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l explosion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1초

Combined Intrathoracic and Intraperitoneal Splenosis after Splenic Injury: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Moon, Chansoo;Choi, Yun-Jung;Kim, Eun Young;Lee, In Sun;Kim, Sae Byol;Jung, Sung Mo;Kim, Se Kyu;Chang, Joon;Jung, Ji Y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4권3호
    • /
    • pp.134-139
    • /
    • 2013
  • Splenosis is defined as an autotransplantation of the splenic tissue after splenic rupture or splenectomy, and occurs most frequently in the peritoneal cavity. Splenosis is usually asymptomatic and is found incidentally. We report a case of combined intrathoracic and intraperitoneal splenosis in a 54-year-old male who worked as a miner for 10 years in his twenties, and was a current smoker. He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for further evaluation of an incidental left diaphragmatic mass.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and bronchoscopy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malignancy. There was no evidence of malignancy, but the spleen was not visualized. Reviewing his medical history revealed previous splenectomy, following a dynamite explosion injury. Therefore, splenosis was suspected and technetium-99m-labeled heat-damaged red blood cell scan confirmed the diagnosis. Radionuclide imaging i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splenosis, which could avoid unnecessary invasive procedures.

내부 폭발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코어의 연쇄붕괴 해석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Core Structure Subjected to Internal Blast Loading)

  • 김한수;안재균;안효승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715-72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코어 구조물의 내부폭발 효과를 폭발이나 충격해석에 특화되어 있는 하이드로코드인 Ansys Autodyn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내부폭발의 경우 폭발하중의 반사효과로 인해 더욱 큰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UFC 3-340-02 를 사용하여 내부 폭발현상을 입증하였다. 추가적으로 Autodyn을 사용한 해석에 관하여 UFC에서 예제로 제시하는 폭발하중의 반사에 관한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Autodyn이 내부폭발 효과를 해석하는데 적합함을 증명하였다. 나아가, 초고층빌딩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의 코어 구조의 붕괴메커니즘을 Autodyn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내부폭발이 코어에 충격을 가할 때, 코어는 모서리와 폭발 정면 부분이 대부분 피해를 입었다. 그러므로, 코어 벽체가 피해를 입게 된다면 코어 구조물의 연쇄붕괴가 발생할 수 있다.

사고사례 정밀분석을 통한 상압저장탱크의 안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of Atmospheric Storage Tank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Accident Case)

  • 임지표;박수율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1-48
    • /
    • 2019
  • In October 2018, a large fire occurred after an explosion in an internal floating roof tank (IFRT) that stores gasoline by wind lantern in Goyang city, Gyeonggi-do. Although there was no casualty damage, the fire inside the tank lasted for 17 hours, and caused a great wave socially, and it was a chance to review the safety of the atmospheric storage tank.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installing a flame arrester at peripheral vents was examin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size of ventilation pipe and ventilation rate of internal floating roof tanks in terms of the function of the peripheral vent. Next, the necessity of the emergency shut-off valve linked with the high-level alarm to prevent the overflow of the atmospheric storage tank was confirmed by LOPA. Finally, safety measures to prevent overpressure, flame propagation and overflow which cause major accidents in atmospheric storage tank are suggested.

내부폭발 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거동에 대한 전산수치해석과 실험적 검증 (Computational Numerical Analysis and Experimental Validation of the Respons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nder Internal Explosion)

  • 지훈;문세훈;정진웅;성승훈;유양선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01-109
    • /
    • 2018
  • 실험과 유한요소코드를 이용한 수치해석은 폭발 하중에 의한 구조거동을 이해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내부폭발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거동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실험적 검증에 대한 자료는 극히 드물다. 이 논문에서는 내부폭발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거동을 수치해석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방 하나짜리 축소형 콘크리트 내력벽 건물 중심에서 TNT가 기폭되는 상황을 고려하였다. 내부 폭풍압 분포와 철근콘크리트 벽 거동 분석은 유한요소 해석 코드인 ANSYS AUTODYN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과 실험을 비교한 결과 방 내부 세 곳에서 측정한 폭풍압과 두 벽 중심의 변위, 네 벽의 파손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내부폭발 시 구조부재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의 타당성과 정당성을 구조적 피해평가 측면에서 논의한 결과, 해석과 실험에서 같은 파손으로 평가되었다.

호흡용 고압용기 파열 피해영향 분석에 따른 안전충전함 개발 (Development of the Safety Cabinet for Respiratory High-Pressure cylinder according to Consequence Analysis of Physical Explosion Damage)

  • 장갑만;김정환;장유리;이진한;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0-88
    • /
    • 2016
  • 소방서, 스쿠버 등 공기호흡기 용기 충전시설의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른 허가 또는 신고를 하지 않고 운영하고 있으며, 시설개선 및 공기호흡기 충전중 사고발생에 따른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정부에서는 불법운영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고압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안전거리와 방호벽 설치와 동등이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안전충전함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방호벽 설치기준을 갈음할 수 있는 안전충전함은 용기파열 시 순간 과압이 원만하게 분산될 수 있는 내부구조를 가져야 하며, 파편이 분산하는 것을 최소화 하고 모든 파편의 외부 비산을 방지하고, 외부로 방출되는 과압이 작업자가 위치하지 않은 곳(상부 및 하부)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방호벽의 성능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공기의 물리적 폭발에 따른 피해 영향을 계산하고, 실제 충전함 시제품을 제작하여 시험용 용기를 가스로 파열시키는 파열시험으로 안전충전함의 외함변화를 관찰 한 결과, 공기 배출구조설계 등을 통하여 안전충전함 내부의 과압을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직사각형 리튬 이온 전지의 일체형 안전장치 제조 공정에 관한 연구 (Manufacturing Integral Safety Vents in Prismatic Lithium-ion Batteries)

  • 김정훈;이경훈;임영진;김병민
    • 소성∙가공
    • /
    • 제24권4호
    • /
    • pp.293-298
    • /
    • 2015
  • A safety vent is crucial to protect its user from unpredictable explosions caused by increasing internal pressure of the lithium-ion batteries. In order to prevent the explosion of the battery, a safety vent rupture is requir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reaches a critical value. In conventional manufacturing, the cap plate and the safety vent are fabricated separately and subsequently welded to each other. In the current study, a manufacturing process including a backward extrusion and coining process is suggested to produce an integral safety vent which also has the benefit of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FE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predict the rupture pressure and to design the safety vent using a ductile fracture criterion and the element deletion method. The critical value, C, in the ductile fracture criterion was obtained from uniaxial tensile tests with an annealed sheet of 1050-H14 aluminum alloy. Rupture tests were preformed to measure the rupture pressure of the safety vent. The results met the required rupture pressure within 8.5±0.5 kgf/cm2.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which showed that the predicted rupture pressur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ly measured ones with a maximum error of only 3.9%.

수소와 탄화수소 계열 연료의 비정상 연소에 의한 파이프 변형 연구 (A Study of Structural Response of Pipes due to Internal Gaseous Detonation of Hydrogen- and Hydrogen-Air Mixtures)

  • 김대현;여재익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094-1103
    • /
    • 2008
  • 수소나 탄화수소 계열 연료의 비정상 연소에 의해 발생된 데토네이션 파와 같은 이동 하중이 특정한 속도로 파이프 내부에서 전파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는 데토네이션 파의 속도는 굽힘파의 활성화 정도와 큰 변형을 일으키는 공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토네이션 파가 파이프 내부를 통과할 때의 변위의 이론적해와 공진현상이 일어날 조건을 설명하였다. 또한 이론적 결과를 다중물질간의 간섭을 고려한 DNS를 통하여 이론의 정당성을 증명하였다. 이 정당성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더 실제적인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원자력, 화학, 설비 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소나 탄화수소 관련 폭발에 의한 사고들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력용 콘덴서의 화재메커니즘과 실제 화재상관관계 연구 (The Study Fire Mechanism and Real Fire Correlation of Power Condenser)

  • 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12-117
    • /
    • 2017
  • 본 논문은 전력용 콘덴서의 화재메커니즘에 대하여 실제 화재사례를 근거로 상관관계를 논한 것이다. 전력용 콘덴서의 고장 메커니즘에서는 7단계, 화재 발생메커니즘은 12단계로 분류되었다. 이 중 5단계인 보호회로의 보호계전기가 동작하는 과정은 고장시와 화재발생시의 메커니즘과 동일하였다. 6단계에서부터 화재 발생메커니즘이 적용되어 전력용 콘덴서 내부의 연소현상 및 아크로 인한 가스발생으로 내부압력이 증가되어 화재 발생메커니즘 10단계에서 폭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11단계인 아크 등의 불꽃이 절연유와 함께 외부로 분출되고 2차 사고인 화재 발생으로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단계별 상관관계는 화재조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Shearography를 이용한 Aluminum Liner 내부 결함의 변형량과 변형율 측정 및 FEM 검증 (Measurement of Aluminum Liner Internal Defect Deformation and Strain Using Shearography and FEM Verification)

  • 최인영;홍경민;고광수;강영준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6-692
    • /
    • 2013
  • Today,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a matter of worldwide concern. In particular, automobile industries engage in considerable research and investment to develop high-efficiency and ecofriendly cars. Most ecofriendly cars use natural gas or hydrogen gas instead of fossil fuels. In this regard, low-weight and high-pressure vessels have gradually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 driving distance of a car. However, most pressure vessels installed in cars develop many defects over time owing to shocks sustained when the car is being driven. Such defects can cause the explosion of the pressure vesse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such explosions due to internal defects. The use of shearography for measuring the internal defects of objects afford many advantages. It is a non-contact and non-destructive method, and it is not limited by the object shape. In this study, the internal defect deformation and strain of an aluminum liner that is used in a CNG bus for the fuel storage tank is measured using shearography.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strain and deformation in order to detect defects and repair the pressure vessel.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shearography measurement method, the measurement results of shearography, out-of-plane ESPI, and FEM are compared quantitatively.

알루미늄 박판 미세 V-notching 가공부위의 성형 Parameter 관한 연구 (Study on Design Parameter of Aluminum Micro V-notched Component with Thin Sheet Metal)

  • 김상목;박중원;이현민;구태완;김정;강범수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9-252
    • /
    • 2008
  • Micro V-notching process has been used to manufacturing the safety component in Li-Ion battery. These kinds of safety component in Li-Ion batte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plosion from excessive overheating. Therefore, it is very crucial to estimate accurately the working pressure range of the safety component with micro V-notch.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king internal pressure in Li-Ion battery and fracture phenomenon in micro V-notch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The numerical analysis is especially adopted the finite element method with ductile fracture criter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