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interview syste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Automation of an Interactive Interview System by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Particle Filter

  • Lee, Yang-We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6호
    • /
    • pp.633-636
    • /
    • 2011
  • This paper describes a implementation of virtual interactive interview system. A hand motion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the particle filters is applied for this system. The particle filter is well operated for human hand motion recognition than any other recognition algorithm. Through the experiments, we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s stable and works well in virtual interview system's environments.

선삭공정에 있어서 공구선택용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Expert System for Tool Selection on Turning Operation)

  • 백인환;권혁준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3-60
    • /
    • 1992
  • This paper deals with developing an Expert system for tool selection using knowledge base system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For the sake of building of knowledge base, the information from process through sensor, tool handbook and interview with expert are referrenced and managed. The system developed shows good application flexibility in providing the actual cutting process with the selection of tool(insert, holder) and cutting conditions(feed, speed, rake type, and so on), is found as a useful system for real-time machining process. The Expert system for tool selection is written in TURBO PROLOG ver. 2.0 for inference engine capability, and can be run in interactive mode for user friendliness. In order to apply the system developed in actual cutting process, more parameters should be considered and scrutinized, and the system should be further extended in modular basis.

  • PDF

이벤트 주도형 소셜 미디어: 특유문화 생성을 위한 군중 컴퓨팅 시스템 개발 (Event-Driven Social Media: Crowd Computing System Development for Idioculture Generation)

  • 임성택;차상윤;박차라;문지현;이인성;김진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301-309
    • /
    • 2009
  • This study focuses on event-driven social media (EDSM), which supports the production of unique cultural items of small groups by satisfying the conflicting desires of distinctiveness and assimilation that small groups possess. EDSM is a system which promotes the production of idioculture through small group interaction by using an actual event in which people participate in small groups. By setting up an EDSM system in a university festival in which 10,000 to 15,000 people gather in small groups, idioculture production was tested for approximately eight hours and a half. Interaction records gathered from the test,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 data garnered soon after were used to analyze usage patterns of EDSM, types of idiocultures produced, and resulting factors of user experience. Through this, considerations upon designing future EDSM were proposed.

  • PDF

전자매뉴얼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법.행정절차 제공 시스템의 개념적 모형 (A Conceptual Model for an Administrative and Legal Process Provider of Urban Regeneration using Construction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

  • 박문서;정진욱;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3-42
    • /
    • 2010
  • 최근 건설 산업은 IT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기류를 맞고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하고 신속한 정보 및 지식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용자간 의사소통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시공단계의 정보들을 처리해 주는 PMIS와 사용자들의 업무 노하우를 공유하는 수단인 KMS와 같은 시스템이 현장에 적용 되어 활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전자매뉴얼(IETM)로 대변되어지는 생애주기 전반의 법, 행정 절차제공자에 관한 연구로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과 같은 대규모 건설사업의 경우 사용주체와 용도에 따라 주요 기능이 역동적으로 변화되는데 이 역동성은 전자매뉴얼 고유의 역할을 제한하기도 하고 기존의 시스템들과 경계를 모호하게 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력 실무자들을 대상으로한 설문과 인터뷰, 건설프로젝트의 특성 분석을 통하여 건설분야 전자매뉴얼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과 설계 전략을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재생사업의 적용예를 통해 법과 행정절차 제공자라는 개발취지에 적합한 전자매뉴얼 개념 모델을 제시한다.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삼각함수 학습 효과: 질적 연구 방법에 의한 학습과정분석 (The effect of a graphing caculator in trigonomatry : Analysis of thinking processes by gualitative research method)

  • 고상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2호
    • /
    • pp.483-512
    • /
    • 1999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behavior and describe the nature of difficulties the student underwent in trigonometry as the student conducted independent explorations within the interactive technology environment. Also, the research identified the connections among multiple representations and merits and shortcomings in using a graphic calculator as a tool. A take-based clinical interview procedure as the method for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to find the cognitive actions of the participant and his interactions with the graphic calculator. A case study report was written for the student.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student moved from operative stage, to constructive stage, to applicable stage of thinking. From Colgan; Graphing has significance both to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at least three ways since: * graphing represents an important technique, instrument and process in mathematics; * through ‘graphing’, per se, students can be said to be using one symbolic system to extend and acquire an understanding of another(e. g., trigonometric functions and their graphs). * graphing is propaedeutic to other, more advanced topics and concepts in mathematics.

  • PDF

청각장애아동의 조음훈련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연구 (Pronunciation Training Digital Service for the Deaf Children)

  • 이예진;이재은;김채윤;이윤지;박수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407-415
    • /
    • 2019
  • 듣고 말하는 어려움이 있는 청각장애 아동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긴 시간 동안 청력 훈련인 조음 훈련 과정을 거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흥미를 유지하며 반복적인 청력 훈련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기반의 조음훈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사용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콘텐츠 기반의 조음훈련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구현된 디지털 서비스의 훈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청각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분석 결과, 조음훈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반복훈련과 흥미 요인이 도출되었다. 디지털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아동들의 흥미 도출을 위해 동화와 다양한 인터랙션 요소를 활용했고, 효과적인 반복훈련을 위해 복수의 단어와 문장을 훈련할 수 있는 사용자 흐름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서비스에 대한 청각장애 아동의 테스트 결과, 본 디지털 콘텐츠는 조음 훈련의 효과와 흥미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An Exploration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to Improve Usability of Museum Mobile Device

  • Ahn, Mi-Lee;Cha, Hyun-Jin;Hwang, Yun-Ja;Kim, Hee-Ji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65-773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wards exploring a model of the HCI evaluation method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device, based on a case of a Mobile PDA system in a Museum context. Background: Mobile PDA systems in a Museum context is widely utilized for the educational purposes, but it is criticized for low usability that the device only play a role in textbooks on legs without any intera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erefore, the usability improvements on the mobile PDA system should be considered. Method 1: This model was developed with a combination of the expert review and the user testing, and with a combination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In more details, first of all,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as a combination of three different methods: 1) expert review with heuristics, 2) interviews with persons working in a museum, and 3) contextual enquiry. Results 1: The experts review provided with critical usability issues, and the semi-constructive interview helped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mobile device. Lastly, the contextual enquiry showed user experience problems and directions of improving the device from user's perspective. Method 2: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Results 2: The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generalize the problems, and prioritize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device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cost and time in a museum.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developing an example of a HCI evaluation model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of the mobile device as well as finding problems and directions of how to improve the mobile PDA systems in the museum. Application: In fact,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the mobile device have been conducted in a laboratory context due to the cost and time. This paper, however, attempted to apply to various HCI research techniques from different constituents in real context.

초등학교 교사의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과학 교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ystem Thinking-based Science Teaching Experiences)

  • 김형욱;이효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8-85
    • /
    • 2019
  • 이 연구는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4명의 초등 교사가 참여했으며,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질문은 Seidman(1998)과 Schuman(1982)이 제시한 면담법을 재구성하였으며, Giorgi(1985)의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 4단계를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중에 시스템 사고를 증진시키는 확산적 발문을 많이 하였고, 학생 중심의 물리적, 심리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시스템 사고를 향상시켰다. 둘째, 교사들은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 예시 자료의 부족과 수업 주제 선정의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또한, 평가 도구와 측정 방법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학습 내용과 과정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탐구 활동 능력 부족으로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한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은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역할을 수행하고,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더 나은 수업의 방향을 찾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는 데에 가치 있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멀티미디어 컨텐트웨어 상품에 대한 소비자 감성 평가 요소(문화성 인자)추출에 관한 연구 - 기업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 (A refinement of customer satisfactory factors in multimedia contentware evaluation process - focused on company website design -)

  • 이종호;김명석;이현이;김태균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291-302
    • /
    • 1998
  •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상품이 일반화되면서, 멀티미디어 컨텐트웨어 상품 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993년 이후 등장한 인터액티브 멀티미디어 상품은 소비자들에게 전혀 새로운 차원의 체험을 제공하여 급속히 그 영역 및 범위를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급속히 팽창하고 있는 인터액티브 멀티미디어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상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단 체계적으로 멀티미디어 상품을 분석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요소 및 프로세스의 개발이 필요 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작업과정의 일환으로, 우송산업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그리고 삼성 ids와 공동으로 1997년 8월에서 1998년 1월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특히 멀티미디어 상품에서 경험되어지는 새로운 차원의 체험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어 사용자 만족요소를‘합목적성’, ‘사용성’, ‘문화성’으로 분류하고, ‘문화성’만족 요소 추출을 감성공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인 소비자들에게는 4개의 문화성 만족 요소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 요소는(정보 습득과정에서의) 사용자 가치, (정보 습득과정에서의) 구성의 완성도,(정보 습득과정에서의) 시각적 완성도, 그리고 (정보 습득과정에서의) 시대성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문화성 만족 요소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성 평가시스템도 구축하여 7개 기업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웹 디자인의 특징적 요소와 사용자 문화성 만족과의 상관관계의 파악을 시도하였다.할 수 있다.기업통신망 입장에서는 PVC뿐만 아니라 SVC(교환가상회선: Switched Virtual Circuit)호처리가 수용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PVC와 SVC 수용으로 기업통신망은 통신망의 구성 및 관리가 복잡, 다양해지며, 또 그 기업은 관련된 다양하고 수많은 고객과 접속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ATM망을 백본으로 한 공중망이 관련 기업의 사설 정보를 관리하도록 한다는 것은 그 서비스의 이용자에게 보안문제를 제기함은 물론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망에서 동작하는 여러 서비스를 고객 스스로가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NN(고객망관리 : Customer Network Management)은 이러한 고객에 의한 통신망, 공중망에 대한 부분적 관리 및 서비스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수행하는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ATM망이나 프레임 릴레이망과 ATM 망이 공존시 기업통신망관점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의 제시와 이의 해결 방안을 살펴보았다. 우선 FR/ATM 연동에서 PVC설정뿐만 아니라 SVC 설정 방법의 연구, 이때 고려된 QoS,트래픽 처리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망관리 입장에서 기업통신망 관리자와 ATM망 관리자와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변화된 통신망 차원서의 확장된 Managed Object(MO)를 근간으로한 체계적인 CNN-NMS(CNM-Network management System)연동을 살펴본후 결론에서는 추후 계속연구 및 조사 되어야 할 항목을 기업통신망 입장에서 서술하여 보았다.관(關)한 모든 것을 연구(硏究)해 보아야 한다.

  • PDF

데이터방송 인터랙티브 게임 규제 및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승부게임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Regulations and Perception of Interactive Game in Data Broadcasting: Special Emphasis on the TV-Betting Game)

  • 변동현;정문열;배홍섭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5권
    • /
    • pp.250-291
    • /
    • 2006
  • 본 논문은 유럽 등 해외에서 현재 활성화 되어있는 카드게임, 경마게임 등을 활용한 데이터방송 승부게임(TV-betting) 서비스를 조작하여 이를 경험한 패널집단을 대상으로 인터랙티브게임 관련 긍정적, 부정적 인식을 조사하여 국내에서 데이터방송 승부게임에 대한 규제문제와 그 도입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조사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디지털케이블방송에서의 데이터방송 표준인 OCAP시스템 환경에서 데이터방송 승부게임 데모프로그램을 제작하고 패널집단이 이 프로그램의 시청경험을 하게 한 뒤에 심층적인 면접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패널집단은 데이터방송 승부게임이 오락효과, 감정정화, 스트레스 해소 등 시청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긍정적 요소가 많으나 사회적 환경 때문에 외국과 같이 쉽게 도입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데이터방송 승부게임이 도입되기 위해서는 결제에서의 안정된 보안장치를 기반으로 매체 신뢰도가 보장 되어야 하고, 승부게임을 너무 자주하지 않게끔 시간적 제약을 고려한 방송편성, 베팅(betting)한도의 제한, 다른 데이터방송 가입자들의 셋탑박스에 접속하여 게임을 하는 경우를 차단하는 등 일련의 규제적 시스템 장치를 통해서 과도한 사행성을 억제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이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안 등 정부의 법적인 규제 틀 안에서 승부게임의 단계적인 도입이 검토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부는 이를 고려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데이터방송 정책수립을 해야 하고, 이를 통해 법적인 규제 틀 안에서 안정적으로 데이터방송 승부게임을 즐길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향후 국내에서 인터랙티브 TV게임이 오락적인 기능과 함께 산업적으로는 데이터방송 등 뉴미디어 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에서 이야기하는 사회문화적, 역사적 상황이 다른 문화에서는 같은 대상에 대한 이해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예시를 보여준 것이다. 이렇듯 "한류"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고 현재의 우리와 다른 사람들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문화적 욕구들이 어떻게 생성되고 있는지 현장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덧붙여 한국의 대중문화가 이러한 욕구에 잘 부합되고 있는지, 새로운 무엇을 만들어 내고 있지는 않은지 연구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해 측정하였다. 실험은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져 실시하였는데 한 집단은 지각된 위험과 희소성 메시지에 동시에 노출되도록 하였고 두 번째 집단과 세 번째 집단은 각각의 두 요인 중 하나의 요인에만 노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한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지각된 위험이나 희소성 메시지를 모두 처치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흥미로운 사실들이 발견되었는데 이용경험에 상관없이 모든 이용자들은 지각된 위험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특히 이용경험이 풍부한 홈쇼핑이용자들인 경우 이용경험이 적은 소비자에 비해 지각된 위험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희소성 메시지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이용경험이 높은 소비자가 이용경험이 적은 소비자들 보다 오히려 부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위험과 희소성 메시지의 상호작용효과의 경우 이용경험이 높은 집단의 소비자가 특히 제품에 대한 태도반응에서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용경험이 풍부한 소비자일수록 신뢰가 생기지 않는 지각된 위험의 상황에서 희소성메시지가 제시될 때 희소성메시지의 설득적 의도를 위협적인 요소로 생각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선행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