques requires a large-capacity storage technology of low-cost. Therefore, we proposed the prototype of low-cost and mass distributed storage system based on PC using open-source Ceph FS for SMB.

사물인터넷에서 미디어 콘텐츠 연동을 위한 양방향 DLNA 어댑터 (Two-way DLNA Adaptor for Interconnecting Media Contents in Internet of Things)

  • 임형준;이규철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06-710
    • /
    • 2014
  • 사물인터넷(IoT)은 사람과 사물이 상호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이 가능하다. DLNA는 오디오/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는 표준으로 사물과 연동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기반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사물인터넷의 웹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다양한 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양방향으로 연동하기 위한 양방향 DLNA 어댑터를 제안한다. DLNA 어댑터는 DLNA 기기의 서비스를 가상의 웹서비스로 변환하고 외부의 가상의 웹서비스를 DLNA 서비스로 변환하여 양방향성을 지원한다.

IoMT 표준 기반 Object Detection 서비스 제공을 위한 미디어 분석 서비스 운용 기술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bject Detector based on IoMT Standard)

  • 금승우;문재원;김영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96-297
    • /
    • 2019
  • 최근의 IoT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형상, 네트워크 특징 및 서비스 아키텍쳐를 가지는 IoT 기기, 서비스 및 단말을 활용한 서비스의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특히 OneM2M, OCF 등의 표준기구등은 다양한 IoT 기기 및 서비스 아키텍쳐에 대한 정의를 최근 수년간 진행해 오고 있으며, 이러한 IoT 서비스는 단순히 기기의 원격 상태 확인 및 제어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및 AI 기술과의 연계를 통하여 그 서비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 중에 있다. 이 중 Internet of Media Things 표준은 다양한 미디어 기반 서비스를 Thing으로 표현하여 다양한 Thing과의 연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다양한 기법을 통하여 연구 및 구현되고 있는 영상 기반 서비스를 Internet of Media Things 표준 기반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 영상 분석 기술은 대부분 정확도의 향상에 그 목적을 가지고 있어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고 타 기기와의 연계성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술간 연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Yolo v3 기반의 Face Detection 기술에 대하여, 해당 기술을 Internet of Media Things 표준으로 표출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실제 구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검토한다.

  • PDF

Open Hardware Platforms for Internet of Things : Evaluation & Analysis

  • Seo, Jae-Yeon;Kim, Myung-Hwi;Jang, Beakch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47-53
    • /
    • 2017
  • In this paper, we present open hardware platforms for Internet of Things (IoTs) emphasiz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We introduce six representative platforms, Raspberry PI, Arduino, Garileo, Edison, Beagle board and Artik. We define important performance issues for open hardware platforms for IoTs and analyze recent platform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issues. We present recent research project using open hardware platforms introduced in this paper. We believe that this paper provide wise view and necessary information for open hardware platforms for Internet of Things (IoT).

사물인터넷 환경 기반의 문화재 학습 시스템 (A Learning System for Cultural Asse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 이은미;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37-3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oT(Internet of Things) 환경 기반의 문화재 학습 시스템 기술을 제안한다. 각 상황에 해당하는 시스템 모듈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재에 대한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 제공하여 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문화재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이해관계를 제공한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으로 국민의 문화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보 기술의 발전을 활용한 지식 정보 기반의 문화재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 PDF

사물인터넷 서비스 접근제어를 위한 리소스 서비스 관리 모델 구현 (Resource management service model implemen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s access control)

  • 김진보;김미선;서재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3호
    • /
    • pp.9-16
    • /
    • 2016
  •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형태는 셀 수 없이 많으며, 현재도 여러 기관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이나 프로토콜을 만들어 내고 있다.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 서비스 접근제어를 위한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리소스 서비스 모델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사용자가 접근하고자 하는 리소스 서비스를 LCRS(Left Child-Right Sibling) 트리를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리소스 서비스 토큰을 이용하여 서비스에 대한 접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사물인터넷의 국제표준화를 위한 핵심 실험 (Core Experiments for Standardization of Internet of Media Things)

  • 정민혁;이경식;김상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79-588
    • /
    • 2017
  • 최근 네트워크 환경의 발달로 인해 사물인터넷 시장이 확대되고 있어 사물 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포맷 및 API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이에 국제 표준화 기구인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에서는 MPEG-IoMT(ISO/IEC 23093) 프로젝트를 신설해 사물인터넷 관련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MPEG-IoMT는 핵심실험(Core Experiment:CE)을 수립해 데이터 교환 절차, 마크업 언어, 통신 방식 등 전반적인 데이터 교환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EG-IoMT의 핵심실험 중 핵심실험 1 MPEG-V 센서에 기반한 센서 API 설계, 핵심실험 2 MPEG-V 감각효과에 기반한 구동기 API 설계, 핵심실험 4 IoMT 데이터 표현을 위한 MPEG-21 디지털 아이템, 핵심실험 5 JSON과 RESTful API의 분석에 관해 살펴본다. 센서의 성능 정보와 센서데이터, 구동기의 성능 정보, 제어 명령의 교환 절차를 설명하고 미디어의 부가 데이터의 교환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마크업 언어와 통신방식을 실험을 통해 비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