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leukin-8 (IL-8)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32초

여지초의 in vitro항암효과 및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ebeiae Herba (Salvia plebeia R. Br.) on the Anticancer (in vitro) and Activation of Immune Cells)

  • 배만종;예은주;김수정;김재명;이성태;박은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77-38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여지초의 cell line상에서의 항암효과(in vitro) 및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체유래 위암세포주인 AGS의 형태변화는 여지초 물과 60% 에탄을 추출물 처리 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밀도가 감소하였고 세포의 원형화나 손실이 증가하였다. 암세포 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AGS의 경우 농도에 비례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 $1,000{\mu}g/mL$에서 43.3%, $3,000{\mu}g/mL$에서 69.7%, 60% 에탄을 추출물 $1,000{\mu}g/mL$에서 37.3%, $3,000{\mu}g/mL$에서 75.8%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여지초 추출물이 비장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여지초 물 추출물은 $30{\mu}g/mL$, 60% 에탄을 추출물은 $10{\mu}g/mL$에서 각각 25.0%와 43.2%의 증식반응 증가가 나타났으며, $300{\mu}g/mL$에서는 비장세포의 증식이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여지초 추출물이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IL-2의 경우 여지초 물 추출물 $1{\mu}g/mL$처리군에서 $20.75{\pm}3.54pg/mL$, 60% 에탄을 추출물은 $100{\mu}g/mL$ 처리군에서 $20.75{\pm}7.07pg/mL$로서 $15.75{\pm}7.07 pg/mL$인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모두 31.7%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IL-6 분비량 또한 물 추출물 $1{\mu}g/mL$에서 $31.75{\pm}15.91 pg/mL$, 60% 에탄을 추출물 $10{\mu}g/mL$에서 $14.25{\pm}1.77pg/mL$로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물과 60% 에탄을 추출물 모두 $10{\mu}g/mL$에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각각 69.6%, 25.3%의 $TNF-{\alpha}$ 생산 증가를 유도하였다.

당지질로 유도한 염증반응에서 Piceatannol의 항염증 기전 연구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Inflammatory Action of Piceatannol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 조한진;심재훈;소홍섭;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26-123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신호전달체계를 중심으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piceatannol의 항염증 기전을 규명하였다.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piceatannol은 iNOS의 발현 억제를 통해 NO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6, IL-$1{\beta}$)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신호전달체계 중 piceatannol은 LPS에 의해 유도된 $I{\kappa}B$의 분해와 p65의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고, LPS에 의해 유도된 SAPK/JN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piceatannol은 LPS와 IL-6(LPS에 의해 증가됨)에 의한 STAT3의 활성화를 억제하였다. 뿐만 아니라 piceatannol은 Nrf2의 핵 내 축적을 야기하고 ARE의 transcriptional activity를 증가시켜 HO-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 piceatannol은 NF-${\kappa}B$와 AP-1, STAT3 신호전달의 억제를 통해, 그리고 HO-1의 발현 증가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Fig. 8).

Taxifolin Inhibited the Nitric Oxide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mRNA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 Rhee, Man-Hee;Endale, Mehari;Kamruzzaman, SM;Lee, Whi-Min;Park, Hwa-Jin;Yoo, Myung-Jo;Cho, Jae-You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7-155
    • /
    • 2008
  • In previous works, we found that solvent extract of Opuntia humifusa Raf., a member of the lactaceae family, displayed potent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us, all solvent fractions, except for the water layer, showed potent scavenging effects. According to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ne of active radical scavenging principles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found to be taxifoli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axifolin showed anti-oxidative activity. In addition, taxifolin modulated nitric oxide (NO) release an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mRNA such as interleukin-$1{\beta}$ (IL-$1{\beta}$), IL-6,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and TNF-${\alpha}$. Taxifolin show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with the $IC_{50}\;of\;8.5{\pm}1.4\;and\;9.3{\pm}1.0{\mu}M$ using xanthine/xanthine oxidase (XO) assay and 2,2-Diphenyl-lpicrylhydrazyl radical (DPPH) assay, respectively. We next determined the role of taxifolin on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using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cells. Taxifolin dose-dependently inhibited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264.7. It also significantly block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mRNA in the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addition, taxifolin pote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IL-6 and GM-CSF mRNA in LPS-activated RAW264.7 cells, but not that of TNF-${\alpha}$ Moreover, taxifoli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nd activator protein -1 (AP-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xifolin may downregulate inflammatory iNOS, IL-$1{\beta}$, IL-6 and GM-CSF gene expressions through inhibition of NF-K and AP-1 activa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PDF

가시여지잎(Annona muricata L.) 에탄올 추출물과 조다당 분획분의 면역활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nnona muricata L.)

  • 김이은;이정희;성낙윤;안동현;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53-458
    • /
    • 2017
  • 본 연구는 가시여지 잎 에탄올 추출물(ALE) 및 조다당 추출물(ALP)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비교하기 위하여, 선천 및 적응면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큰포식세포에 ALE 및 ALP를 처리하여 세포 증식률, 산화질소 분비능, 사이토카인(종양괴사인자, IL-6, $IL-1{\beta}$) 분비능 및 기전 분석을 통한 신호전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ALE 및 ALP를 큰포식세포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에 관하여 비교하였을 때, 큰포식세포 면역활성의 바이오-마커인 산화질소, 사이토카인의 분비능 및 iNOS의 세포내 발현이 ALP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기전분석결과, ALP의 처리는 MPAKs의 인산화 및 $NF-{\kappa}B$의 핵내 이동성을 증가시켜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ALP의 높은 면역활성은 MPAKs의 인산화 및 $NF-{\kappa}B$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당귀로부터 분리한 다당의 면역증진 활성과 항전이 활성 (Immuno-stimulating and anti-metastatic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 손승우;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04-312
    • /
    • 2021
  • 참당귀로부터 열수추출 및 에탄올 침전법을 이용해 조다당을 분리하고 DEAE-Sepharose FF와 Sephadex G-100을 이용하여 얻은 정제 다당 AGE-2c-I을 대상으로 선천 면역 활성 및 항종양 전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체의 초기 면역 반응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보체계 활성화 및 활성화 경로를 확인한 결과, AGE-2c-I은 운지버섯 유래 시판 면역증강제인 PSK에 준하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활성은 주로 고전경로를 통하여 활성화되며 일부 부경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또한 AGE-2c-I은 mouse 복강 유래 대식세포에 대해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종양세포주 YAC-1 및 B16BL6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 또한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시료의 직접적인 독성에 근거한 항암 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비장으로부터 분리한 림프구는 8 ㎍/mL의 AGE-2c-I 처리에 의해 증식능이 관찰되었다. AGE-2c-I이 대식세포의 cytokine 분비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 우수한 IL-6, IL-12 및 TNF-α 분비능을 보였으며 시료를 200 ㎍ 및 1,000 ㎍의 고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 IL-10이 분비된 것으로 보아 AGE-2c-I은 immune-stimulator의 역할뿐만 아니라 immune-suppressor로서의 작용 또한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종양 및 암세포에 대하여 직접적인 살해 활성을 나타내는 NK cell 활성을 확인한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인 종양 세포 살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00 ㎍/mouse 농도에서 NC 대비 약 1.5배 높은 NK cell 활성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폐에 대한 고전이성 종양세포주인 B16BL6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실험동물 종양 전이 모델에선 100 ㎍/mouse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이 NC 대비 58%의 colony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참당귀 유래 RG-I 구조의 다당은 높은 선천면역계 자극 활성, 특히 보체계, 대식세포, 림프구 증식, NK cell의 활성화를 통해 우수한 항종양 전이 효과를 갖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으며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개발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마늘대 추출물(Allium sativum L. Stems)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iNOS, COX-2 발현에 대한 효과 검증 (Effect of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on inflammatory cytokines, iNOS and COX-2 expressions in Raw 264.7 cell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 조용훈;김현정;김동인;장재윤;곽재훈;신유현;조영제;안봉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13-62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마늘대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한 열수추출물(ASSW)과 70% 에탄올 추출물(ASSE)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ASSW의 폴리페놀 함량은 $37.08{\pm}1.51mg(TAE)/g$, ASSE의 폴리페놀 함량은 $44.7{\pm}1.32mg(TAE)/g$ 이 함유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DPPH 실험과 $ABTS^+$ 실험에서 ASSW, ASSE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DPPH의 경우 $1,000{\mu}g/mL$에서 대조군인 Vit.C의 $50{\mu}g/mL$의 항산화능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ABTS^+$의 경우 $500{\mu}g/mL$ 이상부터 대조군인 Vit.C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ASSW, ASSE 모두 항산화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TT측정으로 인해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았던 농도대(5, 10, 25, 50, $100{\mu}g/mL$)에서 염증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NO를 측정한 결과 ASSW, ASSE 모두 $25{\mu}g/mL$에서부터 유의적으로 분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00{\mu}g/mL$의 농도에서 약 18%, 23%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대식세포의 염증성 cytokine인 IL-6, TNF-${\alpha}$, IL-$1{\beta}$$PGE_2$의 분비량을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PGE_2$에 대해 ASSW, ASSE $100{\mu}g/mL$의 농도에서 약 55%, 60%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ASSW의 iNOS, COX-2의 발현 저해효과는 나타내지 못하였지만, ASSE는 $100{\mu}g/mL$의 농도에서 iNOS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COX-2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저하되어 특히 $50{\mu}g/mL$, $100{\mu}g/mL$의 구간에서 단백질 발현 저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ASSW, ASSE 모두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ASSW 보다 ASSE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및 ROS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을 억제시켜주는 소재가 될수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및 피부각질세포 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s of Corn Silk (Zea mays L.) Extract on Human HaCaT Keratinocyte)

  • 김현영;서우덕;서경혜;이미자;최식원;이광식;김선림;강현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84-190
    • /
    • 2016
  • 본 연구는 옥수수수염 조추출물과 메이신 함량이 높은 고분획물(NICS-1, NICS-2)의 항산화 활성과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세포손상 억제활성을 구명하여 옥수수의 부산물인 수염을 이용하여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한 결과는 옥수수수염 유래 주정 추출물과 메이신이 고함유된 추출물(NICS-1, NICS-2)의 DPPH와 ABTS활성산소 제거활성을 비교한 결과 주정 추출물에 비해 NICS-1은 약 6.5, 3.8배 높았고, NICS-2 분획물은 약 6.2, 5.6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NICS-2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피부손상을 일으키는 자외선의 흡수도는 NICS-1과 NICS-2 각각 343, 271 nm와 352, 271 nm에서강한 흡수능을 나타내었고 자외선 처리에 의한 각질형성세포(HaCaT)의 세포손상억제도 5, 10, 50 ppm 처리시 각각 NICS-1은 56.8%, 61.2%, 71.8%와 NICS-2는 각각 59.5%, 76.0%, 80.6%의 세포생존율을 농도 의존적으로 보여 UV-A,B,C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의 손상을 옥수수수염 추출물이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의 작용기작은 옥수수수염 추출물뿐만 아니라 고분획물(NICS-1, NICS-2)의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각질형성세포의 염증을 일으키는 싸이토카인인 $IL-1{\alpha}$ 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내었고 특히 옥수수수염의 메이신 화합물이 더 큰 피부손상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옥수수수염 추출물(NICS-1)은 각각 114.2, 96.1, 73.7, 42.6%의 $IL-1{\alpha}$ 생성억제 활성을 보였고, 메이신은 각각 96.5, 86.7, 52.3, 32.3%의 $IL-1{\alpha}$ 생성 억제 활성을 보여 옥수수수염추출물(NICS-1) 및 메이신이 농도 의존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옥수수수염 추출물(NICS-1)에 비해 메이신 단일 화합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다양한 베리류의 피부노화개선 효과 비교 (The Anti-aging Effects of Various Berries in the Human Skin Keratinocyte (HaCaT) Cells)

  • 이수정;최혜란;이진철;박희전;이희권;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8-204
    • /
    • 2014
  • 다양한 베리류인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 블루베리(야생종), 블랙초크베리 및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효과, MMP-1 발현 억제활성 그리고 ROS 생성 저해효과를 비교해보았다.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효과 비교에서 복분자와 블루베리(재배종)의 TNF-${\alpha}$ 억제활성이 가장 뛰어났고, IL-6의 경우 블랙초크베리, 블루베리, 복분자 순으로 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블랙초크베리, 블루베리(야생종), 복분자가 IL-8의 발현을 눈에 띄게 억제 하였다. 더불어 복분자와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에 대해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복분자와 오디를 각각 $250{\mu}g/mL$씩 함께 처리한 결과 복분자 $250{\mu}g/mL$과 오디 $250{\mu}g/mL$의 농도로 동시에 처리할 경우, 복분자와 오디를 각각 500 ${\mu}g/mL$로 처리한 그룹에 비해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오디만을 처리했을 때보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리류 착즙액을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MMP-1 mRN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그중에서도 특히 블루베리(야생종)의 효과가 가장 탁월하였다. 복분자($250{\mu}g/mL$)와 오디($250{\mu}g/mL$)를 동시에 처리한 그룹과 복분자 또는 오디를 각각 500 ${\mu}g/mL$로 처리한 그룹을 비교해본 결과, 복분자와 오디를 동시에 처리한 그룹이 복분자와 오디만을 각각 처리한 그룹보다 MMP-1 mRNA의 발현이 좀 더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ROS 생성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블랙초크베리가 가장 뛰어났고 그 다음으로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의 순으로 두 착즙액의 ROS 생성 저해 효과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분자 $250{\mu}g/mL$과 오디 $250{\mu}g/mL$의 농도로 동시에 처리그룹의 경우 ROS 생성에 대한 시너지 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다섯 가지 베리류 즉,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 블루베리(야생종), 블랙초크베리 및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과 MMP-1 mRNA 발현 및 ROS 생성에 대한 저해 효과는 각각의 베리류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다섯가지 베리류 모두 항염증, 항산화 작용을 통해 피부노화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누에번데기 및 누에애벌레 밀리타리스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열수추출물의 투여가 고형암이 유발된 마우스의 종양성장 억제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Tumor Growth Inhibitory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ordyceps Militaris Water Extracts in ICR Mice Bearing Sarcoma-180 Solid Tumor)

  • 이해미;이여진;박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9-6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누에번데기 또는 누에애벌레를 기주로 하여 인공 재배된 밀리타리스동충하초의 고형암 성장억제 및 면역조절 기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sarcoma-180 세포주를 겨드랑이에 피하 이식받은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밀리타리스동충하초 또는 유효성 분으로 알려진 cordycepin을 10일간 복강투여한 후 고형암 성 장저지능, 면역관련 장기의 무게변화, 비장 내 면역세포수의 변화, 그리고 비장세포에 의한 interleukin-2(IL-2) 생성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겨드랑이에 고형암을 이식받은 마우스에게 50 mg/kg(CMP50) 또는 100 mg/kg(CMP100)의 누에번데기 밀리타리스동충하초 추출물을 10일간 투여한 결과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3주 후 고형암 성장이 47.3% 및 57.6% 유의하게 억제되었다(p<0.05). 50 mg/kg(CML50) 및 100 mg/kg(CML100)의 누에애벌레 밀리타리스동충하초를 투여받은 경우 35.5% 및 37.1%, 그리고 1 mg/kg 및 2 mg/kg의 cordycepin을 투여받은 군의 경우 26.1%와 29.8%의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p<0.05). 고형암을 이식받은 후 누에번데기 또는 누에애벌레 밀리타리스동충하초를 투여받은 마우스는 대조군에 비해 흉선무게가 38∼44%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비장내 CD4+ 및 CD8+ T-세포수, NK-세포수(63∼110% 증가), 그리고 비장세포에 의한 IL-2 생성능(33∼51%증가)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밀리타리스동충하초 열수추출물은 고형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은 밀리타리스동충하초 추출물의 항암활성은 면역기능 증강효과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밀리타리스동충하초의 고형암 성장억제 및 면역조절 기능은 cordycepin 단일물질에 비해 더 우수하였다.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leads to proinflammatory response associated with higher expression of NOD2 protein

  • Kim, Min-Soo;Choi, Myung-Sook;Han, Sung-N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3호
    • /
    • pp.219-223
    • /
    • 2011
  • Obesity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low grade inflammatory statu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ammatory response as well as associated signaling molecules in immune cells from diet-induced obese mice. Four-week-old C57BL mice were fed diets containing 5% fat (control) or 20% fat and 1% cholesterol (HFD) for 24 weeks. Splenocytes ($1{\times}10^7$ cells) were stimulated with $10\;{\mu}g/mL$ of lipopolysaccharide (LPS) for 6 or 24 hrs. Production of interleukin (IL)-$1{\beta}$, IL-6, and TNF-${\alpha}$ as well as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 (NOD)2,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3, and pSTAT3 were determined. Mice fed HFD gained significantly more body weight compared to mice fed control diet ($28.2{\pm}0.6$ g in HFD and $15.4{\pm}0.8$ g in control). After stimulation with LPS for 6 hrs, production of IL-$1{\beta}$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and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tended to be higher (P < 0.064) in the HFD group. After 24 hrs of LPS stimulation, splenocytes from the HFD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IL-6 ($10.02{\pm}0.66$ ng/mL in HFD and $7.33{\pm}0.56$ ng/mL in control, P=0.005) and IL-$1{\beta}$ ($121.34{\pm}12.72$ pg/mL in HFD and $49.74{\pm}6.58$ pg/mL in control, P < 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STAT3 and pSTAT3 between the HFD and the control groups. However, the expression level of NOD2 protein as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was 60% higher in the HF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NOD2 contributes to the induction of inflammation by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kappa}B$.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et-induced obesit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flammatory response of immune cells, and higher expression of NOD2 may contribute to these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