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ace property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23초

구상흑연주철 FCD60과 Cr-Mo강 SCM440 확산접합부의 인장성질에 미치는 접합조건의 영향 (The Effect of Bonding Condition on Tensile Properties of Diffusion Bonds of Graphite Cast Iron FCD60 to Cr-Mo Steel SCM440)

  • 송우현;김정길;강정윤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2권1호
    • /
    • pp.77-82
    • /
    • 2004
  • The effect of bonding condition on tensile properties of joints diffusion bonded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FCD60 to Cr-Mo steel, SCM 440 was investigated. Diffusion bonding was performed with various temperatures, holding times, pressures and atmospheres. All tensile specimens were fractured at the bonding interface.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bonding temperature. Especially, tensile strength of joints bonded at 1123K was higher than that of a raw material, FCD60, and tensile strength of joints bonded at 1173K was equal to that of a raw material, SCM440, but elongation of all joints was lower than those of raw materials. There was little the effect of holding time on the tensile properties. In comparison with bonding atmosphere, the difference of tensile strength was not observed, but elongation of joint bonded at vacuum(6.7mPa and 67mPa) was higher than that of Ar gas. Higher the degee of vacuum, elongation increased. Tensile properties of diffusion bonds depended on microstructures of cast iron at the interface and void ratio. Microstructures of cast iron at interface changed with temperature, because decarburizing and interdiffusion at the interface occurs and transformation of austenite-1 ferrite + graphite occurs on the cooling process. The void ratio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especially, effected on the elongation.

Test for the influence of socket connection structure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RC prefabricated bridge piers

  • Yan Han;Shicong Ding;Yuxiang Qin;Shilong Zhang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5권2호
    • /
    • pp.89-97
    • /
    • 2023
  • In order to obtain the impact of socket connection interface forms and socket gap sizes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RC) socket prefabricated bridge piers, quasi-static tests for three socket prefabricated piers with different column-foundation connection interface forms and reserved socket gap sizes, as well as to the corresponding cast-in-situ reinforced concrete piers, were carried out. The influence of socket connection structure on various seismic performance indexes of socket prefabricated piers was stud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hysteresis curve and skeleton curve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ultimate failure mode of the socket prefabricated pier with circumferential corrugated treatment at the connection interface was the closest to that of the monolithic pier, the maximum bearing capacity was slightly less than that of the cast-in-situ pier but larger than that of the socket pier with roughened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displacement ductility and accumulated energy consumption capacity were smaller than those of socket piers with roughened connection interface. The connection interface treatment form had less influence on the residual deformation of socket prefabricated bridge piers. With the increase in the reserved socket gap size between the precast pier column and the precast foundation, the bearing capacity of the prefabricated socket bridge pier component, as well as the ductility and residual displacement of the component, would be reduced and had unfavorable effect on the energy dissipation property of the bridge pier component.

Bio-Inspired Surface Modification of 3-Dimensional Polycaprolactone Scaffold for Enhanced Cellular Behaviors

  • 조선애;강성민;박수아;이해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2-202
    • /
    • 2011
  • The research of 3-dimensional (3-D)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as the importance of the 3-D scaffold increased. 3-D scaffold is needed to support for cells to proliferate and maintain their biological functions. Furthermore, its architecture defines the shape of the new bone and cartilage growth. Polycaprolactone (PCL) has been one of the most promising materials for fabricating 3-D scaffold owing to 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y and biocompatibility. However, there are practical problems for using it, in vitro and in vivo;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and nutrients cannot penetrate into the inner space of scaffold, due to its hydrophobic property, and thus cell seeding and attachment onto the inner surface remain as a challenge. Thus, the surface modification strategy of 3-D PCL scaffold is prerequisite for successful tissue engineering. Herein, we utilized a mussel-inspired approach for surface modification of 3-D PCL scaffold. Modification of 3-D PCL scaffolds was carried out by simple immersion of scaffolds into the dopamine solution and stimulated body fluid, and as a result, hydroxyapatite-immobilized 3-D PCL scaffolds were obtained. After surface modification, the wettability of 3-D PCL scaffold was considerably changed, and infiltration of the pre-osteoblastic cells into the 3-D scaffold followed by the attachment onto the surface was successfully achieved.

  • PDF

구조용 섬유강화복합재료의 계면접착 특성 평가를 위한 미세역학시험법의 연구동향 고찰 (Historical Trends of Micromechanical Testing Methods for Structural Fiber Reinforced Composites to Evaluate the Interfacial Adhesion)

  • 박종만;김종현;김동욱;권동준
    • 접착 및 계면
    • /
    • 제23권3호
    • /
    • pp.59-69
    • /
    • 2022
  • 섬유강화 복합재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섬유와 수지간의 계면 접착특성이다. 본 총설에서는,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계면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역학 시험법에 대해 역사적 초점을 두어 서술하고자 한다. 미세역학 시험법은 섬유 한 가닥과 기지재료 간의 계면 접착특성을 전단력평가로 관측하는 재료자체의 변수만이 고려되는 평가법으로써 계면에 대한 보다 정량적인 접착특성 및 감지능을 고찰할 수 있다. 미세역학시험법을 이용한 이전의 연구와 비교적 최근 연구동향을 본 총설에서 비교 논의하며, 미세역학 실험법에 대한 응용과 앞으로의 발전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층구조형 아크릴 점착제의 분자량 및 피착재 종류에 따른 접착특성 (Adhesion Properties on the Molecular Weight and Various Substrates of Multi-layered Structural Acrylic Adhesive)

  • 김동복
    • 폴리머
    • /
    • 제39권3호
    • /
    • pp.514-521
    • /
    • 2015
  • 본 연구는 자동차, 건축, 디스플레이 부품 접합 등에 사용되는 다층구조형 양면 점착테이프에 대한 것으로 UV 경화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폼 기재에 용제 건조형 점착제(AD)를 양면에 붙이고 피착제 종류에 따른 박리강도와 전단접착강도를 고찰하였다. AD 종류와 기재 조성에 따른 접착력 변화 및 피착재로 사용한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력을 고찰한 결과, AD의 분자량(MW)이 증가할수록 박리강도 및 전단접착강도가 증가하였으나 약 65만 이상의 MW를 가진 AD는 접착력이 감소하는 거동을 보였다. 양면 점착테이프에 사용된 AD층 두께가 얇을수록 온도감소와 함께 높은 물성 값을 보였다. 기재와 AD와의 계면접합 특성은 MW 615000(AD-4)을 사용한 것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MW가 615000보다 낮으면 기재인 아크릴 폼과의 계면이 분리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토한 다층구조형 양면 점착테이프는 표면에너지가 낮은 플라스틱 부품 및 곡면 부위에 적용가능한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처리된 무기산화물 입자의 열차단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Heat-shield Property of Surface-treated Inorganic Oxide Particles)

  • 김동호;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14권1호
    • /
    • pp.28-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표면처리된 Ga-doped ZnO (GZO)를 사용해서 태양열 차단 코팅제를 제조하였으며, 표면처리 화합물의 종류와 처리조건에 따른 입자의 분산성, 가시광선투과율, 자외선차단율, 적외선차단율, 단열특성 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IPA나 아크릴 바인더를 사용했을 때에는 무기산화물 입자의 분산특성이 낮았으나, 무기산화물 입자를 우레탄(우레아)기와 아크릴기 그리고 실리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화합물로 표면처리한 경우에는 입자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침전되는 입자가 거의 발생되지 않았고 가시광선 투과율과 헤이즈(haze)가 크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실제 단열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단열평가 장치와 sunlamp를 사용하였으며, 평가결과 열차단 필름을 사용한 경우 PET 필름 자체만 사용했을 때와 비교해서 내부온도가 $4.8^{\circ}C$ 이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폴리케톤과 고무의 접착성에 미치는 산처리의 영향 (The Effect of Acid Treatment on the Adhesion Property of Polyketone with Rubber)

  • 최혜영;이태상;이종;이승구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1호
    • /
    • pp.26-33
    • /
    • 2011
  • 폴리케톤 필름의 산처리 조건에 따른 필름 표면의 화학적인 변화를 접촉각과 XP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모폴로지의 변화를 SEM과 AFM을 통하여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변화가 폴리케톤 필름과 고무와의 계면접착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인산처리에 의하여 폴리케톤 필름의 표면에 젖음성이 증가하여 인산의 농도 및 처리시간에 따라서 접촉각이 감소하였으며, 표면에 산소함유기들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인산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에 crack과 etching이 증가하여 표면거칠기가 증가하였으나, 산처리 조건이 강화되면서 폴리케톤 필름의 표면에 degradation이 발생하여 roughness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폴리케톤과 고무와의 계면접착력을 살펴본 결과, pH 0.74에서 120 min, pH 0.4에서 60 min 처리한 경우에 최대 계면접착력을 보였으며, 산처리 조건이 그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degradation이 발생하면서 계면접착력이 감소하였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미생물합성 폴리에스테르의 표면개질과 효소분해성 (Surface Modification and Enzymatic Degradation of Microbial Polyesters by Plasma Treatments)

  • 김준;이원기;류진호;하창식
    • 접착 및 계면
    • /
    • 제7권2호
    • /
    • pp.19-25
    • /
    • 2006
  • 미생물 합성 고분자인 poly(hydroxylalkanoate)s (PHAs)의 초기효소분해는 표면침식의 메커니즘으로 진행하므로 이들의 분해거동은 표면특성을 개질로서 조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소분해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기법을 PHAs 표면특성의 개질에 적용하였다. $CF_3H$$O_2$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재료 표면에 각각 소수성 및 친수성을 부여하였다. 효소분해 실험은 pH 7.4의 0.1 M 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에서 Alcaligenes facalis T1에서 정제된 poly(hydroxybutyrate)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행하였다. $CF_3H$ 플라즈마 처리된 시편의 경우 표면 층의 불소화에 따른 소수성의 증가와 분해 효소에 대한 비활성으로 초기분해 속도가 상당히 지연됨을 관찰하였으나 $O_2$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표면 친수성은 분해속도의 촉진 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Grafted EPDM의 접착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dhesion Properties of Grafted EPDM Containing Carboxylic Acid Group)

  • 김동호;윤유미;정일두;박찬영;배종우;오상택;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12
  • EPDM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인 methacrylic acid (MA)가 도입된 grafted EPDM을 합성하여 MA의 grafting ratio가 탄성체의 물성과 다른 고무와의 접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Grafted EPDM의 storage modulus는 특정온도까지는 sulfur로 가교한 EPDM vulcanizate보다 높게 유지되다가 온도가 더 높아지면 2차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EPDM에 수소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반응기를 도입했을 때 grafted EPDM 분자들 간의 aggregate 형성과 그라프트된 MA의 결정성으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다. EPDM 자체는 극성이 낮고 다른 종류의 고무와 분자간 결합력이 약해서 접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라프트된 M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강도가 더 높아졌으며 MA의 grafting ratio가 10% 이상일 때에는 접착평가 시 고무시편이 부분적으로 파괴될 정도로 접착력이 우수하였다.

웹 인터페이스에서 시각정보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 연령계층별 시지각 계측 실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gnitive faculties about Visual Information on Web Interface - With Emphasis on an Experiment with Visual Perception Measurement by Different Age Groups -)

  • 고광필;류시천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243-252
    • /
    • 2002
  • 인터넷 환경의 발전으로 인한 사용자 폭의 확대는 연령계층별 사용자에 대한 인지특성의 이해와 이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웹 인터페이스에서 시각정보의 인지특성 도출을 위해 시지각 인지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시각정보에 대한 시지각 계측실험의 과정을 거쳐 연령 계층별 피험자의 인지특성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의 결과를 토대로 연령계층별 사용자의 인지특성은 시지각 인지프로세스의 세부속성인 형태, 색채, 공간, 운동과 시지각의 생리적, 물리적, 인지적 특성이 변수로 작용하여 서로 다른 인지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그 결과로 시지각 인지프로세스 모델의 다양한 적용은 연령계층별 사용자의 인지특성을 구체적이며 체계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웹 인터페이스의 평가 모델로도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디자이너의 역할 확대와 연령계층별 사용편의성 연구방향을 확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는데서 그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