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ace generation

검색결과 920건 처리시간 0.033초

시선추적 분석을 위한 통합 해석 모델의 개발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의 도출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Integrated Analysis Model for Eyegaze Analysis - With Emphasis on the Generation of Heuristic Guidelines for User Interface Design -)

  • 성기원;이건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3-32
    • /
    • 2004
  • 본 연구는 사용자의 시지각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선추적 과정을 이해하고, 인간의 정보처리 모델을 기반으로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여,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일반적인 원리를 발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시각 특성을 이용한 시선추적 시스템을 실험에 적용하여, 상향처리와 하향처리의 시지각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인간의 정보처리 모델을 근거로 디자인을 위한 적용점을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실험하여 시선의 동선 및 고정점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인지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단서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인간 행위의 각 단계와 정보처리 모델을 기반으로 다섯 가지의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디자인 실무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일반적인 원칙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인터랙티브 헤어 스타일링 인터페이스 (Interactive Hair Styling Interface)

  • 조정현;고형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455-458
    • /
    • 2009
  •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머리카락을 생성하고 제약 조건을 이용하여 헤어 스타일을 완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논문 [2]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논문 [2]의 방법과 함께 제시된 프로그램은 매우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가능하게 하지만 일반 사용자가 쉽게 다루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머리카락과 헤어 스타일의 생성에 있어서는 논문 [2]의 방법을 따르되 사용자가 쉽게 헤어 스타일을 조정할 수 있도록 맵 기반 인터랙티브 헤어스타일링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머리카락이 생성될 두피 부분을 공간 분할하고 이 부분에 사용자가 머리카락의 밀도, 길이, 색상 맵을 직접 그릴 수 있게 하여 직관적인 헤어 스타일 생성이 가능하게 한다. 복잡한 형태의 표면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분할하고 접근하는 과정에 GPU 가속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제약 조건을 쉽게 다루기 위해 몇 가지 템플릿을 제공하고 이의 생성과 수정을 쉽게 한다.

  • PDF

영상처리를 이용한 지화인식 기반의 차세대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Next-generation Interface System Based on the Finger Gesture Recognizing in Use of Image Process Techniques)

  • 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935-942
    • /
    • 2011
  • 본 연구는 카메라를 통하여 취득한 지화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컴퓨터를 제어하는 지화인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영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일반 카메라를 개조하여 적외선 CCD 카메라를 제작하였고, 입력영상의 전처리와 손의 특징들을 찾아 분석하여 손 모양에 따라 해당되는 지화를 판독하고, 이벤트를 발생시켜 마우스 제어와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화인식 시스템은 미래형 정보기기의 마우스와 키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로서의 사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5G 이동통신을 위한 프론트홀 기술 동향 (Fronthaul Technology Trends for 5G Mobile Communications)

  • 오돈성;류득수;이훈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2권5호
    • /
    • pp.97-106
    • /
    • 2017
  • The introduction of new access technologies in 5G radio networks ha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design of transport networks. Research activities are underway on new transport technologies in both the wireless and optical domains to support 5G transport.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oncept and requirements of a fronthaul. We also discuss the research activities of a new fronthaul interface for future 5G networks, a 5G integrated fronthaul/backhaul transport network (5G-Crosshaul), a next-generation fronthaul interface (NGFI), a mobile xhaul network (MXN), and a next-generation mobile fronthaul architecture with multi-IF carrier transmission scheme.

복합곡면의 다면체 곡면 근사 (Approximation of a compound surface to polyhedral model)

  • 김영일;전차수;조규갑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공군사관학교, 청주; 26-27 Apr. 1996
    • /
    • pp.100-103
    • /
    • 1996
  • Presented in this study is an algorithmic procedure to obtain polyhedral model from a compound surface. The compound surface in this study denotes a collection of trimmed surfaces without topological relations. The procedure consists of two main modules: CAD data interface, and surface conversion to polyhedral model. The interface module gets geometric information from CAD databases, and makes topological information by scanning the geometric information. We are investigating CATIA system as a data source system. In the surface conversion module, a shell(compound surface with topological information) is approximated to a triangular-faceted polyhedral surface model through node sampling and triangulation steps. The obtained polyhedral model should obey the vertex-to-vertex rule and meet tolerance requirements. Since the polyhedral model has a simple data structure and geometry processing for it is very efficient and robust, the polyhedral model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surface rendering in computer graphics, FEM model for engineering analysis, CAPP for surface machining, data generation for SLA, and NC tool path generation.

  • PDF

교육용 에이전트를 위한 감성 생성 모델 (Emotion Generation Model for Tutoring Agents)

  • Choo, Moon Won;Choi, Young Mie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하)
    • /
    • pp.812-822
    • /
    • 2002
  • 메타포는 인터페이스 구현의 근간을 이루는 방법론으로 인터페이스의 발전과정은 바로 이 메타포의 패러다임적 진화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는 데스크탑 메타포의 발전된 형태로 인터페이스 설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감성 에이전트에 대하여 다양한 분야와 관점에서 심도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인간의 감성을 교육용 에이전트에 적용할 수 있는 인간의 감성 생성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다층 박막의 온도상승에 대한 마이크로 트라이볼로지적 조사 (Micro-Tribological Investigation for Temperature Rise in Multi-layered Thin Films)

  • 김준현;신경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760-765
    • /
    • 2000
  • The study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a computational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temperature rise in dry and lubricated multi-layered contacts of head/disk interface. A transient computational model with a transformed rectangular computational domain is utilized. A model and a computational method for micro-contact with sub-lubricated zone, including friction heat generation, have been presented. The model was applied, taking full account of the changes in contact area and contact load due to frictional heating. The computation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is obtained with the analytical findings for various composition and contact conditions. Especially, a rapid rise ($220^{\circ}C$ or above) in read head temperature lese to a saturation in the influence of a thermal spike on signal performance. This general class of problems can be treated provided that heat generation distribution and layer properties are known.

  • PDF

Applicability of HRA to Support Advanced MMI Design Review

  • Kim, Inn-Seoc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88-98
    • /
    • 2000
  • More than half of all incidents in large complex techn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in nuclear power or aviation industries, were attributable in some way to human erroneous actions. These incidents were largely due to the human engineering deficiencies of man-machine interface (MMI). In nuclear industry, advanced computer-based MMI designs are emerging as part of new reactor designs. The impact of advanced MMI technology on the operator performance, and as a result, on plant safety should be thoroughly evaluated before such technology is actually adopted in nuclear power plants. This paper discusses the applicability of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to support the design review process. Both the first-generation and the second-generation HRA methods are considered focusing on a couple of promising HRA methods, i.e., ATHEANA and CREAM, with the potential to assist the design review process.

  • PDF

컴퓨터메세지의 다국어자동생성 (Multilingual automatic generation of computer system message)

  • 최석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17
    • /
    • 1986
  • 컴퓨터시스템메세지는 이용자가 그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해하기 어렵거나 부정확한 메세지는 더 많은 에러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좋지않은 메세지의 보다 큰 문제점은 이용자가 메세지의 이해부족으로 인해 컴퓨터이용에 대한 의욕이 일단 무너지면 다시 일으켜 세우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데 있다. 본고에서는 컴퓨터시스템과 이용자간의 인터페이스향상의 일례로서 영문컴퓨터메세지의 한국어 및 일본어의 자동생성에 관하여 실례와 함께 논한다.

  • PDF

극소형 전자기계장치에 관한 연구전망

  • 양상식
    • 전기의세계
    • /
    • 제39권6호
    • /
    • pp.14-19
    • /
    • 1990
  • 1. CAD system과 PROPS를 접속하여 CADsystem에서 Design된 surface를 사용할 수 있으며 Robot Kinematics를 graphic library화하여 surface배치 수상 및 path generation 및 animation을 통하여 가공작업을 위한 로보트 운동을 simulation할 수 있게 되었다. 2. Denavit-hartenberg transformation form에 의해 여러 Robot Kinematic을 일반적인 형식으로 library화 하였다. 3. 금형 가공의 공정들을 Menu로 만들어서 Expert system을 도입, 손쉽게 Interactive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였다. 4. 차후의 연구 목표는 로보트 Calibration S/W의 개발 및 실현 그리고 Expert System을 이용한 Robot Program Generator의 완성을 통한 전체 Off-line programming System을 정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더 실제적인 Tool Path Generation과 Expert System을 이용한 가공 조건의 결정 및 User Interface를 위한 Window가 개발되어야 한다. 5. 1차년도에 개발된 Robotonomic Tool System의 유연성을 확장시킨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확장시킨다. 6. 연마공정자동화에 필수적인 공구 및 공구 Tip의 표준화 및 자동교환장치를 개발한다. 7. 금형연마 Cell의 구성요소들간의 Interface 및 System Controller에서의 집적화를 시킨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