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ed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on Happiness from Childcare Teacher : Interactional Medium Effect and Regulating Result of Job Stres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 김은숙;이미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7-157
    • /
    • 2019
  •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5세 유아 348명과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인 보육교사 34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했다. 매개효과는 Sobel test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교사의 전문성 인식, 유아의 성별 및 보육기간과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child's gender, term care and child's social interaction behavior)

  • 윤주연;신혜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07-41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how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child's gender and term care affect child's social interaction behavior. Participants were three-year-old 61 children and their 20 teachers. Each child was observed by the time sampling method of 20 sec-observation followed by 10 sec-recording for a total of 14 minutes. The teachers completed the rating scales to measure th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hildren engaged more frequently in individual behavior than in interactions with peers or with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nd those children had more interaction behavior with their teachers than with their peers.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behavior were as following: the more the teachers recognized professionalism, the more the children showed positive interaction behavior toward their teachers. Also, the more the teachers recognized the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the more the children showed positive interaction behavior toward their peers. Boys interacted more negatively with peers and teachers than girls did. Children who attended the day care center more than two years showed less individual behaviors than others.

전문대학 교수의 산업체 연수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협력적 실행연구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dustry Training Activation for College's Professor -Based on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 남궁선혜;김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61-36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교수의 산업체 연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수가 협력적 실행연구를 활용하여 어떻게 산업체 연수를 진행하였는지에 대한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만5세 학급에서 연구자가 산업체 연수기간 동안 학급 담당 교사와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실시한 내용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 진행을 위해 연구자와 교사는 협력적 실행연구 4단계를 거쳤고, 최종적으로 유아에게 적합한 기본운동기술이 포함된 구조화된 리듬동작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진행을 위해 진행된 4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실천단계 1에서 교사와 연구자는 문제해결을 위한 상호집단을 형성하였다. 두 번째, 실천단계 2에서 교사와 연구자는 상호 호혜적 관계에서 교사의 문제를 파악하였다. 세 번째, 실천단계 3에서 교사와 연구자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네 번째, 실천단계 4에서는 문제해결을 하였다. 이러한 산업체 연수 실천 사례로 얻어진 시사점으로는 첫 번째, 산업체 연수를 통하여 연구자는 실제와 이론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는 것이고 두 번째, 산업체 연수 기간 동안 담당 학급 교사의 전문성도 함께 증진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은 연구자이며 직업교육자이기도 한 전문대학 교수의 다양한 산업체 연수방안이 어떻게 모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단초를 제공해 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강화 이론에 근거한 교사 보조 로봇 인터랙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로봇에 대한 인상과 선호도 측정을 중심으로 - (The Interaction Design of Teaching Assistant Robots based on Reinforcement Theory - With an Emphasis on the Measurement of the Subjects' Impressions and Preferences -)

  • 곽소나;이동규;이민구;한정혜;김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97-106
    • /
    • 2007
  • 본 연구는 교사의 교수 방식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행동주의 학습이론 중 강화 이론이 교사 보조 로봇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되는지를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피험자내 설계 실험(n=36)으로 성적유형에 따른 우등, 열등 피험자가 강화 유형에 따른 세 가지 로봇의 인터랙션(2*3)을 경험케 했다. 즉, 강화이론과 토큰강화 방식에 기초해 '정적 강화'를 제공하는 로봇('칭찬이'), '부적 강화'를 제공하는 로봇('엄벌이'),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를 모두 제공하는 로봇('상벌이')의 인터랙션을 디자인하고 로봇유형과 피험자의 성적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인상 및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정적 강화를 제공하는 로봇을 가장 선호하고, 부적 강화를 제공하는 로봇을 가장 덜 선호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강화의 자극을 디자인함에 있어서는 우등 학생에게 부적 강화를 제공하는 로봇에서 로봇이 주는 자극수가 낮을수록 로봇에 대한 긍정적 인상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강화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교사 보조 로봇에 대한 인상 및 선호도를 검증하며, 교사 보조 로봇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