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eron alpha-2a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2초

Cytokine Inductions and Intracellular Signal Profiles by Stimulation of dsRNA and SEB in the Macrophages and Epithelial Cells

  • Jun-Pyo Choi;Purevsuren Losol;Ghazal Ayoub;Mihong Ji;Sae-Hoon Kim;Sang-Heon Cho;Yoon-Seok Chang
    • IMMUNE NETWORK
    • /
    • 제22권2호
    • /
    • pp.15.1-15.16
    • /
    • 2022
  • Foreign molecules, including viruses and bacteria-derived toxins, can also induce airway inflammation.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roles of these molecules in the development of airway inflammation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Herein, we investigated the precise role and synergistic effect of virus-mimicking double-stranded RNA (dsRNA) and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in macrophages and epithelial cells. To identify cytokine expression profiles, both the THP-1-derived macrophages and BEAS-2B epithelial cells were stimulated with dsRNA or SEB. A total of 21 cytokines were evaluated in the culture supernatants. We observed that stimulation with dsRNA induced cytokine production in both cell types. However, cytokine production was not induced in SEB-stimulated epithelial cells, compared to the macrophages. The synergistic effect of dsRNA and SEB was evaluated observing cytokine level and intracellular phospho-signaling. Fifteen different types were detected in high-dose dsRNA-stimulated epithelial cells, and 12 distinct types were detected in macrophages; those found in macrophages lacked interferon production compared to the epithelial cells. Notably, a synergistic effect of cytokine induction by co-stimulation of dsRNA and SEB was observed mainly in epithelial cells, via activation of most intracellular phosphor-signaling. However, macrophages only showed an accumulative effect. This study showed that the type and severity of cytokine productions from the epithelium or macrophages could be affected by different intensities and a combination of dsRNA and SEB. Further studies with this approach may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and exacerbation of airway inflammation and asthma.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환자에서 혈청 Cytokine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rum Cytokines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 김병주;마재숙;황태주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90-99
    • /
    • 1998
  • 목 적: 혈청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HBsAg)이 양성인 만성 보유자 35명에서 혈청 Th1계 싸이토카인(IL-2, TNF-${\alpha}$ 및 IFN-${\gamma}$)과 Th2계 싸이토카인(IL-4와 IL-10)을 측정하여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병태에 따른 싸이토카인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대조군은 항 HBs 항체 양성인 정상 소아 7명이었고 환자군 35례중 HBeAg 양성군은 20례, 항 HBe 항체 양성군은 15례이었으며 간 조직검사를 시행한 19례중 만성 지속성 간염은 10례, 만성활동성 간염은 9례이었다. 말초 정맥혈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aminotransferase, B형 간염 바이러스 표지자 검사 및 ELISA로 싸이토카인(IL-2, TNF-${\alpha}$, IFN-${\gamma}$, IL-4 및 IL-10)을 측정하였다. 결 과: 1) HBe 항원 양성인 환자에서 항 HBe 항체 양성인 환자에 비해 그리고 만성 활동성 간염 환자에서 지속성 간염 환자에 비해 의의 있게 혈청 AST와 ALT치가 높았다. 2) HBe 항원 양성인 환자에서 항 HBe 항체 양성인 환자에 비해 IL-10이 의의 있게 높았다. 3) 만성 활동성 간염 환자에서 지속성 환자에 비해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으나 측정한 모든 싸이토카인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혈청 아미노전이 효소치가 100 U/L 이상인 환자에서 IL-2, TNF-${\alpha}$, IFN-${\gamma}$ 및 IL-10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혈청 아미노전이 효소치가 정상인 환자에서 효소치가 높은 환자에 비해 IL-4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 론: Th2계 싸이토카인인 IL-10의 증가는 간염의 활성도보다는 HBe 항원의 지속성과 관련이 있고 Th1계의 싸이토카인인 IL-2, TNF-${\alpha}$ 및 IFN-${\gamma}$는 간염의 활성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Murine macrophage RAW264.7에서 과산화수소가 유발형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Murine Macrophage RA W264.7 Cells)

  • 안중현;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172-183
    • /
    • 1999
  • 연구배경: 산화질소(${\cdot}NO$)는 여러 세포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NOS)에 의해서 생산되며 다양한 병태생리과정에 관여한다. 여러 cytokine들이 iNOS의 발현을 촉진시키고 산화질소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염증반응을 증폭시키고 세포와 조직손상을 초래한다고 알려진 바, 과산화수소($H_2O_2$)가 세포내 NOS의 발현과 산화질소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에 여러 가지 cytokine과 세균 내독소 (LPS)로 자극을 준 세포군 이에 더하여 $H_2O_2$, NOS 억제제 (L-NAME) 및 항산화제 (catalase)등을 사용하여 세포를 자극한 후 생성된 산화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고 Northern analysis로 iNOS mRNA의 발현정도를 보아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결과: Cytokine과 LPS 자극군에서 대조군보다 ${\cdot}NO$ 생산이 높았고, 이 자극군에 $H_2O_2$를 추가로 자극하였을 때 ${\cdot}NO$생산이 2 배 이상 유의하게 높았다. Cytokine 자극군에서 $H_2O_2$의 자극 농도에 따른 ${\cdot}NO$생산은 $H_2O_2$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PS와 IFN-$\gamma$ 자극군에서 L-NAME을 같이 자극시에 ${\cdot}NO$의 양은 L-NAME의 농도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Cytokine 및 $H_2O_2$자극군에서도 추가로 자극한 L-NAME 의 농도증가에 따라 ${\cdot}NO$의 양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ytokine과 $H_2O_2$ 자극균에 catalase를 같이 자극 하였을 때 ${\cdot}NO$의 양은 유의하게 감소했고, Mercaptoethanol과 phenanthroline을 전처치하고 LPS와 IFN-$\gamma$$H_2O_2$로 자극한 군에서 이들의 전처치한 농도가 높을수록 ${\cdot}NO$의 양은 유의하게 Cytokine자극군과 IFN-$\gamma$, LPS 자극군에 $H_2O_2$를 추가 자극 후 Northern analysis 결과 $H_2O_2$는 iNOS mRNA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과산화수소가 cytokine과 내독소 등으로 자극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생산에 유의한 증폭효과를 나타냈고, iNOS mRNA 의 발현도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솔잎, Pinus densiflora Sieb.et Zucc., 의 항암효과(抗癌效果)에 대한 연구(硏究) (Studies on antitumor effects of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Sieb.et Zucc)

  • 문정조;한영복;김진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01-710
    • /
    • 1993
  • The pine needles, Pinus densiflow Sieb. et Zucc., which is a feed for goats showing a low incidence rate of cancer were evaluated to confirm the potent anticancer effects, with or without several conventional anticancer drugs. The pine needles collected from Mt. Buk-Han located near Seoul were extracted with 95% methanol and methand and concentr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SOM-A, was extracted dichlormethane and SOM-B was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SOM-C was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These extracts were tested for their antitumor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Among them, SOM-A and SOM-C exhibited potent antitumor activities described as belows. 1. The cytotoxic effects of SOM-A and SOM-C were examined against in vitro cultured murine and humman tumor cells. SOM-A showed strong cytotoxicity against human tumor cell lines and SOM-C showed strong cytotoxicity against murine tumor cell lines tested. 2. The antitumor effects of SOM-A and SOM-C were examined against P388 and L1210 of mouse ascitic tumors. The highest mean survival time(MST) ration was 151%(P388) for SOM-C(90mg/kg). 3. To compare the antitumor effects of SOM-A, SOM-B, and SOM-C against solid tumors, S-180 and Ehrlich carcinoma were implanted subcutaneously to mice on Day O. The drugs were given intraperitoneally to mice once a day on Days 1-20, and the tumor weights were measured on Day 21. SOM-A showed inhibition of tumor growth more than 50% in the experiment on S-180 and Ehrlich, and SOM-C also markedly inhibited tumor growth. However, SOM-B had no effect. 4. SOM-C combined with ${\alpha}$-interferon and SOM-C combined with Mitomycin-C enhanced the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murine ascitic tumors P388 leukemia.

  • PDF

Celastrol ameliorates cytokine toxicity and pro-inflammatory immune responses by suppressing NF-κB activation in RINm5F beta cells

  • Ju, Sung Mi;Youn, Gi Soo;Cho, Yoon Shin;Choi, Soo Young;Park, Jinseu
    • BMB Reports
    • /
    • 제48권3호
    • /
    • pp.172-177
    • /
    • 2015
  • Up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contributes to ${\beta}$-cell destruction and enhanced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into pancreatic islets during development of type 1 diabetes mellitu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gulatory effects and the mechanisms of action of celastrol against cytotoxicity and pro-inflammatory immune responses in the RINm5F rat pancreatic ${\beta}$-cell line stimulated with a combination of interleukin-1 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feron-${\gamma}$. Celastrol significantly restored cytokine-induced cell death and significantly inhibited cytokin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addition, the protective effect of celastrol was correlated with a reduction in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and CC chemokine ligand 2. Furthermore, celastrol significantly suppressed cytokine-induced signaling cascades leading to nuclear factor kappa B (NF-${\kappa}B$) activation, including $I{\kappa}B$-kinase (IKK) activation, $I{\kappa}B$ degradation, p65 phosphorylation, and p65 DNA binding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lastrol may exert its cytoprotective activity by suppressing cytokine-induce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by inhibiting activation of NF-${\kappa}B$ in RINm5F cells.

생지황음자(生地黃飮子) 추출물이 단핵세포에서 당화종말산물로 유도된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aengjihwangeum-ja Extract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Monocyte Cells Induced by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 이광규;한웅;정한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305-1313
    • /
    • 2009
  • Saengjihwangeum-ja (SJHEJ) was recorded in DongEuiBoGam as being able to be used for treatment of Sogal whose concept had been applied to Diabetes Mellitus (DM). Modification of proteins by long term circulation of glucose leads to the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AGE). Recent immunological studies demonstrated that ligation of AG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including atherosclerosis, which includes activation, adhesion, and migration of monocytes. Also, AGE and Maillard reaction product(MRP) could augment monocyte inflammatory responses via ligation of AGE recepto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JHEJ extract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response-related ge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interferon-g-inducible protein-10, and cyclooxygenase-2 in the human monocyte cell line, THP-1 cells.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evealed that SJHEJ had inhibitory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the TNF-a, MCP-1, IP-10, COX2, IL-1b genes in MRP-induced THP-1 cells. Treatment with SJHEJ had reduced reactive oxygen production in THP-1 cells stimulated by MRP. These inhibitory effects might be exerted via prevention of oxidative stress in activated monocytes. In addi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JHEJ was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JHEJ has a beneficial effects for improve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

들깨 새싹 추출물의 췌장 RINm5F 세포에서 NF-κB 경로를 통한 사이토카인에 의한 손상 예방 효과 (Perilla frutescens Sprout Extracts Protected Against Cytokine-induced Cell Damage of Pancreatic RINm5F Cells via NF-κB Pathway)

  • 김다혜;김상준;정승일;유강열;천춘진;김장호;김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09-516
    • /
    • 2017
  • 들깨(Perilla frutescents (L.) Britton var.) 새싹은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들깨 새싹 에탄올 추출물이 사이토카인으로 유도된 췌장 베타 세포 손상에 대한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췌장 소도 주위에 염증 세포 침습으로 의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은 1형 당뇨병의 발병원인에 해당된다. 인터루킨-$1{\beta}$ (IL-$1{\beta}$), 인터페론-${\gamma}$ (IFN-${\gamma}$), 종양괴사인자-${\alpha}$ (TNF-${\alpha}$) 등의 사이토카인은 활성산소 형성을 유도한다. 세포 내 활성산소 축적은 췌장 베타 세포 기능장애와 세포사멸을 이끈다. 들깨 새싹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증가 시켰으며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였다. 사이토카인은 세포생존율을 감소시켰고, iNOS와 COX-2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산화질소 생성을 유도하였다. 들깨 새싹 추출물은 사이토카인으로 유도된 세포생존을 농도 의존적으로 예방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에 의한 산화질소 생성과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다. 더 나아가 들깨 새싹 추출물은 췌장 베타 세포주(RIN-m5F)에서 $I{\kappa}B{\alpha}$ 인산화 억제를 통해서 NF-${\kappa}B$의 활성화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 결과는 들깨 새싹 추출물이 사이토카인으로 유도된 췌장 베타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들깨 새싹은 혈당 증가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베타 세포 손상을 완화하여 당뇨에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괴화(槐花) 에탄올 추출물이 RBL-2H3 비만세포에서 Ca++ Ionophore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에 미치는 효과 (Anti-allergic Effect of Ethanolic Extract of Flos Sophora japonica L. on Ca++ Ionophore Stimulated Murine RBL-2H3 Cells)

  • 손효;강군;심도완;김태권;강태봉;이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9-354
    • /
    • 2014
  • 세포내 $Ca^{{+}{+}}$의 증가는 비만세포에서 수용체 활성을 거치지 않고 탈과립을 유도한다. 괴화는 천연 염색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항염증 작용과 $Fc{\varepsilon}RI$와 IgE 가교에 의한 항알레르기 효능도 보고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비만세포에서 $Ca^{{+}{+}}$ 유입에 의해 생산되는 알레르기 매개물에 대한 괴화 추출물의 조절 기능을 보고한다. 괴화 추출물은 A23187에 의해 유도되는 IL-4와 TNF-${\alpha}$의 생산과 탈과립을 저해하였다. 또한 괴화 추출물은 DNFB로 유도한 알레르기 피부염의 동물 모델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였다. 괴화추출물 50 mg/kg을 경구투여 또는 도말을 한 경우, DNFB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보다 IL-4, TNF 그리고 IFN-${\gamma}$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괴화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혈청 내 IgE의 함량이 DNFB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보다 감소하였다. 괴화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의 비장과 림프절의 무게도 DNFB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보다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괴화는 비만세포에서 $Fc{\varepsilon}RI$ 자극뿐만 아니라 $Ca^{{+}{+}}$의 유입에 의한 항알레르기 효능이 있다는 것을 보고한다.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조다당류 추출물의 면역활성 효과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separate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 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59-566
    • /
    • 2017
  • 본 연구는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PCP)의 면역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수지상세포 및 후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비장세포에 PCP를 처리하여 면역세포의 면역활성능에 관하여 측정하였다. 수지상세포에 PCP를 1, 5 및 $10{\mu}g/mL$의 농도를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이 $103.4{\pm}3.8$, $108.8{\pm}2.1$, $117.8{\pm}3.3%$ (n =3)로 나타나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주요 면역활성 인자인 산화질소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각각 $2.7{\pm}0.2$, $4.5{\pm}0.2$, $7.3{\pm}0.3{\mu}M$ (n =3)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농도(1, 5 및 $10{\mu}g/mL$)별 PCP 처리구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TNF-${\alpha}$ ($372.3{\pm}0.32$, $604.8{\pm}0.54$$954.2{\pm}1.32pg/mL$), IL-6 ($508.4{\pm}0.39$, $761.5{\pm}1.34$$1038.5{\pm}1.67pg/mL$), IL-$1{\beta}$ ($314.5{\pm}1.04$, $524.8{\pm}1.89$$664.8{\pm}0.89pg/mL$), IL-12 ($321.4{\pm}0.94$, $832.5{\pm}0.85$$901.{\pm}0.94pg/mL$)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으로 분포하는 비장 조직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PC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PCP의 처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자소엽조다당 추출물의 면역활성 유도 효과에 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향후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을 분리 및 정제과정을 통하여 구조분석 및 정제된 조다당 추출물의 정확한 면역활성과 면역활성기전에 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형 간염의 가족 내 집단 감염 1례 (A Case of Familial Clustering of Hepatitis C Virus)

  • 정훈;장현섭;이윤진;이균우;김혜영;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1호
    • /
    • pp.91-95
    • /
    • 2005
  • HCV의 가족 내 집단 감염은 드물게 발생하며 배우자에서 감염의 위험이 가장 높고 수직 감염의 빈도는 매우 낮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환자와 환자의 어머니, 외할머니, 이모, 이종 사촌 언니에서 HCV 감염이 확인되어 가족 구성원의 50%가 HCV에 감염된 극히 드문 가족 내 집단 감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