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odulation Distort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WPAN 용 송신기의 SSR을 만족시키기 위한 에러 성분들의 requirements (The Requirements of the error components for the SSR in WPAN)

  • 박용국;송민환;원광호;김형석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570-572
    • /
    • 2008
  • The modulation quality of the I/Q modulator in a wireless transmitter usually affects system performance and it mostly depends on both a nonlinearity and a distortion, from the third order intermodulation($IM_3$) signal and the error components such as an input amplitude error and a local phase error, respectively. This paper focused on how much the Single Sideband Ratio(SSR), which indicates the signal distor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error components. Consequently, since a desired signal, side band signal at the I/Q modulator output are also represented with those power series coefficients and the error components, the effects of the error components on SSR to meet the EVM specification of the WPAN can be clearly analyzed.

  • PDF

유무선 통합시스템을 위한 마이크로파 회로 모델링 기반의 광전자 프리디스토션 광송신기의 설계 및 제작 (Systematic Design and Realization of opto-electrical Predistortion Optical Transmitter based on Microwave Circuit Modeling for Radio-over-Fiber Systems)

  • 이태경;김홍승;오금윤;김두근;최영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4호
    • /
    • pp.823-828
    • /
    • 2011
  • We have systematically designed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d the opto-electrical predistortion optical transmitter using microwave circuit modelling for reducing the nonlinearity of the distributed-feedback laser diode (DFD-LD). The DFB-LD is analyzed using microwave circuits model based on rate equations. Through the system-level simulation for predistortion method, the optimized characteristics of the RF components in the system are confirmed. The simulated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reduced distortion products. These results are analyzed as the evaluation parameters for the miniaturization and optimization of the opto-electrical predistortion method in radio-over-fiber systems.

선형화기를 이용한 위성통신용 X-밴드 TWT 증폭기 선형특성 개선 (Linear Characteristics Improvement of X-band TWT Amplifier for Satellite Communication with Linearizer)

  • 최원;양홍선;구경헌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89-79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7.9 GHz~8.4 GHz 에서 동작하는 위성통신용 X-밴드 TWT의 AM-AM과 AM-PM 변환특성을 분석하고 선형화기를 이용하여 선형성과 IMD 특성을 개선하였다. 선형화기를 포함하는 TWT는 개선된 AM-AM과 AM-PM 변환특성을 나타내며, 1 dB 압축점은 12.3 dB, $2.0^{\circ}/dB$ 위상왜곡점은 10 dB 개선되었다. 또한 동작출력에서 3차 상호변조 특성인 IMD3는 16.2 dB 개선되어 37.0 dBc로 측정되었다. 또한, 고출력 증폭기의 IMD 측정 방안을 제시하고, TWT의 AM-PM 왜곡 특성을 보상하여 출력전력과 선형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동 위상 변조기를 이용한 전치왜곡 선형화기 (A Predistortion Linearizer Using the In-phase Modulator)

  • 김일규;전기경;김영;윤영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1-4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2차 고조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2차 고조파 성분을 추출하여, 그 신호와 주 신호를 동 위상 변조시키는 전치 왜곡 선형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조파 발생기에서 추출한 고조파 성분의 동 위상과 직각 위상 성분 신호로 분리하여 그것의 크기만을 제어하여 전력증폭기의 혼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셀룰라대역에서 동작하는 회로를 구현하였으며, 그 결과 전력증폭기의 혼변조 신호 억압 특성을 확인하였다. 반송파 2톤 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주파수 간격이 ${\Delta}f$=1MHz에서 3차 혼변조 신호는 20dB 개선되었고, IS-95 CDMA 1FA 신호에서는 인접채널 전력비가 7dB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DTV 중계기에서의 UHF 전송장치용 구동증폭단의 구현 및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riving Amplifier Stage for UHF Transmitter in Digital TV Repeater)

  • 이영섭;전중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05-51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UHF(470∼806 MHz) 대역에서 전송장치로 사용 가능한 DTV 중계기용 1 Watt 급 구동증폭단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구동증폭단은 유전율 2.53, 두께 0.8 mm 기판을 사용하여, 전치증폭기 및 1 Watt 단위증폭기를 단일기판상에 집적화 하였다. 바이어스 전압 28 V DC, 전류 900 mA를 구동증폭단에 인가하였을 때, 470∼806 MHz의 대역에서 53.5 dB 이상의 이득, $\pm$0.5 dB의 이득 평탄도 및 -12 dB 이하의 입ㆍ출력 반사손실이 나타났다. 또한 출력전력이 1 Watt일 때 사용주파수 대역에서 2 MHz 주파수 간격의 두 신호를 구동증폭단에 입력하여 설계사양보다 우수한 48 dBc 이상의 상호변조왜곡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InGaP/GaAs HBT공정을 이용하여 낮은 LO파워로 동작하고 낮은 IMD와 광대역 특성을 갖는 이중평형 믹서설계 (The Double Balance Mixer Desig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w Intermodulation Distortion, and Wide Dynamic Range with Low LO-power using InGaP/GaAs HBT Process)

  • S. H. Lee;S. S. Choi;J. Y. Lee;J. C. Lee;B. Lee;J. H. Kim;N. Y. Kim;Y. H. Lee;S. H. Jeon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944-94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InCaP/GaAs HBT공정을 이용하여 낮은 DC 파워소모, 낮은 NF, 낮은 IMD 와 광대역 특성을 갖는 Ku-band LNB용 이중평형믹서를 설계하였다. 제작된 믹서는 3 V, 16 mA 의 U조건과 -23 dBm의 RF입력 조건하에서 5 dB의 변환이득, 14 dB의 NF, 17.9 GHz의 대역폭 그리고 50.34 dBc의 IMD특성을 얻었다. 낮은 IMD 특성, 광대역폭, 낮은 파워소모 특성은 InGaP/GaAs HBT의 선형성과 광대역 입력 정합기법과 바이어스 점의 최적화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주파수 상향 변환을 이용한 전치왜곡 전력 증폭기 설계 (A Design of Predistortion HPA using Frequency Up-Conversion Mixing Operation)

  • 정용채;김영;김철동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80-48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혼합기의 주파수 상향 변환 동작을 이용한 새로운 전치왜곡 선형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선형화 기법은 주파수 상향 혼합 동작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신호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신 입력 신호로부터 2차 저주파 혼변조 왜곡 신호를 추출하여 주파수 상향 변환에 필요한 신호원으로 사용하였다. 제안한 전치왜곡 선형화 기법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 주파수가 1.8544 ㎓와 1.8556 ㎓인 2-톤 신호를 개인휴대 통신용 전력 증폭기에 인가하여 22 ㏈m/tone 출력시에 (CR) 비를 26 ㏈ 개선하였으며, 출력 신호레벨을 17 ㏈ 변화시키는 동작 영역에서 (C/I) 비를 20 ㏈ 이상 개선시켰다. 또한 IS-95A 1FA 신호를 인가하여 출력이 26.5 ㏈m일 때 885 KHz 및 1.25 MHz 이격 지점에서 인접 채널 전력비를 각각 10.8 ㏈, 6.4 ㏈ 개선시켰다.

저주파 혼변조 신호의 크기 조절에 의한 전치 왜곡 선형화기 설계 (A Design of Predistorter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Low-Frequency IM Signals)

  • 장미애;김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5-5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저주파 혼변조 신호의 크기만을 조절하여 혼변조 신호를 제어하는 새로운 전치 왜곡 선형화기를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고조파 발생기 출력에서 생성된 저주파 혼변조 신호를 주 신호와 진폭 변조시켜 혼변조 신호를 만들었으며, 저주파 가변 이득 조절기를 이용하여 혼변조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였다. 제안한 전치 왜곡 선형화기는 국내 셀룰러 기지국 송신 주파수($869{\sim}894\;MHz$) 반송파 2 톤 신호를 전력 증폭기에 인가하여 입력 신호 레벨을 변화시켰을 때, 3차 혼변조 신호는 20 dB 이상 개선되었으며, IS-95 CDMA 1FA 신호입력 시에는 중심 주파수에서 ${\pm}885\;kHz$${\pm}1.25;MHz$ 이격 지점에서 인접 채널 전력 비(ACPR: Adjacent Channel Power Ratio)를 10 dB 이상 개선시켰다.

근거리 레이더용 K대역 다채널 전단 수신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K-band multi-channel receiver for short-range RADAR)

  • 김상일;이승준;이정수;이복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7A호
    • /
    • pp.545-55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K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저잡음 증폭 및 L대역으로 하향 변환하는 다채널 전단 수신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다채널 전단 수신기는 잡음지수 2.3 dB 이하의 특성을 가지는 GaAs-HEMT 기반의 저잡음 증폭소자, 이미지 성분의 억제를 위한 IR(Image Rejection) Filter, 이미지 성분 억제와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 개선을 위한 IR(Image rejection) 믹서를 포함한다. 제작된 다채널 전단 수신기의 시험결과, 3.8 dB 이하의 잡음지수와 27 dB 이상의 변환이득을 가지며 입력신호 기준 -9.5 dBm 이상의 P1dB(1dB Gain Compression Point) 특성을 나타내었다.

전력 증폭기의 복소 포락선 전달특성을 이용한 Postdistortion 방식의 선형화기의 설계 (Design of Postdistortion Linearizer using Complex Envelop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ower Amplifier)

  • 한재희;이덕희;남상욱;남상욱;임종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086-109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n차 오차신호발생기(error signal generator)를 이용한 postdistortion 방식의 RF 전력증폭기의 선형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n차 ESG(error signal generator)는 전력증폭기의 기저대역 등가 복소 전달함수를 바탕으로 오차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전력증폭기의 출력 단에서 n차 이하의 비선형성만을 제거한다. 따라서, 출력 단의 n차 이상의 혼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개루프(open-loop) 형태이므로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전력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오차신호를 발생시키므로 feedforward 방식에서와 같이 오차신호 발생에 따른 주신호 경로(main signal path)의 시간지연 회로가 불필요하다. 실험 결과로 7차 ESG를 이용한 postdistorter를 최대 출력이 5 W인 셀룰러 대역 A급 증폭기에 적용한 경우의 혼변조 왜곡 개선도와 3-carrier CDMA 신호를 이용한 측정 결과를 제시하여 본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