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of Things

검색결과 2,747건 처리시간 0.039초

Paradigms of Information Innovation 3.0 for Hyper-connectiv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with Extended Technological Organization Environment Framework

  • Murtaza Hussain Shaikh;Armigon Ravshanovich Akhmedov;Muzaffar Makhmudov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14-21
    • /
    • 2023
  • Rec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lready opened up new prospects for technology groups, especially in a knowledge-based society. A contemporary technological era, which can be stated as the hyper-connective Internet of Things surpassed the traditional service pattern and innovation pattern by conveying personalized, localized, and con-text-aware services close to different actors and users. The conventional boundary of the organization is disbanding as well as traditional innovation and research & development limits. This research article conducts a preliminary study about the hyper-connectiv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portent with innovation 3.0 version based on an extended technological organization environment framework (E-TOEF). This article discusses the emergence of innovation 3.0 as a paradigm shift from a manufacturing paradigm to an actor-oriented paradigm. There is a need to shift from a manufacturing mindset to more user ergonomics and be aware of the potential of hyper-connective IoT on the revolution of innovation patterns to be more cooperative, open, and user-centered. Besides, this article would strain some conceptual approaches for the next-generation innovation paradigm known as "hyper-connective IoT" entitled innovation 3.0. This new innovation version goes beyond open innovation and undeniably clearly beyond closed innovation which was an earlier version.

사물인터넷에서 시각 정보 관리 체계 (A Preliminary Study on Time Awareness in the Internet of Things)

  • 황소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7-219
    • /
    • 2016
  •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은 기존의 유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요소로는 유형의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각종 서비스 분야와 형태에 적합하게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거나 기술을 융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 핵심이며 이러한 기술을 실현하는데 있어 시각 정보 및 시각 동기 기술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시스템과 기존 인터넷에서 시각 유지 기법을 분석하고 사물인터넷에서 시각 정보 관리에 필요한 요소 기술과 시각 관리 체계를 제시한다.

  • PDF

IoT-enabled Solutions for Tour Photography Services

  • Jeong, Isu;Baek, Seungwoo;An, Eunsol;Kim, Yujin;Choi, Jiwoo;Yun, Jae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27-13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관광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소규모 투자와 최소한의 인력만으로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관광 사진 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기반 솔루션을 제안한다.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국제 IoT 표준인 oneM2M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IoT 카메라를 구현하고 이 과정에서 센서 및 액추에이터들을 oneM2M 표준 디바이스로 변환이 가능한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포토존에 설치된 IoT 카메라는 oneM2M 기반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웹앱 인터페이스를 통해 앵글 조절이 가능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전달할 수 있다. 관광지 밖에서도 사용자에게 부여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촬영했던 사진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솔루션을 발판으로 복합 서비스 산업 중 하나인 관광 분야에서도 IoT 관련 기술들이 보다 활발히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Auto plant control system by using Arduino

  • Chowdhury, Deb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6
    • /
    • 2013
  • In the era of information society, IT industry has been developed very much. New technology has made appearance in citizens' lives. IOT (Internet of Things) has grown up the most rapidly in IT industry. Kevin Ashiton, MIT specialist, said, "Loading of FRIS and other sensors shall build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is said to let things have sensor and communication module and to exchang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each other. In this study, Internet of things has been applied to flowerpot to build automatic flowerpot control system that turns fan ON and supplies water depending upon temperature and moisture. Users are difficult to cogniz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flower pot correctly. In this study, an experiment obtained correct valu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to build control system. At the performance test of flower pot, commands turned ON depending upo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system should be added to control water supply quantity and time objectively according to servo motor control. Purpose of further study was to control flower pot by remote system in connection with smart phone application. An application control can make not only temperature and humidity statistics but also server depending upon users' needs to turn fan ON and take actions and to control flower pot.

사물인터넷(IoT) 환경을 위한 안전한 그룹 키 관리 기법 (Secure Group Key Agreement for IoT Environment)

  • 이수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21-127
    • /
    • 2016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화로 Wi-Fi, LTE 등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사용률이 대폭 증가한 반면 유선인터넷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듯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사람과 사람뿐만이 아니라 사람과 사물간의 통신, 사물과 사물간의 통신인 사물인터넷의 범위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의 빠른 확산과 함께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에 대한 우려도 크게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키 분배와 관리에 대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키를 분배하지 않고 그룹에 속한 사물이 자신의 비밀 정보와 공개 값을 가지고 계산한 그룹 키를 사용하여 그룹 멤버 사이에 안전한 그룹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A Classification-Based Virtual Machine Placement Algorithm in Mobile Cloud Computing

  • Tang, Yuli;Hu, Yao;Zhang, Lianm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5호
    • /
    • pp.1998-2014
    • /
    • 2016
  • In recent years, cloud computing services based on smart phones and other mobile terminals have been a rapid development. Cloud computing has the advantages of mass storage capacity and high-speed computing power, and it can meet the needs of different types of users, and under the background, mobile cloud computing (MCC) is now booming. In this paper, we have put forward a new classification-based virtual machine placement (CBVMP) algorithm for MCC, and it aims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virtual machine (VM) allocation and the disequilibrium utilization of underlying physical resources in large cloud data center. By simulation experiments based on CloudSim cloud platfor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ew algorithm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VM placement and the utilization rate of underlying physical resources.

Global Optimization for Energy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by Game Based Distributed Learning in Internet of Things

  • Ju, ChunHua;Shao, Q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0호
    • /
    • pp.3771-3788
    • /
    • 2015
  • This paper studies the distributed energy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pport the IoT without limitation of distance and location, which significantly impels its development. We study the communication channel and energy management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ed IoT to improve the ability of connection, communication, share and collaboration, by using the game theory and distributed learning algorithm. First, we formulate an energy efficient neighbor collaborative game model and prove that the proposed game is an exact potential game. Second, we design a distributed energy efficient channel selection learning algorithm to obtain the global optimum in a distributed manner. We prov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ill asymptotically converge to the global optimum with geometric speed. Finally, we make the simulations to verify the theoretic analysis and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사물인터넷을 위한 백앤드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ckend as a Service for the Internet of Things)

  • 최신형
    • 산업과 과학
    • /
    • 1권1호
    • /
    • pp.23-31
    • /
    • 2022
  • 2000년 초반에 유휴 서버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시작된 클라우드 서비스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더욱 활성화되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으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사물인터넷은 주변의 모든 사물들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센싱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으로서,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BaaS 즉, 데이터만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추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을 위한 BaaS 서비스 중에서 Parse Server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백앤드 서비스 방안을 설명하고, 이를 활용하여 환자들의 재활을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시한다. 이를 위한 하드웨어 환경으로는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환자들의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Parse Server를 통해 관리한다.

Security Threats and Attacks in Internet of Things (IOTs)

  • Almtrafi, Sara Mutlaq;Alkhudadi, Bdour Abduallatif;Sami, Gofran;Alhakami, Wajd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호
    • /
    • pp.107-118
    • /
    • 2021
  • The term Internet of Things (IoTs) refers to the future where things are known daily through the Internet, whether in one way or another, as it is done by the method of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to form a huge network through which people, things and machines are helped to make a link between them at all time and anywhere. The IoTs is everywhere around us such as connected appliances, smart homes security systems and wearable health monitors. However, the question is what if there is a malfunction or outside interference that affects the work of these IoTs based devises? This is the reason of the spread of security causes great concern with the widespread availability of the Internet and Internet devices that are subject to many attacks. Since there aren't many studies that combines requirements, mechanisms, and the attacks of the IoTs, this paper which explores recent published studies between 2017 and 2020 considering different security approaches of protection related to the authentication, integrity, availability and confidentiality Additionally, the paper addresses the different types of attacks in IoTs. We have also addressed the different approaches aim to prevention mechanisms according to several researcher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사물인터넷용 경량 프로토콜 비교 연구 (Research on Secure IoT Lightweight Protocols)

  • 홍성혁
    • 산업과 과학
    • /
    • 제2권1호
    • /
    • pp.1-7
    • /
    • 2023
  • 스마트시티와 스마트 홈에서 사물인터넷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사물인터넷의 핵심인 센서 노드들에 대한 보안성이 취약하여 해킹공격을 받을 경우 실생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만큼 심각하나,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센서 노드들의 물리적 기술적 제약으로 인하여 보안모듈이 탑재되어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사물인터넷용 경량 보안 통신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사물인터넷의 보안성을 향상하고, 앞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안전한 사물인터넷 환경 구축을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며, IoT사물인터넷 인증체제 구축과 통신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키 관리 및 식별자 개발을 대한 제안을 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시티와 스마트 홈을 구축하는데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