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generational relation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기혼여성과 시부모 및 친정부모간의 접촉 (Intergenerational Contact of Young Married Women in Korea with Parents and with Parents-in-law)

  • Kim, Cheong-Seok;Barbara A. Anderson;John H. Romani
    • 한국인구학
    • /
    • 제23권2호
    • /
    • pp.189-207
    • /
    • 2000
  • 이 연구는 젊은 기혼여성과 이들과 별거하고 있는 시부모 및 친정부모간의 접촉정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있는데, 그 초점을 시부모와의 근접성이 친정부모와의 접촉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리고 역으로 친정부모와의 근접성이 시부모와의 접촉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두면서 두 가지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있다. 우선, 전통적 효 규범에 따른 시나리오에 의하면, 친정부모와의 지리적 근접성이 시부모와의 접촉빈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또한 시부모와의 근접성은 친정부모와의 접촉빈도와 관계가 없을 것이라 예상된다. 다음으로, 경쟁적 시나리오에 의하면, 시부모인지 친정부모인지에 관계없이 어느 한쪽의 부모와 근접할수록 다른 쪽의 부모와의 접촉은 적을 것이라 예상된다. 1994년도에 실시된 <전국 출산력 및 국민건강조사>자료를 이용해 세대간의 상호방문빈도에 관해 회귀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경쟁적 시나리오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문빈도분석의 결과는 시부모에 대한 기혼여성의 관심과 헌신을 규정해온 전통적인 가족규범이 약화되어지면서, 친정부모와 시부모가 좀 더 동등한 입장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세대 간 거주근접성과 부모의 정신 및 신체 건강 : 부모 연령, 성인자녀 성별의 조절효과분석 (The effects of residential proximity on paren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Parental age and the adult child's gender as moderators)

  • 남보람;최희정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1-131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esidential proximity to adult children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middle-aged and older parents. The study also evaluated whether the parental age and gender of the adult child in closest proximity to the parent might moderate the association. Method: Data were drawn from five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2006-2014). The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7,359 parents aged 45 or older who had at least one non-coresidential adult child aged 19 or older.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y estimating a series of fixed effects models while adjusting for the nested structure of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 closer distance between an adult child and the parent was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parent experiencing a de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Yet, the mental health benefit was smaller for par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se closest living adult child was a son. Second, a closer distance was observed to affect chronic illness only among middle-aged parents (aged 45 to 64). When the closest living adult child was a daughter, the middle-aged parent experienced deterioration in their chronic illness. 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when the closest living adult child was a son. Conclusions: The parental age and gender of the adult child in closest proximity to the parent might have varying effects on parents' health. A closer distance between an adult child and their paren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parent as a whole, whereas the effect of living closer was mixed in relation to the parental physical health.

성인 자녀의 결혼 및 부모기로의 전이가 세대 간 접촉(만남과 연락)에 미치는 영향 (Adult children's transitions to marriage and parenthood and contact with their parents)

  • 빈보경;최희정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9-145
    • /
    • 2017
  • Objectives: Grounded in a life-course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on-coresident children's transitions to marriage and parenthood o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ir parents. Gender of adult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levels of both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evaluated as potential moderators of the transition-contact linkages. Method: The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adult children aged between 20 and 50 whose parents participated in four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2006, 2008, 2010, 2012). For analysis,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using the xtreg procedure in Stata. Results: First, transition to marriage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face-to-face contact, whereas a greater increase in contact with parents via phone, mail, email etc. occurred only among newly married with less than college education compared to the newlywed with college degrees. Second,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contact via phone, mail, email etc. In addition, a greater increase in face-to-face contact was found with parents who completed high school or more education compared to those with less than high school educa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adult children's transitions to marriage and parenthood may bring about increases in contact with their parents, particularly for adult children with less than college education and parents with more than high school education.

Obesity and chronic kidney disease: prevalence, mechanism, and management

  • Yim, Hyung Eun;Yoo, Kee 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10호
    • /
    • pp.511-518
    • /
    • 2021
  •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is increasing worldwide at an alarming rate. While obesity is known to increase a variety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it also acts a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severe obes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revalence and incidence of the early stages of kidney disease. Importantly, children born to obese mothers are also at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obesity and CKD later in life. The potential mechanisms underlying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KD include hemodynamic factors, metabolic effects, and lipid nephrotoxicity. Weight reduction via increased physical activity, caloric restriction, treatment with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judicious bariatric surgery can be used to control obesity and obesity-related kidney disease. Preventive strategies to halt the obesity epidemic in the healthcare community are needed to reduce the widespread deleterious consequences of obesity including CKD development and progression.

일본 기혼여성들과 친정부모간의 세대관계: 동거여부 및 대화빈도를 중심으로 (Relations of Married Women and their Own Parents in Japan: Coresidence and Contact Frequency)

  • 김정석;조윤주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55-72
    • /
    • 2012
  • 일본의 성인자녀와 노부모간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기혼여성과 이들의 친정부모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축적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세대간 동거여부와 대화빈도를 통해 이러한 세대관계를 접근하고 있다. 일본 기혼여성과 친정부모간 세대관계는 기혼여성들의 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시부모 그리고 친정부모의 상황에 따라 차별적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일본 2003년도 제2회 전국가족조사>를 이용해 친정부모와 시부모 양가의 일원이 모두 생존해 있는 30~40대 기혼여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친정부모와 동거할 확률(시부모와의 동거를 통제한 상태)은 부인의 형제자매수가 많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특히 남자형제가 있는 경우 친정부모와의 동거확률은 두드러지게 낮았다. 이와 함께 친정부모 모두가 생존한 경우보다는 친정아버지만 생존한 경우에 해당 동거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친정부모와의 대화빈도(친정부모와의 동거여부를 통제한 상태)는 시부모와 동거하는 경우에 낮았으며, 형제자매수가 많을수록 낮았다. 한편, 해당 대화빈도는 친정부모 중 한 분만 생존한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편보다 부인의 학력이 높거나 친정부모에 대한 남편의 태도에 만족하는 경우에 친정부모와의 대화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형제자매수가 많으면 동거가능성도 낮아지지만 대화빈도도 낮아지는 결과는 형제자매간에 세대간 동거나 대화가 어느 정도 분담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홀로된 친정부모와의 동거가능성이 높고 대화빈도가 많은 점은 노부모에 대한 다양한 지원과 자녀로서의 마음쓰임을 보여준다. 친정부모와의 대화빈도가 시부모와의 동거여부 그리고 부부간 학력차이나 남편의 친정부모에 대한 태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은 기혼여성들이 시부모와 남편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들은 기혼여성들의 세대간 관계를 분석하는 작업에서 다양한 가족관계를 동시에 고찰하고 고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세대관계를 중심으로 (The Bilateralization of the Kinship Relations in Korean Families: Focused on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 한경혜;윤성은
    • 한국인구학
    • /
    • 제27권2호
    • /
    • pp.177-203
    • /
    • 2004
  • 본 연구는 친족관계의 전반적 현황과 양계화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친족관계 영역에서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현주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의 성인남녀 1755명을 대상으로, 본인 및 배우자 부모와의 동거여부, 거주근접성, 접촉빈도를 비교함으로써 세대관계의 구조적 차원에서 양계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양계화 정도의 구체적 내용 파악을 위하여 가족의 협력 네트워크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즉 경제적, 도구적, 정서적 지원 영역에서 도움을 주고받는 대상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가족의 지원망 구성 및 활용에 있어 친족이 차지하는 비중 및 양계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가족의 세대관계의 구조적 특성은 양계화된 모습과 부계적인 모습이 혼재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협력네트워크 활용의 측면에서, 한국가족은 부계친족 및 모계친족과의 상호작용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칭적 양계화라기보다는 비대칭적 성격의 양계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부계중심적으로 규범화된 친족유대의 경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동시에 실제적 필요에 의한 아내의 친족망 활용정도가 높아진데서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의 빠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족영역에서의 변화가 상당히 느리게 진행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 구조모형: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세대별 조절 효과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hospital nurses: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generation through multi-group analysis)

  • 채정혜;김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5-31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based on a job demands-resources model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nurses' generation. Methods: The model was constructed of the exogenous variable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job conflict and the endogenous variables of burnou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articipants were 560 hospital nurses working in 3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2021, and analyzed using SPSS Window 23.0 and IBM AMOS 23.0. Results: The strongest factor directly influencing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ocial support. In a multiple group analysis, nurses' generation had a partial moderating effect. In a generation-specific analysis, the Z generation group was higher than the X and Y generation groups in the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o improve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social support is needed as an important management strateg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e need to develop ways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reducing th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Generation Z.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Generational Conflicts in Korea : Power, Ideological and Cultural Conflicts)

  • 박재흥
    • 한국인구학
    • /
    • 제33권3호
    • /
    • pp.75-99
    • /
    • 2010
  •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세대갈등을 권력갈등, 이념갈등, 문화갈등으로 구분하여 갈등 형성의 배경과 실태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실태 분석을 위하여 관공서의 집합 자료와 경험적 연구결과들이 활용되었다. 우선, 세대간 권력갈등의 핵심은 권력 이양시기를 둘러싼 충돌에 있다. 세대간 권력갈등을 의회 권력에 국한시켜 볼 때, 정권교체기의 이념적 지향의 부침과는 무관하게 젊은 의원들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저(低) 연령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었다. 이러한 세대교체 추세는 당분간 다른 영역에서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세대간 이념갈등은 2002년 대선 전 후 극대화되었으나 04년 총선 이래 점차 완화되었다. 그러나 조건의 변화에 따라 일정한 계기가 주어지면 다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 격차의 견지에서 볼 때 세대균열의 깊은 골은 대략 출생시점 1970년경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문화갈등의 축을 성장주의 대 소비주의, 집단주의 대 개인주의, 권위주의 대 탈권위주의로 설정하여 갈등의 배경과 실태를 검토했다. 세 유형의 갈등 중 문화갈등의 역기능에 주목해야 한다. 세대간 문화격차 확대는 상호 의사소통을 방해하며 상호 교류와 공동 활동 기피라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갈등 완화를 위해, 사회 제 부문의 부조리와 비리 척결 그리고 세대 통합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간호직을 선택한 자녀를 둔 간호사 어머니의 경험 (Intergeneration Occupational Mobility Experience of Nurses: Focus on Mother's Experience)

  • 김주현;남은숙;길명숙;윤성자;손은진;박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3-53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experiences of nurses influence their role model function when they are mothers of children who in turn have become nurses or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nurses, 8 of their children who became nurses and another 4 children then in training to become on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personal interviews and subsequently analyz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Results: Four main them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Persuasion and dissuasion,' 'Proud but still pathetic,' 'As mom and senior nurse' and 'Great to pass it dow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nurse as mother could be a positive professional role model for her children. However, they tended to stress the arduous clinical routines and poor work conditions nurses currently experience. Should such routines and conditions improve, mothers who are nurses would be more willing to recommend the nursing profession to their children. Improving the professional environment is thus important because intergeneration nursing mobility provides a reliable resource to recruit qualified and dedicated nursing personnel.

OECD 15개국 청년고용과 중고령자 고용의 대체관계 (The Substitution Relations between the Employment for the Youth and the Old in 15 OECD Countries)

  • 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233-259
    • /
    • 2012
  • 최근 고용없는 성장이 목도되는 가운데, 높은 실업률과 낮은 고용률로 압축되는 청년층 고용문제가 상당히 심각하다. 그러나 고령자의 일자리 부족, 불안정한 노동지위도 우리 사회의 중요한 현안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고령자의 일자리 창출, 정년 연장이 논의되고 있지만 세대간 일자리 전쟁으로 비화되며,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 정책과의 형평성으로 인해 정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문제가 진단되고 정책이 수립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OECD 15개국(1990~2010년)의 청년 고용과 중고령자 고용이 대체관계인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고령자와 청년 모두 2명 가운데 1명도 고용상태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위기는 특정 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청년층과 중고령층 모두의 문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패널분석), 청년층 고용과 중고령층 고용은 대체관계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퇴직정책을 추진해도 청년층 취업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