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Communication

검색결과 733건 처리시간 0.029초

Fashion Granfluencers as a Cultural Intermediary in Fashion and Style -A Case Study on Iris Apfel

  • Syachfitrianti Gadis Nadia;Setiawardhani Shaffira Dewi;Se Jin Kim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105-1127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fashion granfluencers as cultural intermediaries in the present digital era. The concept of fashion granfluencer as cultural intermediaries and their fashion style characteristics were defined and examined. The literature on cultural intermediaries, social media, and seniors in the context of fashion was reviewed. Primarily, thre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intermediaries-interactive communication, nonconformist attitude, and aesthetic disposition-were identified and used as analytical variables in this study. Through netnography, 1,452 Instagram posts from the renowned fashion granfluencer Iris Apfel (@iris.apfel) were examined. This study presented Iris as a fashion granfluencer and a senior professional, who uses fashion to express herself and define her identity. As a cultural mediator, she contributes to revitalizing the cultural economy and creating cultural products. Iris Apfel' fashion and style embody her digital persona. Her engagement in fashion activities-producing fashion content or attending fashion events-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producers and fashion consumers, thereby promoting the aesthetic value of fashion.

Qualitative Methodology: Successful Business Planning for Prosperity of Contemporary Art Museum

  • Soomin HAN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8호
    • /
    • pp.9-1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odern art museums might develop into resilient, proactive, and adaptive enterprises. That implies that this study seeks to spur meaningful change by analyzing and comprehending the numerous facets of this issue, paving the path for a long-term future for contemporary art institutions worldwid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urrent author has reviewed numerous relevant prior studies systemically. The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was meticulously designed to guarantee accurat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viding a thorough comprehension of the subject. An organized strategy was used, including finding, reviewing, and synthesizing earlier studies. Resul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literature analysis, this study figured out four workable business models that might increase the prosperity of modern art museums. They result from a thorough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these initiatives center on improving digital presence, enhancing community participation, diversifying revenue streams, and forming powerful alliances and partnerships. Conclusions: In sum,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use and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y enable museums to reach a larger audience and open up opportunities for developing cutting-edge, interactive exhibitions that reflect modern patterns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Features of the Discussion Method in the Training of Students in the Context of Distance Learning

  • Irina Gladilina;Svetlana Sergeeva;Lyudmila Pankova;Vladimir Kolesnik;Ekaterina Svishchev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1호
    • /
    • pp.77-82
    • /
    • 2023
  • The article considers online discussion as an interactive learning method in the conditions of distance learning. The essence of discussion and the stages of its organization are described. The main objective of discussion in distance learning is defined as the stimulation of interest in learning and the involvement of various viewpoints in an active discussion of the stated problems. The key role in ensuring the efficiency of a discussion is identified. The article develops a model for organizing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on the Moodle platform, highlighting the sequence of stages and their content.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use of the discussion method in the training of students in distance learning conditions i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thodological experiment, conclusions are drawn about student interest in online discussions.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interest of students of different specialties i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varies, and the greatest interest is demonstrated by linguistics students. Nevertheless, the differences in student interest in online discussions by groups (specialties) are more likely attributable to subjective factors, which do not affect the overall picture in a major way.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n Traditional Instruction and Flipped Learning)

  • 이희숙;허서정;김창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3-126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두 수업의 특징과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의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을 동영상으로 녹화하고 전사하였으며, 이를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의 발언이 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학생의 학습활동과 교사의 발언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둘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 중심의 지배적, 전제적, 제한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지시적 경향의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 중심의 통합적, 민주적, 포괄적, 허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비지시적 경향의 수업이다. 셋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 강의 중심의 지식 내용 전달을 강조하는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지식 내용 전달은 줄이고 학생의 활동과 발언을 강조하는 수업이다. 넷째, 전통적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형태는 교사의 강의와 질문에 학생이 단순 반응을 하는 단방향적인 의사소통이 주로 이루어지고 플립러닝 수업에서는 교사가 학생을 칭찬하거나 격려하고 학생의 생각을 수용하거나 사용하는 상호작용이 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미술관의 해석과 소통의 모색 (Exploring Practices of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in Art Museums)

  • 김은영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2호
    • /
    • pp.147-168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interpretation with various practices in art museums to seek a new meaning and a concept of art museum today. The exploration of interpretation would he a starting point to discuss about on art museums with professionals in each art-related field. While museums recognize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and the scope of the functions in different levels, the study focused on the practices of collecting and exhibiting that will entrust the museum new realms of activities toward the audience. In particular, its emphases are set force on the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s via the museum's web sites, interpretation policies, and theories and methodologies in exhibition development. Art museum websites well reflect how museums utilize the new medium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art works by providing in-depth art historical information, comprehensive contexts, and subject/concept based search methods. In recent decades, these have enacted changes to expand dimensions of interpretive functions in most museums, particularly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s. In an administrative perspective, Tate Gallery Interpretation Policy became an good example how an art museum put its interpretation philosophy as the basis of interpreting collection and public programs. Tate established functions of intrepretation and education not only within a task-based team but also as an intrer-divisional coorperation to provide an interpretation scheme of information provisions such as guide brochure, audio tour, multimedia content, and library. New environment and trends of museum exhibition, and its development processes stem from communication theories, object interpretation philosophy, display strategies, and various evaluation techniques through audiences, with the communication theories of Shannon and Weaver, Berlo's SMCR(Source-Message-Channel-Receiver) models were perceived a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to communicate museum exhibits to visitors Suzan vogel's insight into object display strategy helped to conceive the mechanism of object recontextualization. She emphasized that the museum's practice to construe opinions and impressions through object display should be discreet and critical, therefore, the professionals to plan the exhibition should reveal the intention and their practices. For a prevailing new methodology from the field, the interpretive exhibition development processes are articulated as the front-end,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futhermore the team process in industrial product management models was adapted. These have turned out to be more interactive with visitors and effective to communicate the exhibition concepts and messages, hence resulting in enriched museum experiences. Finally the study concluded that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interpretation should help art museums to set a framework for current practices to expand its public dimension. It can provide curators with a critical view to website planning and its content. And obviously, the interpretive exhibition development methodology will lead museum exhibition developers to be skilled in its current approaches to thematic exhibition concerning diverse subjects and topics.

  • PDF

다망감시로써의 슈퍼 파놉티콘을 통한 현대사회의 시선의 권력관계 (Power Relationship of Gaze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the Super-panopticon as Multi-networks Supervision)

  • 구운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02-109
    • /
    • 2009
  • 이 연구는 미셀 푸코(Mchel Foucault)가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의 파놉티콘(Panopticon)을 시선의 권력관점으로 해석한 것을 통해 현대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비교하여, 상호간의 의미를 현대의 시선적 권력 관계로 해석하였다. 미디어를 통해 소통하는 현대인들이 어떠한 권력관계 속에 놓여 있으며, 그것이 파놉티콘의 시선의 권력과 정보소비의 관점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게 되는지도 분석하였다. 파놉티콘은 일망 감시 즉, 시선의 일방향성을 전제한다. 하지만 현대의 미디어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쌍방향성이 가능해 졌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현대적 일망감시와 다망감시 체계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인터넷, 휴대폰,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의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은 근대 이후로 구조화된 일망감시의 체계를 다망감시체계로 변화시켜 놓았다. 미디어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시선-권력'은 상호 수용의 문제, 정보의 구성에 따른 다양한 권력성, 그리고 소비 권력을 논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현대 미디어가 제공하는 형식은 일망적 일방향성만을 전제한다기보다는 다망의 관계 속에서 상호소통의 복잡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미디어가 제공하는 소통의 문제를 다망의 관계로 접근하는 것도 시선의 권력관계를 정보 소통의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시선은 바라봄의 권력을 결정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 TV 3사의 홈페이지 이용실태와 서비스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ewer Usage and Evaluation of Television Network Websites and the Respective Feedback)

  • 설진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2권
    • /
    • pp.147-168
    • /
    • 2006
  • 본 연구는 방송사 홈페이지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상파 TV 방송3사(KBS, MBC, SBS)의 홈페이지 이용 실태와 서비스에 대한 평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송사 홈페이지 이용자들의 주요 이용 동기로는 3사 모두 다시보기(VOD) 서비스를 포함한 '정보획득'이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으며 '정보획득'면에서는 KBS 홈페이지 이용률이 가장 높았다. '상호교류/커뮤니티이용'과 '기분전환/시간소비'측면에서는 MBC가 가장 높았으며, '부가서비스 콘텐츠 이용' 면에서는 SBS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방송사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서비스 평가는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홈페이지 메뉴 찾기나 구성, 콘텐츠의 양에 대한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홈페이지 이용에 관한 불만족 사유로는 유료서비스와 관련된 불만족 사유가 가장 많았고 민영방송인 SBS홈페이지에 대한 불만족사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사별 특정 게시판 이용에 대한 평가는 질의나 응답에 대해 대체로 신속하게 답변을 주고 있으나, 시청자들과 제작진의 프로그램에 대한 상호작용은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정 프로그램 게시판 이용자를 대상으로 상호작용 평가를 분석한 결과, 방송사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민영방송인 SBS 홈페이지가 KBS나 MBC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시청자의 반응에 더 민감할 것이라는 일반적 기대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방송3사 홈페이지는 대시청자 서비스 창구로서 방송관련 정보와 다양한 부가서비스 콘텐츠를 제공하며 시청자와 제작진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장(場)을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진정한 피드백 채널로서 활용되지 못하고, 일방향적인 정보제공과 시청자간의 상호작용만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전반적인 홈페이지 메뉴구성과 경로, 디자인, 콘텐츠의 양과 서비스 질적 측면에서 시청자들이 만족할만한 서비스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향후 홈페이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성적 조사를 바탕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상황인식 기반의 M2P 감성통신 서비스 응용 (Emotional Network System Based On M2P Technology Using Context Awareness)

  • 안형주;김지만;최선숙;오영준;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5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식 기법을 이용한 감성통신 서비스를 개발 제공한다. 특히 기계와 사람간의 통신에 있어 제공되는 서비스는 자연스럽고 의인화된 처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객체는 사용자의 행위를 저장 분석하고 이를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습성을 상황인식에 따라 제공할 수 있도록 분석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개발 제공되는 서비스는 네트워크상에서 상호 M2P로 처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고리즘으로 '목적추출 알고리즘'과 '메시지 재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새로운 메시지로 재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기계와 대화하는 것처럼 (M2P : Machine to Person) 느껴지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메신저의 이용에서 서버는 사용자의 과거 전송 기록을 상황인식 기반으로 분석하여 적절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메시지 추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감성통신 기술은 네트워크상에서 기계의 의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의성과 친밀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된 상황인식 기반의 감성통신 서비스 응용기술로 제공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보다 다양한 응용서비스로 메신저 서비스 등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온라인 글쓰기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G대학의 <교양글쓰기> 사례와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Online Writing Class - Focusing on at G University and the Response of Learners -)

  • 송대헌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5-125
    • /
    • 2021
  • 이 연구는 G대학교의 글쓰기 수업인 <교양글쓰기> 교과목을 중심으로 온라인 수업 사례를 선보이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교육의 가능성을 분석하며 온라인 글쓰기 강의에 대한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G대학에서 운영한 온라인 글쓰기 수업 사례를 살펴 본 결과 온라인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제한된 상황 속에서도 수업의 참여도도 높았으며 온라인 첨삭 활동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반면에 과제도 발견할 수 있었다.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은 학생들과의 원활한 소통이라는 관점에서는 한계를 갖고 있다. 글쓰기의 첨삭 지도는 온라인으로 충분히 가능하지만 쌍방향 교육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통의 한계를 보완해야 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온라인 첨삭 지도에 참여한 학생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도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의 정착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필요한 과제이다. 결국 온라인 글쓰기 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용 영상매체를 활용하며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의 충분한 학습과 교수자와 학생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져야만 온라인 글쓰기 수업도 흔들림 없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국가기술자격증을 위한 스마트러닝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 학습몰입, 즐거움을 통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Smart Learning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RCS Motivation Theory is Interactive, Immersive Learning, Research Influence of Continuous use with Pleasure)

  • 박동철;황찬규;권두순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1-132
    • /
    • 2015
  • 국가기술자격은 개인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자격'은 '학력'과 함께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여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신호기능을 가지고 있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 등의 습득정도가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평가 또는 인정되는 것"이다.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학습은 스마트러닝을 통하여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인터넷의 발전과 정보통신기술의 혁명으로 인해 정보와 지식을 중요시하는 지식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교육제도 변화에 발맞추어 최근 급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스마트러닝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본연의 심리욕구를 다룬 대표적인 이론인 기본심리욕구 요인과 인간의 동기를 결정지을 수 있는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과 학습몰입, 즐거움을 통해 스마트러닝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 검증 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ARCS 동기유발에서의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을 통해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기술자격증 스마트러닝에서 수강생의 내재동기화를 지지함으로써 스마트러닝의 학습자들은 지속적 사용의도가 있다. 따라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국가기술자격증의 취득의 목적을 달성하여 기술의 습득은 물론 산업의 발전과 자격증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