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 industrial competenc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연관산업 역량분석 -게임산업과 캐릭터산업을 중심으로- (The Inter Industrial Competency Analysis of Game Industry and Character Industry)

  • 김연정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187-1204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산업역량분석을 통해 게임산업과 캐릭터산업의 산업인프라 현황을 파악하고, 두 산업이 문화콘텐츠 산업 특성상 OSMU와 연관산업 역량이 있는 권역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화콘텐츠산업 통계자료(2012년)를 기초로 하여 서울, 경기, 인천의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동남권, 호남권, 대경권, 제주권의 7대 권역으로 구분하여 게임산업과 캐릭터산업의 LQ지수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관산업분석 지표 중 산업인프라 지표로 활용되는 산업체수, 종업원 수, 매출액에 기초한 LQ 입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두 산업 모두 산업체수, 종업원수, 매출액의 정량적 평가에서 서울, 경기 및 인천의 수도권 권역에 산업인프라가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권역비교에 수도권을 포함한 경우와 제외한 LQ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도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도권, 동남권, 제주권과 강원권이 게임산업과 캐릭터산업 모두 타 문화콘텐츠산업에 비해 고경쟁력 지역으로 나타났고, 수도권이 제외된 경우는 제주권과 동남권이 고경쟁력 지역으로 나타나 두 산업간 연관산업의 가능성이 큰 권역으로 선정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각 권역의 문화콘텐츠산업 대비 해당 게임산업과 캐릭터산업의 상대적 비율을 통해 해당 권역의 타 문화콘텐츠 산업 대비 두 산업의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었다. 문화콘텐츠 산업이 OSMU 산업이며 한 산업의 발전이 또 다른 사업으로의 파생효과도 크다는 이론적 제언에 대하여 본 연구는 이러한 산업연계를 위한 산업인프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G 대학 대학생 핵심역량 설정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G university)

  • 김창규;장기덕;전열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77-86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 핵심역량을 기초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산업변화에 따른 산업인력 수요에 적합한 대학인력 양성이 가능하도록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설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절차는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고찰과 학생, 교수, 산업체, 학부모 대상의 핵심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조사 및 전문가의 타당도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문헌고찰을 통해 14개의 역량을 도출하였으며, 재학생, 졸업생, 교수 대상으로 중요도와 전문가 타당도를 통해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능력의 종합적 문제해결역량, 전문지식보유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활용능력의 산업체맞춤전문역량, 배려 섬김인성, 사회봉사의 실천 나눔역량, 의사소통능력의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리더십, 외국어 능력, 글로벌 역량의 글로컬 리더십의 최종 5대 핵심역량과 세부 14개 하위 역량이 설정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역량을 증진시키고, 향후 역량측정도구 개발을 통해 역량증진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조기업의 사회자본이 공급사슬 관계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f Manufacturing Companies on Relationship Performance)

  • 노혜영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43-155
    • /
    • 2020
  •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in the supply chain is a core competency of the company and key indicator which determines the survival of a company. Therefore, companies are investing in efforts for inter-company relations, and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However, in the supply chain, the 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uppliers and buyers are not the same.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and respond to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iers and buy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ources held between the buyer and the supplier through social capital, which is a value asset that can be used as a resource created through social relations, and whether it affects the commitment of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core of this study was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suppliers and buyer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companies that are suppliers and buyers along the supply ch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ier and the buyer was reveal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lso reveal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the involvement of the buyer, the more significant the result of structural capital was, and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opposite to the supplier. As for the relationship capit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lationship capital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commitment. Both the supplier and the buyer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performance. However, the effect of emotional commitment on non-financial relationship performance has a greater degree of influence on suppliers, and it appears in statistical differences. This study reveale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iers and buyers, and found that different investments and efforts were required for each group.

간호사 채용을 위한 간호관리자의 OSCE 개발 (Development of OSCE by Nurse Managers of One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for Skill Test of Nurse Recruitment Process)

  • 한미현;최주순;박석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25-2631
    • /
    • 2012
  • 실무능력을 갖춘 신규간호사를 선발하려면 실기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실기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일은 매우 어려워서, 간호사 채용 시 실기능력을 평가하는 병원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 채용 시의 실기능력 테스트 방법으로 OSCE(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구조화된 객관적 임상시험, 이하 OSCE)를 하기로 정하고, 준비과정으로 일개 대학 병원의 간호관리자들로 하여금 직접 OSCE 모듈을 개발하고 OSCE를 운영하도록 한 것이다. 2006년 4월부터 8월까지 전체 간호관리자 20명 중 16명이 참여하여, 7개의 OSCE 모듈을 직접 개발하였고, 이 모듈을 가지고 간호과 3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OSCE를 실시하였다. 각 모듈의 평가자간 신뢰도는 한 모듈을 제외하고는 모두 r=0.8이상 이었다. 7점 척도로 측정한 모듈 개발 전후의 자신감은 3.93에서 6.64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간호관리자들은 OSCE 모듈의 개발 및 시험 운영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후 신규간호사를 선발하는데 OSCE를 적용하고 있다. 이 개발 경험은 간호사 채용 시 실기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타 병원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