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clothing purchase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1초

직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의복소재 이미지 비교 (The Comparison of Fabric Imag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by Fabric Types and Characteristics)

  • 김희숙;조신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87-798
    • /
    • 2004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compare clothing fabric images between on- and off-line by fabric types and its characteristics. 125 subjects who have a fashion design major evaluated the fabric image of various 16 kinds of specimens on- and off-line. Frequency, x2-tes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WIN 1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dvantage of on-line shopping includes low price and purchasing convenience, etc. On-line shoppers mostly purchase clothing items, such as T-shirt and slacks. In most cases, texture of fabrics provides a main cause for the shoppers' discontentment with internet shopping. 2. The results of t-test for the difference of the evaluation score show that plain or pile weave and highly thick or thin fabrics-for example, Organdy, Corduroy, Nylon Taffeta, Plush, etc.-have a large difference between on-and off-line image. On the other hand, medium-thick twill weave-for example, Tweed, Flannel, etc.-or patterned weave-Chiffon, Dobby fabric, etc.-shows a small difference. 3. The results of correlation of the evaluation score indicate that wool twill fabrics like Tweed, Saxony, and Polafleece show a high correlation between two kinds of evaluation score. In texture preference, no correlation exists between on-line and off-line. 4. With an analysis on fabric image evaluation by fabric characteristics, smooth, shiny pink Satin was found the most positively-evaluated item in all evaluation fields except in pattern preference and individuality. On the other hand, thick olive green Corduroy was evaluated most negatively in the fields of elegance, luxury, and feminine. 5. When compared with real ones, thin fabrics provide a different on-line fabric image. For example, Nylon Taffeta and Organdy were evaluated positively on-line because of luster and pastel tone color. However, lusterless uneven cotton Seersucker was evaluated negatively. 6. Real fabrics preference is more negative than on-line ones. In addition, patterned or unique fabrics display a high agreement between the two kinds of images.

  • PDF

아이폰 기반의 증강현실 3D 패션피팅 콘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on of iPhone-Based Augmented Reality 3D Fashion Fitting Contents)

  • 탁명자;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08-719
    • /
    • 2013
  • 최근 모바일 패션 쇼핑몰에서의 의류구매가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개인이 직접 코디해 볼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나타났다. 개인들도 코디를 원하는 심리가 확산되고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패션코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패션 분야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의상을 재현하는 디지털 클로딩((Digital Clothing)기술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패션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의 생활패턴과 관심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세계보다 오히려 인터넷과 더불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패션몰에 대한 쇼핑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 기반의 한국인 체형에 맞는 증강현실 패션 피팅 콘텐츠 제작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패션 제품에 대한 어울림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 피팅 시스템 UI(User Interface)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의류 쇼핑방법을 제안하였다.

정보원으로서 패션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대한 소비자 반응 - 유튜버의 성별과 연령 특성에 따른 비교 - (Consumers' Responses to Information Created by Fashion YouTube Creators - Generational and Gender Differences -)

  • 최영현;이규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2-225
    • /
    • 2021
  • With the recognition of YouTube as an information search tool, YouTube creators have subsequently become sources of information to consumer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sumers' response of famous fashion YouTubers in Korea,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onsumer response based on the gender and generation of YouTubers. During the period from the opening of fashion creators' YouTube channels, we collected postings on blogs and Internet cafes using textom. As a result of preliminary investigation, six fashion YouTubers were selected. First, all the selected fashion YouTubers were well recognized by consumers as fashion informants. However, Milanonna has been shown to act as a life advisor and as an informant for luxury brands at the same time. Second, female fashion YouTubers were perceived with themes related to daily life, beauty, emotions, and mood rather than fashion itself; whereas, male fashion YouTubers appeared to be more interested in fashion accessories,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basic style. Third, Generation Z fashion YouTubers used the most non-fashion keywords, and their Millennial counterparts used keywords related to fashion items and product purchase properties. However, consumer response to OPAL fashion YouTubers have emerged with items such as life experiences, wisdom, and advice. Moreover, OPAL fashion YouTubers showed a variety of consumer assessments and the YouTuber's personal background. This study's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consumer response to fashion YouTubers based on gender and age enables the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strategy to attract target consumers and identify their appeal points.

여자 대학생의 니트웨어 착용실태와 선호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Preferred Designs of Knitwea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 최해주
    • 복식
    • /
    • 제66권8호
    • /
    • pp.98-108
    • /
    • 2016
  • Knitwear has been used as an active and functional clothing item due to its flexible and soft nature. Diverse design expressions have made knitwear into an essential fashion item for people today, who are constantly seeking for ways to display their individu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the preferred designs of knitwea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a baseline data, which can be used to develop knitwear designs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Survey by questionnaire of 135 female college students in 3 universities in Seoul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owned knitwear were sweaters and cardigans. Knitwear was viewed as soft and warm, as well as versatile. It was not restricted to certain sizes, and was comfortable to wear for different activities. Seound, the most preferred items were sweaters and cardigans. The most preferred styles were round neckline sweaters and open V-neckline cardigans. Third, the most preferred designs were plain designs with achromatic colors and wool-blended fabrics. The most preferred images were simple images. The most preferred fit was loose enough for little bit of room inside. Fourth, appropriateness and design of the knitwear were assessed during the purchasing stage.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purchase was purchasing via online stores after researching the knitwear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store visits and the Internet. The preferred price of knitwear was below 100,000 KRW. Fifth, the most common complaints were as follows: changes in the shape and quality of the knitwear after a wash, appearance of nap, and loose threads. In short, it is necessary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o develop high quality knitwear with designs that can display individuality, while being simple.

왕홍의 판매 생방송 시청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중국 의류 판매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Wang-Hong Characteristics on Impulse Buying During Live Sale: Based on Women's Clothing Sales in China)

  • 유현아;박지연;이혜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12-229
    • /
    • 2020
  • 최근 중국에서는 생방송을 이용한 마케팅 활동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생방송+판매' 형식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왕홍은 생방송을 통해 시청자에게 제품을 설명하고 온라인 쇼핑을 촉진하며 충동구매를 일으킨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왕홍이 진행하는 판매 생방송 과정에서 왕홍 특성 중 어떤 요인이 시청자의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판매 생방송에 대한 플로우 경험과 시청만족도가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나아가, 판매 생방송이 진행되는 판매 환경에 따라 플로우 경험, 시청만족도, 충동 구매 행위가 조절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를 위해 판매 생방송 시청 경험이 있는 중국 여성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왕홍의 신뢰성과 매력성이 시청자의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즐거움, 주의 집중, 시간 왜곡 플로우 경험, 그리고 시청만족도가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해외 현장에서 진행하는 방송과 중국 스튜디오에서 진행하는 방송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판매 생방송에 따른 충동적인 구매행위를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마케팅 전략인 판매 생방송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인터넷 점포에서의 구매후기 작성 동기 및 점포 고객 유형화 (Motives for Writing After-Purchase Consumer Reviews in Online Stores and Classification of Online Store Shoppers)

  • 홍희숙;류성민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3호
    • /
    • pp.25-5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점포에서 의류상품 구매후기를 작성하는 동기의 유형을 규명하는 한편 작성 동기 유형에 따라 인터넷 점포 고객들을 범주화하고, 각 집단의 작성행동, 인터넷 구매 행동, 인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초점집단 면접과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연구되었으며, 정량적 연구에서는 의류상품 구매후기를 읽은 경험과 작성한 경험이 많은 국내 인터넷 점포 여성 고객 252명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인터넷 점포에서 구매후기를 작성하는 동기 유형은 이타적 정보 공유, 불만해소 및 보복, 경제적 보상 추구, 상품 개발 지원, 감동 표현으로 나타났다. 특히, 작성행동에 대한 영향력이 큰 동기는 이타적 정보 공유 동기와 경제적 보상 추구 동기였다. 인터넷 점포 고객은 작성동기 유형에 따라 소비자 옹호 집단, 이익 추구 집단, 중도적 집단으로 범주화되었으며, 세 집단은 구매후기 작성행동, 인터넷 구매빈도, 인구사회적 요인들에서 차별적 특성을 보였다. 소비자 옹호 집단과 이익 추구 집단을 대상으로 인터넷 점포 구전 채널 관리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외국인 모델의 매력도와 외국어 사용의 상호작용 효과 (The Interaction Effect of Foreign Model Attractiveness and Foreign Language Usage)

  • 이지현;이동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61-81
    • /
    • 2007
  • 현재 한국시장의 광고에는 외국인 모델과 외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소비자의 문화적 가치가 일치하게 될 때 커뮤니케이션의 효과가 높아진다고 한다. 즉, 광고에의 외국문화 사용은 기존 연구에서 주장하고 있는 바와는 반대의 현상인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 등 글로벌 매체에 의해 글로벌 문화가 출현함에 따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소비자의 문화적 가치가 일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라 볼 수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모델을 사용하는 광고에 있어서 모델의 매력도와 외국어 사용이 소비자의 광고와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광고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광고에 사용된 언어와 광고의 시각적 단서인 모델 매력도는 광고의 효과에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광고에 사용된 모델 매력도가 높은 경우,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가 사용된 언어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광고에 사용된 모델의 매력도가 낮은 경우에는 영어를 사용한 경우가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가 높았다. 즉, 외국인 모델을 광고에 사용할 경우, 그 모델의 매력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광고에 사용되는 언어를 선택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