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41초

등골나물 추출물이 인간의 유방암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patorium japonicum Extract on the Metastasis, Invasion and Adhesion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우은영;박소영;권수진;권규택;김종대;임순성;윤정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13-219
    • /
    • 2011
  • 등골나물은 국화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고혈압, 폐렴, 황달, 홍역, 요통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골나물의 꽃 부위를 추출하여 등골나물 추출물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농도($0-20{\mu}g/mL$)가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등골나물 추출물은 MMP-9, MMP-2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TIMP-1의 발현은 감소시킨 반면 TIMP-2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등골나물 추출물은 uPA, VEGF 그리고 ICAM의 mRNA 및 단백질 수준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특히, 등골나물 헥산 분획물이 유방암세포의 이동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등골나물 추출물은 MMP-9, MMP-2, uPA, TIMP-1 및 ICAM의 감소, TIPM-2의 증가를 통해 유방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효능을 지닌 등골나물 추출물을 암전이에 효과가 있는 암예방제나 항암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목단피지황탕(牧丹皮地黃湯)이 위점막손상(胃粘膜損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okdanpijihwang-tang on gastric mucosal damage in mice)

  • 박성식;이지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1-183
    • /
    • 2000
  • 1. Back ground and purpose An experimental study h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defense and cure gastric mucasal damage of Mokdan-pijihwang-tang. 2. Methods Mice had intragastric injected with MJ extract before indomethacin treatment which induces homorrhage infarct and erosion artificially.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general morphology, change of mucous cell, the distribution of PNA, ICAM and distribution of apoptotic cell were objected. (Abbreviation) MJ : Mokdanpijihwang-tang, PNA : Peanut Agglutinin, ICAM :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3 Results 1) The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in INDO-group had increased conspicuously than control group. But the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in MJ-group had decreased than INDO-group and these decline had probability. 2) After indomethacin treatment, hemorrhage infarct and erosion had increased in stomach body. But in MJ-group, the configuration is normal, except the group intragastric injected with MJ extract at hour 24 before indomethacin treatment. 3) Surface mucous cell and neck mucous had disappeared in INDO-group. But in MJ-group tormal distribution had shown like control group except the group intragastric injected with MJ extract at hour 24 before indomethacin treatment. 4) PNA positive reaction had not shown in INDO-group. But medium PNA positive reaction had shown In Mj-group. 5) ICAM positive reacted cell had shown in INDO-group. The decrease of ICAM positive cell were shown than INDO-group. 6) A number of apoptotic cell was distributed in hemorrhagic erosion. A few number of apoptotic cell was distributed in MJ-group except some surface mucous. 4.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J has an effect on cure of gastric mucosal damage.

  • PDF

Prevalence of dynapenic obesity and sarcopenic obesity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 Tabibi, Hadi;As'habi, Atefeh;Najafi, Iraj;Hedayati, Mehdi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
    • 제37권4호
    • /
    • pp.404-413
    • /
    • 2018
  • Background: Dynapenic obesity and sarcopenic obesity increase cardiovascular disease (CVD) and mortality in nonuremic patien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dynapenic obesity and sarcopenic obesity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VD risk factors in peritoneal dialysis (PD) patients. Methods: All eligible PD patients in Tehran peritoneal dialysis centers were includ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Skeletal muscle mass and fat mass were assessed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Muscle strength and physical performance were determined using hand grip strength and a 4-meter walk gait speed test, respectively. In addition, a 5-mL blood sample was obtained from each patient. Results: The prevalence of dynapenic obesity and sarcopenic obesity were 11.4% and 3.8% in PD patients, respectively. Serum high-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 soluble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type 1,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D patients with dynapenic obesity than in dynapenic nonobese and nondynapenic nonobese patients. Similarly, serum concentrations of CVD risk factors in PD patients with sarcopenic obesity were higher than in nonsarcopenic nonobese patients, but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serum hs-CRP and triglyceride. In addition, muscle strength and skeletal muscle mass percentag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kers of inflammation and dyslipidemia, whereas body fat percentag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se CVD risk factors.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although the prevalence of dynapenic obesity and sarcopenic obesity are relatively low in PD patients, these disorders may be associated with CVD risk factors.

상추 추출물(Lactuca sativa L.)의 혈관내피세포에서 항염증 작용과 고지방 식이 생쥐에서 혈중 지질농도 개선에 미치는 영향 (Anti-inflammatory Effect of Lactuca sativa L. Extract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and Improvement of Lipid Levels in Mice Fed a High-fat Diet)

  • 황보전;장경옥;정하영;박종화;이태훈;김지영;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98-100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추 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UVEC을 이용한 in vitro 실험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상추 추출물은 HUVEC에서 TNF-${\alpha}$에 의해 증가되는 세포접착단백질 ICAM-1, VCAM-1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TNF-${\alpha}$에 의해 촉진되는 HUVEC와 단핵구 세포의 부착을 감소시켰다. 또한 상추 추출물은 TNF-${\alpha}$에 의해 증가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IL-8 및 동맥경화 유발 케모카인 MCP-1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물모델에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 및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고 상추추출물이 첨가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혈중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경우 혈중 중성지방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의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감소하였고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경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경우 감소하였다. 혈청의 동맥경화지수 및 심혈관지수는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정상 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상추 추출물이 첨가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상추 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의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혈관협착을 방지할 수 있고 혈중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를 보여 혈액순환개선 및 동맥경화,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 선암종에서의 E-cadherin, $\beta$-catenin 및 c-Met 단백 발현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Expression of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in Gastric Adenocarcinomas)

  • 조성진;김민경;신봉경;민연기;조민영;서성옥;원남희;채양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2호
    • /
    • pp.92-99
    • /
    • 2001
  • Purpose: E-cadherin is an adhesion molecule essential for tight connection between cells, forming the cadherin/catenin complex. Truncated $\beta$-catenin disrupts the interaction between E-cadherin and $\alpha$-catenin, leading to the loss of intercellular adhesion. Met protein, the 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plays important roles in signal transduc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ressions of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protein and the clinicopathological and prognostic parameters in gastric adeno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terns of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protein expression were studi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archival tissues from 76 surgically resected gastric adenocarcinomas. Results: Increased expressions of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were mo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early gastric cancers (EGC) than in advanced gastric cancers (AGC) (P=0.002, P=0.003 and P=0.026). The positive immunoreactivities of all three markers were markedly lower in signet ring-cell type and poorly differentiated type lesions than in intestinal-type lesions. Decreased expression of the $\beta$-catenin protein correlated well with increased tumor invasion depth (P=0.039), and increased lymph node metastasis correlated well with reduced expression of c-met (P=0.046). Conclusion: In gastric cancers, reduced expressions of the E-cadherin, $\beta$-catenin, and c-met proteins may play some role in poorer tumor differentiation, deeper tumor invasion, and increased lymph node metastasis. Also, the c-met gene is thought to play a specific role in the mechanism of the yet unknown catenin action.

  • PDF

이소 생쥐심장이식 모델에서 조기 시간경과에 따른 관상동맥의 면역병리학적인 변화 (Early Time Course of Immunopathologic Changes in Coronary Arteries of Heterotopically Transplanted Mouse Heart)

  • 이정렬;임홍국;서정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19-1126
    • /
    • 1998
  • 배정: 연구자 등은 본 연구에서 가속화된 이식동맥 경화증의 조기 진행경과를 규영하기 위하여 제1분류 주 조직적합성항원(빠IC class 1)의 한지 라만 다른 생쥐 종조합을 이용하여 이소심장이식을 시행하고 이식성장 의 관상동맥에서의 주조직적합성항원(MHC), 세포간부착분자-1(ICAM-l), 혈관세포부착분자-1 (VCAM-l), 인터 루킨-6의 발현 및 조직병리학적 병변의 변화 양상이 이식 후 4주 이내의 조기에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생후 7-10주된 BIO.A 생쥐를 공여심장으로, BIO.BR 생쥐를 피이식 생쥐로 이용하였다. 이식후 피이식생쥐에 면역억제요법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군을 7일, 15일, 21일, 30일 등 네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 해당되는 날짜에 공여심장과 피이식생쥐의 심장을 적출하였다. 성장조직표본은 면역조직화학법, 현미경적소견, 형태학적 측정법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가는 중복관찰을 통한 경, 중등, 강의 등 급체계로 반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제1분류 주조직적합성항원의 발현은 7일 경과 표본에서 이미 강하게 발현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에도 계속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제2분류 주조직적합성항원 의 발현은 모든 군에서 미미하거나 발현이 되지 않았다, 세포간부착분자-1 발현은 7일 경과 표본부터 경도 내지 중등도로 관상동맥내펴세포에서 발현되었으나 혈관중층세포에서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혈관세포 부착분자-1 발현은 네군 모두에서 헐관내피세포 및 중층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인터루킨-6의 발현은 모든 군에서 중등도로 발현이 되었다.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변화양상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을 보이는 혈관 이 7일 경과 표본에서는 관찰혈관 중 평균 10%에서 보이다가 30일 경과 표본에서는 50%의 혈관에서 관찰되었다. 그 결과 혈관 내강의 면적의 감소가 20%에서 40%로 증가하였다. 혈관중층펑활근의 증식여부를 관찰 하기 위한 트로포마이오신 염색의 결과는 적어도 30일까지는 경도 이하로 관찰이 되었으며 중층완전성도 역시 잘 유지되었다. 혈관주변 단핵세포 침윤은 7일 경과 표본에서 중등도 정도로 관찰되다가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피이식생쥐의 심장표본에서는 네군 모두에서 연역병리학적인 소견이 전혀 관찰 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이소 생쥐심장이식 모델에서 공여심장의 관상동맥에서 발현되는 부착물질 및 싸이토카인 등이 이미 7일 이내의 조기부터 발현되기 시작하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혈관내막세포증식, 혈관주변세포침윤 등 조직영리학적인 병변의 진행양상 역시 30일이 경과하는 사이에도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양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연구자 등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속화된 이식동맥 경화증이 급작스런 현상이 아닌 만성적인 면역반응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론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f ICAM-1 and β3 Integrin Gene Variations in Patients with Brain Tumors

  • Yilmaz, Umit;Zeybek, Umit;Kahraman, Ozlem Timirci;Kafadar, Ali Metin;Toptas, Bahar;Yamak, Nesibe;Celik, Faruk;Yaylim, Il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5929-5934
    • /
    • 2013
  • Background: Primary brain tumors constitute a small percent of all malignant cancers, but their etiology remains poorly understood. ${\beta}3$ integrin (ITGB3) has been recognized to play influential roles in angiogenesis, tumor growth and metastasis.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is a surface glycoprotein important for tumor invasion and angiogene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pecific genetic polymorphisms of ICAM-1 and ITGB3 could be associated with brain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in a Turkish population. Our study is the first to our knowledg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tumor risk and ICAM-1 and ${\beta}3$ integrin gene polymorphism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covered 92 patients with primary brain tumors and 92 age-matched healthy control subjects. Evaluation of ${\beta}3$ integrin (Leu33Pro (rs5918)) and ICAM-1 (R241G (rs1799969) and K469E (rs5498)) gene polymorphisms was perfo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Results: According to results of our research, the A allele of the ICAM-1 R241G gene polymorphism appeared to be a risk factor for primary brain tumors (p<0.001). Similarly, the frequency of the A mutant allele of ICAM-1 R241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tients with brain tumors classified as glioma (p<0.001). When allele and genotype distributions of ICAM-1 K469E, ICAM-1 R241G and ${\beta}3$ integrin Leu33Pro gene polymorphisms were evaluated with age, sex, and smoking,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aplotyp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requencies of GAC (rs1799969-rs5498-rs5918) and GAT (rs1799969-rs5498-rs5918) haplotyp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as compared with controls (p=0.001; p=0.036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evidence that ICAM-1 R241G SNP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risk of primary brain tumors in a Turkish population. In addi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ICAM-1 R241G in combination ICAM-1 K469E may have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development of brain cancer.

오디 추출물(Morus alba L.)의 혈행개선 효과 (Effect of Mulberry (Morus alba L.) Extract on Blood Flow Improvement)

  • 박연실;강성선;최형자;양성준;손호형;서형호;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8-5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국내산(전라북도 부안군) 오디의 혈액순환장애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및 고지혈증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MBE가 DPPH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SC_{50}$값은 $89.36{\pm}5.46{\mu}g/mL$로 정제되지 않은 복합물질임을 감안하면 다른 식물추출물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RAW 264.7 세포 및 HepG2 세포에 대한 MBE의 세포독성은 2,500 ${\mu}g/mL$ 이하의 농도를 처리한 경우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 COX-2의 활성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MBE의 $IC_{50}$값은 $215.94{\pm}18.15$이었고, human LDL의 산화억제 효과는 최종반응 농도가 200 및 400 ${\mu}g/mL$일 경우 유의적인 감소(P<0.05) 효과가 있었다. 또한 TNF-${\alpha}$에 의하여 활성화된 HUVECs에서 MBE가 증가된 ICAM-1 및 VCAM-1의 발현을 감소(P<0.05)시켰으며 LPS에 의하여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MBE가 증가된 COX-2 및 5-LO의 발현을 감소(P<0.05)시킴을 알 수 있었다. 고지혈증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MBE의 일부 실험군(200 mg 및 400 mg/kg 체중/day, 14 days)에서 혈청 total cholesterol의 수치는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P<0.05)시켰으나 혈청 C-reactive protein의 수치는 모든 실험군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MBE의 항산화능, COX-2 활성억제 및 COX-2와 5-LO의 발현억제를 통한 염증억제, 혈중 total cholesterol 감소를 통한 이상지질혈증의 개선 효과 및 ICAM-1과 VCAM-1의 발현억제를 통한 혈관협착 방지의 효과들을 종합해 보면 오디추출물인 MBE가 혈액순환장애를 유발하거나 확대시키는 다양한 핵심요소들을 다각도로 개선시킴으로써 혈액순환장애의 예방과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후코이단이 혈관 내피세포의 신생혈관 생성 효과 및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coidan on Angiogenesis and Gene Express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박호;김범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3-328
    • /
    • 2017
  • 신생혈관생성은 여러 신생혈관 생성 인자들이 포함되는 중요한 과정이며, 특히 이 과정에서는 섬유아세포증식인자(FGF-2)는 세포의 증식률과 미세관 형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중요한 신생혈관 생성인자로 여겨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해조류에서 추출되는 후코이단 다당류 물질이 섬유아세포 증식인자2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미세관형성을 더욱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섬유아세포 증식인자와 후코이단 복합처리에 따른 신생혈관생성 활성에 대한 분자적 메카니즘은 아직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생혈관생성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섬유아세포 증식인자와 후코이단 물질의 복합처리에 따른 세포의 증식과 미세관형성률 그리고 세포의 이동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신생혈관 생성 활성에 관련된 인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VEGF-A, ICAM-1, MMP9, 그리고 ICAM-1 유전자를 연전사 중합연쇄반응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후코이단과 섬유아세포 증식인자 복합처리는 혈관내피세포의 성장률, 미세관 형성률 그리고 세포의 이동률을 촉진하고, 이 과정에서 신생혈관생성 기능과 관련된 STAT3, VEGF-A, MMP9 그리고 ICAM-1의 유전자 발현을 촉진함으로 신생혈관 생성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 발현이 fucoidan/FGF2에 의한 angiogenic 활성 촉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알로에 배지에서 재배한 표고버섯 추출물의 종양괴사인자로 유도된 유방암세포 MDA-MB231에 대한 전이 저해 활성 (Inhibitory Effect of Shiitake Mushroom Extracts Cultured in Aloe-Supplement on Invasion/Migration of TNF-α-Induced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 서석종;김철호;백진홍;이경혜;신동범;박성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4-48
    • /
    • 2015
  • 알로에를 첨가한 표고버섯 배양 추출물(ESA)의 항암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에 ESA를 처리하여 생육저해 활성과 세포 이동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MDA-MB-231 세포에 ESA를 처리하여 72시간 후 관찰한 결과 약간의 생육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transwell에서 TNF-${\alpha}$가 처리된 세포에 ESA를 처리해 본 결과 migration/invasion 정도를 상당히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세포 이동능의 저해 기작은 웨스턴 블럿 분석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p-ERK 신호를 통해 일어나며, ICAM-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알로에 첨가 담자균 배양추출물(ESA)은 인간 유방암세포에 대해 잠재적인 항암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표고버섯 외 꽃송이버섯과 상황버섯에서의 알로에 배양액에 대한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