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ace design

검색결과 4,842건 처리시간 0.036초

한국형 경량전철의 실내공간배치를 위한 디자인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Interface Design Elements for the Interior Layout of the Korean AGT)

  • 최출헌;한석윤;신학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9-138
    • /
    • 2001
  • This paper studies on the user-interface design elements for the vehicle interior layout of the Korean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These are based on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space consciousness of both ethnic and class differences. This means human- oriented interface design. In order to apply the user-interface design, it is necessary to find the examples of lightrail at the foreign country, and research and analyze their design trend. Then try to combine into a concept of user interface design and interior layout.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apply the Korean AGT as a guide.

  • PDF

User Interface Design & Evaluation of Mobile Applications

  • Samrgandi, Najw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호
    • /
    • pp.55-63
    • /
    • 2021
  • The design functionality put forward by mapping the interactiveness of information. The presentation of such information with the user interface model indicates that the guidelines, concepts, and workflows form the deliverables and milestones for achieving a visualized design, therefore forming the right trend is significant to ensure compliance in terms of changing consideration and applying evaluation in the early stages. It is evidenced that prototype design is guided by improvement specifications, includes modes, and variables that increase improvements. The study presents five user interface testing methods. The testing methods are heuristic evaluation, perspective-based user interface testing, cognitive walkthrough, pluralistic walkthrough, and formal usability inspection. It appears that the five testing methods can be combined and matched to produce reasonable results. At last, the study presents different mobile application designs for student projects besides the evaluation of mobile application designs to consider the user needs and usability.

인터넷에서의 한국 전통 소재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Study of the user-oriented GUI design to build the database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on internet)

  • 이현주;박영순;김영인;김서경;방경란;이정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125-135
    • /
    • 2000
  • 컴퓨터가 대중화되고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이 등장함에 따라, 정보의 이동속도와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분석하고 구조화하는 정보디자인과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의 접점에 있는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이 높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의 환경분석과 정보디자인을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보디자인과 GUI(Graphic User Interface)디자인의 원칙 및 구성요소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하였다. 그 결과, 정보디자인은 정보의 특성에 따라 정보를 세분화하고 조직화하며 정보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정보구조를 체계화하는 것이며, GUI디자인은 그래픽에 기반을 둔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예측성, 일관성, 가시성, 투명성, 피드백의 중요성 등과 적합성의 원칙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정보디자인과 GUI디자인은 디지털정보의 가공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앞으로 정보량의 증가와 기술발전에 따른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작하고 이를 GUI디자인의 프로토타입으로 제시하였다.

  • PDF

디자인 관점으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해석 (Interpretation on User Interface from the Design Point of View)

  • 박영목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89-198
    • /
    • 2004
  •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학제의 결합에 의하여 생겨났다. 이는 장점일 수도 있으나, 어느 한 학문분야의 특성과 고유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단점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영역의 특수성과 고유성을 반영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체계를 개발하여야하는 당위성과 개발하여야 할 때에 필요로 되는 요소 및 관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인간과 대상 그리고 관계의 기술 형식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디자인과 비교를 통하여 유사성과 차이를 규명하였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자인 영역에 도입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디자인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결론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의 광범위한 의미에 포함될 수 있는 개념과 체계이나 아직 디자인의 특성에 적합한 체계로서 발전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알았으며, 이를 위하여서는 개념의 해석, 개발프로세스 등에서 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한 개념과 방법, 지식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시각적 무게 (Visual Weight of Interface Design)

  • 박찬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461-46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에 있어 시각적 무게에 따라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우선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스큐어모피즘의 시대를 거쳐 플랫디자인에서 머티리얼 디자인 또는 머리티얼 디자인 일부를 차용해 심도와 차원을 표현하고 있었다. 이는 심도와 차원을 표현하기 어려운 메트로 UI와 플랫디자인의 특징에 의한 것이지만 머티리얼 디자인에서는 시선 유도를 위한 별도의 장치는 없었기에 게슈탈트 이론에서 시각적 무게를 구분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영역의 크기와 배치, 근접성, 폐쇄성 그리고 관념성이 시각적 무게와 방향에 대해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그를 통해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수명 공동주택 인터페이스의 친환경적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method of the environmental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 손영민;왕우철;최영호
    • KIEAE Journal
    • /
    • 제9권3호
    • /
    • pp.3-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design for the environmental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Research,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rface, is underway at the research organization of Long Life Housing. Infill system should accommodate the various changes in the space. So dismantlement,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act are essential. In this process, A lot of substance, which can damage or spoil the environment, may be produced. However, the eco-friendly aspects of the interface design of infill system is not made in the approach or evaluation. Therefore,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in terms of eco-friendly, and it try to find a design method, complemented in the next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