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est in history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사 속의 자기(磁氣) 관련 기록에 대한 조사 연구 (Survey on Records about Magnetism in Written Korean History)

  • 이근우;권해웅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2-146
    • /
    • 2012
  • 자석에 대한 인간의 관심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자석을 바라보는 시선도 다양했다. 과거에는 과학자의 시선이 아니라 철학자의 눈으로 바라다 보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자석을 어떻게 인식해왔는가를 다루어보고자 한다. 자석과 관련된 내용을 시기적으로 분류해 보면 1) 자성(磁性)의 인식기 2) 극성(極性)의 인식기 3) 근대지식의 유입기로 나눌 수 있다. 한국사 전체에서 보면, 신라에서 자석을 생산하였다는 기록을 찾을 수 있었으며 고려시대 기록에서는 자석에 관한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 자석에 대한 관심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고조된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풍수 즉 양택과 음택의 입지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항해에 자석을 사용하였다는 기록도 확인된다. 그밖에 의외의 사용처로는 약재의 일부로 쓴 경우를 볼 수 있다.

학교 수학에 활용 가능한 확률.통계 영역에서의 역사적 패러독스 (Historic Paradoxe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Usable in School Mathematics)

  • 이종학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9-141
    • /
    • 2011
  • 수학의 여러 분야 가운데 패러독스가 가장 풍부한 분야는 확률 통계 영역이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확률 통계 이론의 전개 과정에서 지난 시기 동안 연구자들이 직관과 상식에 의해 참이라고 믿고 있었지만 그 사이에는 감춰져 있던 다양한 패러독스들이 존재했으며, 이 패러독스들을 수학자들이 밝히고 수학적으로 해결해 나가면서 현재의 형식적 체계에 이르게 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학교 수학에서 확률 통계 영역의 교수 학습 자료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역사적 패러독스들은 그 당시 현실적 맥락의 도입에 따른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또한 교실 수업에서 역사 발생적 원리에 따라 패러독스를 제기하고 해결하고자 고민한 수학자들의 수학적 사고를 엿볼 수 있는 타당한 교수 학습 자료이다. 더불어 확률 통계 영역에서 역사적 패러독스를 활용하는 교실 수업은 형식적이고 연역적인 학교 수학을 학생의 발견적 형성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수학으로 변화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률 통계 영역의 형식화 과정에서 발생한 역사적인 패러독스들 중에서 중 고등학교 확률 통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패러독스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한 이 패러독스들을 교실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일본 '한국문학사'에서의 한국고전문학사 인식과 서술양상 (The Perceptions and Description Patterns of the History of Ancient Korean Literature in Two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Japanese)

  • 류정선
    • 비교문화연구
    • /
    • 제48권
    • /
    • pp.1-30
    • /
    • 2017
  • 본 연구는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고전문학사를 중심으로 일본문학사와 남북한 문학사와의 문화횡단적 양상을 살핌으로써 한국문학사에 대한 인식과 서술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 분석대상은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을 대상으로 일본어판 "조선문학사"를 저술한 김동욱과 변재수이다. 일본문학과의 비교문학적 관점인 김동욱의 "조선문학사"(1974)와 재일조총련계로서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저술한 변재수의 "조선문학사"(1985)는 자국문학사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과 인식이 서로 달랐다. 이것은 무엇보다 분단체제로 인한 남북한의 문학사가 이질적으로 전개되는 현실에서 그들의 "조선문학사"는 남북문학사의 균열상을 담아내고 있다. 하지만 그 한편으로 한문문학의 가치와 향가, 한글창제, 그리고 판소리의 독자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문학으로서 한글문학과 한문문학이 서로 상호작용 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그들의 일본어판 "조선문학사"의 저술의의는 민족주의적 시각하에 일반적으로 한국문학을 중국문학의 아류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한국문학의 가치를 재정립시키고, 일본인에게는 한국문학의 우수성을 재일동포에게는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노력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황인식 컴퓨팅을 위한 사람 움직임 이벤트 인식 (Recognition of Events by Human Motion for Context-aware Computing)

  • 최요환;신성윤;이창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7-57
    • /
    • 2009
  • 최근 컴퓨터비젼 분야에서 이벤트 검출 및 인식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도전적인 주제들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무실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의 검출 및 인식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MHI(Motion History Image) 시퀀스(sequence)를 이응한 인간의 모션을 분석하며, 사람의 처형과 착용한 옷의 종류와 색상, 그리고 카메라로부터의 위치관계에 불변한 특성을 가진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들 중, 칼라 정보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조명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장점이 있으며, 관심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외형과 같은 사전지식에 의존하는 방법에 비해 스케일에 민감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에지검출 기술을 HMI 순서 영상 정보와 결합하여 사람 모션의 기하학적 특징을 추출한 후, 이벤트 인식의 기본정보로 활용한다. 제안된 방법은 단순한 이벤트 검출 프레임웍을 사용하기 때문에 검출하고자 하는 이벤트의 설명만을 첨가하는 것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컴퓨터비젼 기술에 기반한 많은 감시시스템 뿐 아니라 상황인식 기반의 이벤트 검출 시스템에 핵심기술이다.

지구의 연령 측정 관련 과학사 수업 개발 (Development of a History of Science Lesson Using the Content of 'Age Dating of the Earth')

  • 신동희;강혜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4-333
    • /
    • 2011
  • 과학 수업에 과학사를 도입하자는 주장은 과학 지식과 과학적 방법의 이해,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찰, 과학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의 이해 등의 필요성에 따라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통합 과학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과학사는 통합 과학 교육의 방안으로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과학 교육에 활용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 과학 주제로서 과학사를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해 과학사 수업을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과학의 주제로서의 과학사 수업의 개발을 위해 '지구의 연령'을 주제로 선정했다.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범 적용 결과, 학생들은 수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국에서 유라시아 문명교류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A brief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of cultural exchange of Eurasian Continent in Korea)

  • 권오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166-185
    • /
    • 2015
  • 최근 세계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경제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동서를 연결하던 고대 교통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국내 학계에서 유라시아 동서 문명 교섭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그다지 활발할 편이 아니지만 역사학,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복식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를 진행시켜 왔다. 북방 초원길을 통한 교섭사는 한민족과 한국문화의 기원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는데, 몽골과 카자흐스탄지역의 유적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가 꾸준히 이루어지면서 흉노, 쿠르간 문화 등으로 연구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사막과 오아시스의 길을 통한 교섭은 미술사 분야에서 연구를 주도해왔다. 이란,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등에 대한 현지조사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진행되면서 신라의 황금문화, 유리의 전래, 불교문화의 동전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바닷길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부진한 편이다. 동남아시아에 소재하는 불교와 힌두교 사원에 대한 관심은 적지 않았으나 이 유적들을 연결하는 바닷길의 복원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로 확산되어야 한다. 베트남의 돈 손 문화와 싸 후인 문화 유적을 국내 연구자들이 직접 조사하게 됨으로써 앞으로 이 분야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는 한국사, 한국 문화와 직접 관련이 없는 주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인류 공동의 문명을 연구하고 보존하는 것도 우리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Do mother's interests in weight control influence preschoolers' obesity and weight related concerns?

  • Ha, Ae-Wh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4호
    • /
    • pp.321-32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interest in weight control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preschooler's obesity and weight related concern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470 parents' self-reports. To score interests in weight control, mothers rated each of 6 items on a five-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disagree (1) to agree (5). The perceptions of mothers' weights and their children's weights, mothers' Body Mass Index (BMI), preschoolers' Weight-Length Index (WLI) (%), and weight-related concerns were determined. The mothers' BM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terest scores of weight control in mothers (r=0.632, p<0.001) while their children's obesity was weakly correlated with the mothers' interest scores (r=0.133, p=0.025). Mothers with a high interest of weight control reported higher percentages of family history of obesity than mothers with lower interests (63.2% vs. 36.8%, p<0.001). Two-thirds of the mothers (65.4%) were accurate in their perceptions about their weights. Similarly, 63.7% of mothers knew exactly their children's weight-statuses. Compared with mothers with low interest in weight controls, mothers with high interest in weight control had lower correct-perceptions about their weights (p<0.05) but higher correct-perceptions about their children's weights. More than two-thirds of mothers (85%) reported not worrying about their children's obesity in the future. Only 14.3% of the moth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weight statuses. Three-fourths of mothers preferred exercise as an effective weight-control method for their children, 20% preferred diet therapy and 5.5% preferred behavior modification. More girls were overweight / obese, than boys (overweight: 16.1% (girl) vs. 12.8% (boy), obese: 5.4% (girl) vs. 4.5% (boy)). About 40% of overweight girls' mothers had low interests in their weight controls with low correct-perceptions in their children's weights, which suggests possible elevated risk of obesity, especially in girls, in the future.

문학텍스트와 문학적 해석 -「스페인 문학사」를 통한 모델 연구 (Literary Text and the Cultural Interpretation - A Study of the Model of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 나송주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465-485
    • /
    • 2012
  • Instructing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class faces various types of limits and obstacles, just as other foreign language literature history classes do. Majority of students enter the university without having any previous spanish learning experience, which means, for them, even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itself can be difficult. Moreover, the fact that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is traced all the way back to the Middle Age, students encounter even more difficulties and find factors that make them feel the class is not interesting. To list several, such factors include the embarrassment felt by the students, antiquated expressions, literature texts filled with deliberately broken grammars, explanations written in pretentious vocabularies, disorderly introduction of many different literary works that ignores the big picture, in which in return, reduces academic interest in students, and finally general lack of interest in literate itself due to the fact that the following generation is used to visual media. Although recognizing such problem that causes the distortion of the value of our lives and literature is a very imminent problem, there has not even been a primary discussion on such matter. Thus, the problem of what to teach in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class remains unsolved so far. Such problem includes wether to teach the history of authors and literature works, or the chronology of the text, the correlations, and what style of writing to teach first among many, and how to teach to read with criticism, and how to effectively utilize the limited class time to teach. However, unfortunately, there has not been any sorts of discussion among the insructors. I, as well, am not so proud of myself either when I question myself of how little and insufficiently did I contemplate about such problems. Living in the era so called the visual media era or the crisis of humanity studies, now there is a strong need to bring some change i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history. To suggest a solution to make such necessary change, I recommended to incorporate the visual media, the culture or custom that students are accustomed to, to the class. This solution is not only an attempt to introduce various fields to students, superseding the mere literature reserch area, but also the result that reflects the voice of students who come from a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generation. Thus, what not to forget is that the bottom line of adopting a new teaching method is to increase the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broaden the horizon of the Spanish literature. However, the ultimate goal of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class is the contemplation about humanity, not the progress in linguistic ability. Similarly, the ultimate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is to train students to become a successful member of the society. To achieve such goal, cultural approach to the literature text helps not only Spanish learning but also pragmatic education. Moreover, it helps to go beyond of what a mere functional person does. However, despite such optimistic expectations, foreign literature class has to face limits of eclecticism. As for the solution, as mentioned above, the method of teaching that mainly incorporates cultural text is a approach that fulfills the students with sensibility who live in the visual era. Second, it is a three-dimensional and sensible approach for the visual era, not an annotation that searches for any ambiguous vocabularies or metaphors. Third, it is the method that reduces the burdensome amount of reading. Fourth, it triggers interest in students including philosophical, sociocultural, and political ones. Such experience is expected to stimulate the intellectual curiosity in students and moreover motivates them to continues their study in graduate school, because it itself can be an interesting area of study.

한국 한방화장품 발달 배경 및 연구 현황 (The Background and Current Research Applied to Development of Korean Cosmetics Based on Traditional Asian Medicine)

  • 조가영;박효민;최소웅;권이경;조성아;서병휘;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63-71
    • /
    • 2017
  • Traditional Asian medicine has an extensive evidence base built upon thousands of years of experience within Asia, of curing various diseases. Only recently, within the past two centuries, have modern medical scientists developed interest in traditional Asian medicine. Asian Medicine seems to be regarded only as an adjunctive medicine and viewed as alargely un-proven alternative medicine to complement western medicine, used in some cases to establish a new paradigm of "integrative medicine". This article reviews how Korean herbal cosmetics emerged by applying traditional Asian medicine to the science of cosmetic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erbal cosmetics are examined through examples of history, concepts and traditions. With the advancements in biotechnology, studies are now being conducted on the dermatological effects and processing methods of herbal ingredients, including ginseng. The authors explain the current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on the active ingredients of herbs, extraction methods, and bio-processing of ingredients to improve the biological efficacies of herbs on the skin. A summary of studies focused on modern reinterpretations of ageing theories, such as 'Seven year aging cycle', are provided.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osmetics products are based on the accumulated knowledge of thousands of years of experience including; 1) practical heritage of traditional Asian medicines such as Donguibogam; 2) excellent medicinal plants, such as ginseng, which are native to Korea; and 3) innovative attempts to modernize materials, processes, and principles.

A Study of Ginseng Culture within 'Joseonwangjosilok' through Textual Frequency Analysis

  • Mi-Hye Kim
    • 셀메드
    • /
    • 제14권2호
    • /
    • pp.2.1-2.10
    • /
    • 2024
  •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the 'Joseonwangjosilok',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ginseng among the ruling class and its utilization during the Joseon era. It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inseng into a high-value cultural commodity. The focus of this research, the Joseonwangjosilok, comprises 1,968 volumes in 948 books, spanning a record of 518 years. Data was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on the websit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followed by frequency analysis of significant words. To assess the interest in ginseng across the reigns of 27 kings during the Joseon era, ginseng frequency records were adjusted based on years in power and the number of articles, creating an interest index for comparative rankings across reigns. Analysis revealed higher interest in ginseng during the reigns of King Jeongjo and King Yeongjo in the 18th century, King Sunjo in the 19th century, King Sejong in the 15th century, King Sukjong in the 17th century, and King Gojong in the 19th century. Examining the temporal emergence and changes in ginseng during the Joseon era, general ginseng types like insam and sansam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15th century. It appears that Korea adeptly utilized ceremonial goods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and Japan, meeting the demand for ginseng from their royal and aristocratic societies. Processed ginseng varieties such as hongsam and posam, along with traded and taxed ginseng, showed peak frequency in the 18th century. This coincided with increased cultivation, allowing a higher supply and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ginseng processing technologies like hongs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