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llectual History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6초

원격 정보이용교육에 관한 연구 : 대학도서관 웹페이지에 수록된 내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University Library Webpages)

  • 박온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52
    • /
    • 1998
  • 전통적으로 도서관에서는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가르쳐주는 교육봉사를 해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정보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달은 정보원의 형태, 이용자들의 정보이용 행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정보봉사 등에 많은 변화를 낳고 있다. 인터넷정보원을 포함하여 전자정보원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형태의 정보원들을 이용자들이 제대로 이용할 수 있으려면 새로운 정보이용법을 익혀야 하고 이에 따라 도서관에서는 이전보다 더 큰 비중을 정보이용교육에 두어야 할 상황을 맞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도서관에 알맞는 이용자교육방법으로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원격정보이용교육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았다. 한국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에는 주로 정보에 물리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도서관의 위치, 정책, 운영, 소장 상황, 네트워크로 연결된 도서관 밖의 정보원 등을 설명하는 항목이 많은 반면, 미국이나 캐나다의 대학도서관의 경우에는 정보에 물리적 접근뿐만 아니라 한단계 더 나아가 원하는 정보 그 자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즉, 정보에 지적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는 항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대학도서관에서도 학생들의 학업과 연구활동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일평생 살아가면서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찾아 쓸 수 있는 정보이용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보이용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강력한 정보전달 수단으로 선호되어 점차 많이 보급되고 있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II) - 진단 및 평가 - (The Korean Practice Parameter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II) - Diagnosis and Assessment -)

  • 천근아;김지훈;강화연;김붕년;신동원;안동현;양수진;유한익;유희정;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8권1호
    • /
    • pp.10-15
    • /
    • 2007
  • Probably the three most important components to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re the clinical interview, the medical examination, and the completion and scoring or behavior rating scales. Teachers and other school personnel are often the first to recognize that a child or adolescent might have ADHD, and ofte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elp-seeking/referral process. A diagnostic evaluation for ADHD should include questions about ADHD symptoms, other problems including alcohol and drug use, family history of ADHD, prior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ADHD. Screening interview or rating scales as well as interviews should be used. When it is feasible, clinicians may wish to supplement these components of the evaluation with objective assessments of the ADHD symptoms, such as psychological tests. These tests are not essential to reaching a diagnosis, however, or to treatment planning, but they may yield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cognitive impairments that could be associated with some cases of ADHD. Screening for intellectual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skills is also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resence of comorbid developmental delay or loaming disabilities. The number and type of symptoms required for a diagnosis of ADHD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subtype. To receive a diagnosis of ADHD, the person must be experiencing significant distress or impairment in daily functioning, and must not meet criteria for other mental disorders which might better account for the observed symptoms such as mental retardation, autism or oth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mood disorders, anxiety disorders. This report aims to suggest a practice guideline of assessment and diagnosi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in Korea.

  • PDF

1960-70년대 뉴욕의 한국작가: 이주, 망명, 디아스포라의 미술 (Art of Dislocation, Exile, and Diaspora: Korean Artists in New York in the 1960s and 1970s)

  • 양은희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6호
    • /
    • pp.107-137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a number of Korean artists-Whanki Kim, Po Kim, Byungki Kim, Lim Choong-Sup, Min Byung-Ok and etc-working in New York in the 1960s and 1970s, focusing on their motivations to head for the U.S. and their life and activity in the newly-emerged city of international art. The thesis was conceived based upon the fact that New York has been one of the major venues for Korean artists in which to live, study, travel and stay after the Korean War. Moreover, the United States, since 1945, has had a tremendous influence upon Korea politically, socially, economically, and, above all, culturally.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major sections. The first one attends to the reasons that these artists moved out of Korea while including in this discussion, the long-standing yearning of the Korean intelligentsia to experience more modernized cultures, and American postwar cultural policies that stimulated them to envision life beyond their national parameters, in a country heavily entrenched in Cold War ideology. The second part examines these artists' pursuit of abstraction in New York where it was already losing its avant-garde status as opposed to the style's cutting edge cache in Korea. While their turn to abstraction was outdated from New York's critical perspective, it was seen to be de rigueur for Koreans that had developed through phases from Art Informel in the 1960s to Dansaekhwa (monochromatic paintings) in the 1970s. The third part focuses on the artists' struggle while caught between a dualistic framework such as Korea/U.S, East/West, center/margin, traditional/modern, and abstraction/figuration. Despite such dichotomic frames, they identified abstract art as the epitome of pure, absolute art, which revealed their beliefs inherited from western modern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fore 1910-1945. In fact, their reality as immigrants in America put them in a diasporic space where they oscillated between the fixed, essentialist Korean identity and the floating, transforming identity as international artists in New York or Korean-American artists. Thus their abstract and semi-abstract art reflect the in-between identity from the diasporic space while demonstrating their yearning for a land of political freedom, intellectual fulfillment and the continuity of modern art's legacy imposed upon them over the course of Korea's tumultuous history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making the artists as precursor of transnational, transcultural art of the global age in the twenty-first century.

  • PDF

국내외 산학협력프로그램 비교를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Activation Factors of Industry Cooperation through Comparison Study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dustry Cooperation Programs)

  • 김혜선;김종부;김형로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187-200
    • /
    • 2014
  • 세계적으로 산학협력은 선택이 아니라 국가발전의 필연적인 구성요소이다. 산학협력의 부흥 결과는 국가의 필수적 경제발전의 요소로서 세계 주요국의 국가 정책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웨덴, 이스라엘 등 여러 국제환경의 변화 속에서도 경제적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들의 경우 역사적으로 산학협력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유지시켜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서 국내외 산학협력프로그램 비교를 통해서 보다 현실성 있는 방법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R&D 연구보상제도 프로그램으로 기술개발 특허의 성과급 지급에 대한 기준 마련을 필두로하여 공동개발의 경우 무상 기술이전 방침을 도출하였다. 또한 학생과 기업 그리고 대학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공동역량강화프로그램으로 각종 지원사업시 가산점 및 평가지표 마련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취업과 창업을 동시에 강화하는 토탈관리 프로그램으로 관련 교육을 단계별 교육 체계로 전환하고 지역사회 주민에게도 교육의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지식재산권 전문가 매칭프로그램을 기술거래사 등을 바탕으로 최소단위 행정구역별로 전문가맵을 전국망으로 인터넷 정보검색서비스를 실시하고 동사무소 등에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A self-portrait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 Arguments on the SNS users' Responsibilities

  • Seo, Ran-Su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59-172
    • /
    • 2020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가 인터넷, 스마트폰과 함께 크게 발전하고 있다. 친근한 SNS이지만 그 실체를 깊이 생각해 보면 정말 다양한 얼굴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 툴이기도 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이기도 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인프라이기도 하고, 공통의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는 커뮤니티이기도 하다. 최근 몇 년간은 사업도구와 쇼핑, 결제수단도 삼키려 하고 있다. SNS의 확산이 현실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확대되고 있으며 사회학의 관점에서 다루어지는 일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SNS의 기술적인 측면에 주목하면, 대규모 액세스를 처리하는 인프라, 쾌적한 이용을 지지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사람들의 행동을 보다 깊게 이해하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인 아무래도, 여러 가지 기술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평소에는 아무렇지 않게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SNS를 통해 들여다보면 그 실태는 의외로 심오하고 다면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SNS의 역사와 현황을 조감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다른 매체와의 비교를 통해 그 위상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사회와의 관계 관점에서는 악플이나 SNS를 이용한 범죄 등의 SNS 활용시의 리스크, 법적 문제가 될 수 있다. SNS상의 행위나 사업자가 제정하는 가이드라인에 대해 해설도 필요하다. 따라서 SNS에 대한 다양한 법적 문제를 논의하도록 할 것이다. 또, SNS의 활용 사례로서 재해대응에 있어서의 SNS 활용 사례를 소개하겠다. 더 기술적인 관점에서, SNS의 네트워크 기반 기술과 SNS의 정보활용에 대한 해설을 받고, 이런 기사들이 SNS를 이해하고 안전하게 이용하는데 도움을 주고 SNS를 더욱 활용하거나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 업무 전담제'를 통해 살펴보는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기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New Paradigm in exhibition organiza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최은주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3호
    • /
    • pp.67-84
    • /
    • 2005
  • Since the evaluation of its intellectual activities and abilities is done by curator's capabilities, planning exhibition is very important as the final result achieved by their own knowledge, information, and research.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 on Arts) is suggested as the system which enables curators responding simultaneously to the society in the times, based on its special characteristics. If this system settles well, which means that the curators at NMCA(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play their roles as the professionals in each of their fields, the goal of consolidating the status of museum as the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 and building up competent department of curators, will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To clarify above, the curators set up the various assignments of research about the types of arts such as painting, Korean painting, sculpture, installation, new-media, design, craft, photogarphy, architecture, etc. And they establish the art objects classified by the regions, such as the Northern American, Southern American, European, Asian, and other Third World countries. They elaborate art objects more on the history, the work, the artist, and the issue of contemporary art. Furthermore, when the curators devote deeper study to those research subjects, they can have the opportunities to design an exhibition upon the research. Today, the museum of art is 'The Place for Communication and Encounter', it is regarded important to share the aesthetical, creative values with current artists, and to understand mutually with the spectators. It is needed to improve the curator's work,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even to advance. Because the form of 'exhibition' is the tool that reveals the identity NMCA aiming at, the motivation, the development, and the realization should be leaded by the curators, who are the mainstream of the museum. ARPA is a system for identifying the exhibition like mentioned above. The main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produce synergy effect, having the researching, collecting work in liaison with planning exhibition. ARPA will be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exhibition through the way of developing the exhibition, passing through the stable process in the long run. So far, I have referred to a new paradigm of the exhibition design at NMCA via ARPA. Yet, there still remain missions in reality, such as analyzing the previous exhibition and reshuffling personnel and system, which should be done. When these matters settled, these plans would be suggested practically. At this point, it is the most significant that NMCA is attempting to let others aware of the importance of exhibition planning based on research. when the ARPA and exhibition planning is conjoined together successfully, the competent exhibition will be achieved, which can offer a meaningful exhibition to the art world, strengthen infra structure thru exchanging with public museum in the region, and eventually, establish a network with museum in foreign countries.

  • PDF

김교신의 전통사상 인식 - 유학 이해를 중심으로 - (Kim Gyoshin's recognition on Korean traditional thinking)

  • 연창호
    • 동양고전연구
    • /
    • 제68호
    • /
    • pp.237-281
    • /
    • 2017
  • 본고의 목적은 "성서조선"에 실린 글과 일기를 통해 김교신이 한국의 전통사상을 어떻게 인식했고 어떻게 기독교 사상과 전통사상을 회통시키고자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김교신은 한국의 전통사상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표현하고 이들과 대화하며 기독교 신앙을 토착화하고자 하였다. 그는 불교가 준 민족문화유산에 대해 한없는 존경을 표했으며 한국 불교에 대해 연구하려는 자세를 가지고 있었다. 그가 가장 주목한 전통사상은 유학이었다. 그는 계신공구의 자세로 유학적인 생활태도를 평생 실천하였다. 그는 유학의 성(誠), 경(敬)의 신독(愼獨)을 평생 묵묵히 실천하였으나 근본적으로 인간에 내재해 있는 죄성을 자각하고 대속신앙을 받아들여 결국 기독교 신앙을 택하였다. 그는 개인적으로 공자를 숭상하여 자기의 모범으로 삼았으나 민족을 새롭게 하는 새 생명의 기운은 기독교에서 찾으려 하였다. 학문적으로는 공자를 존경했고 신앙적으로는 예수를 믿었다. 그는 유학이 갖고 있는 호학(好學)의 학문적 태도, 인의(仁義)를 중시하는 지사(志士)적 태도를 높이 평가하였고 이런 관점에서 기독교의 맹목적이고 반지성적인 신앙을 비판하였다. 인간 개개인이 고유의 인격적 가치를 가지고 있듯이 그는 각 민족 역시 고유의 민족성과 시대적 사명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세계사의 모순과 질곡이 깃든 한반도가 지리적 위치로 인해 세계의 불의를 정화시킬 동아시아의 중심지이며 그 사명을 한국이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불교, 유학이 이 땅에 들어오기 이전에 우리 민족은 고유의 착한 마음[인(仁)]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한국의 전통사상 중 무엇을 바탕으로 기독교 사상과 접목할것인가에 관한 문제의식은 부족하였다.

덕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What Is Virtue Epistemology?)

  • 한상기
    • 철학연구
    • /
    • 제142권
    • /
    • pp.323-347
    • /
    • 2017
  • 현대 인식론에서는 최근 약 30여 년 전부터 덕 인식론에 대한 관심이 부쩍 일어났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소수 몇몇 연구자를 제외하면 "덕 인식론"이라는 이름 자체가 생소한 경우가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일차적으로 덕 인식론이 태동한 지가 얼마 안 되었다는 것이 한 가지 이유일 것이다. 그래서 그 동안 우리 학계에는 덕 인식론이 본격적으로 소개될 기회가 별로 없었다. 게다가 "덕 인식론"이라는 이름 자체가 주는 생경함 또한 한몫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덕"이라는 개념은 주로 윤리나 도덕과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되는 개념이어서 많은 사람이 "덕 윤리학"은 들어보았을지 몰라도 "덕"과 "인식론"을 조합한 "덕 인식론"이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낯설고 생소하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우리 사회에 덕 인식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덕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덕 인식론은 전통적인 분석적 인식론과 어떻게 다른가? 덕 인식론에서 덕의 본성은 무엇인가? 덕 인식론의 이점은 무엇이고, 과제는 무엇이며, 전망은 어떠한가? 이런 물음들을 중심으로 필자는 덕 인식론의 등장 배경, 덕 인식론과 전통적 인식론의 차이 및 둘 사이의 관계, 덕의 본성, 현재 펼쳐지고 있는 덕 인식론의 주요 이론들을 간단히 개관함으로써 덕 인식론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기호로서의 신체적 연기: 그것의 연극적 특성과 인지과학적 원리 (The Physical Acting as a Sign: Its Theatrical Features and Cognitive Science Principles.)

  • 김용수
    • 한국연극학
    • /
    • 제52호
    • /
    • pp.271-317
    • /
    • 2014
  • This essay studied the acting theories of Diderot, Delsarte, Meyerhold, and Artaud to know the historical formation of 'sign acting' and its theoretical and aesthetic appropriateness. The sign acting so far discussed shows the repetitive patterns of idea as follows. The sign acting (1) emphasizes the physical expression such as gesture and movement, (2) assumes that the physical expression functions as a sign evoking special emotion and thought, (3) thus recommends the imitation of the outer sign, (4) uses a tableau for the effective reception of outer sign, (5) aims for the spectator oriented aesthetics as it stresses the result of outer sign rather than the creative process of a role, (6) assumes that the emotional reaction or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 springs from the physical experience, (7) thus emphasizes the physical language rather than speech, (8) can attain the appropriateness of physical language by the recent theories of cognitive science. Besides having such commonness, the sign acting also reveals the individual differences. For instance, the intended sign for Diderot and Delsarte was the sign of emotion, for Meyerhold the stylized sign of circus and acrobatics, and for Artaud the spiritual sign. If Diderot and Meyerhold demands the cool consciousness for the correct sign acting, Artaud's sign acting tends to pursue the state of trance. And if Diderot, Delsarte, and Meyerhold think the sign acting on the level of sensory appeal, Artaud insists that the sign acting should dismantle the spectator's sense. As such the discussion of sign acting shows both recurrent ideas and new visions, forming an unity out of diversity. Perhaps the sign acting is a matter of practice before we consider it as a theory. It is not only supposed to have been existed practically since ancient theatre, but also used by actor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in expressing certain emotion and thought. We need to study the sign acting more academically, considering its long history and aesthetic potentials. In fact the sign acting has been an essential element of acting, in spite of bad reputation judging it as a banal and worn-out style. It is true that the sign acting, in the worst case, could produce a stereotypical expression. It was this aspect of sign acting that caused a fierce negative reaction of the realists who sought the natural expression based upon psychological truth. Of course the sign acting has a serious problem when it stays banal and artificial. But we need to see this issu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What is the natural expression of emotion? How is it free from the learned way of expression? In some respect, we use, in reality, a learned expression of emotion that could be accepted socially. For instance, when we attend a funeral, we use the outer sign of mourning gestures learned socially. If a semiotic expression pervades various aspects of our life, the acting, being the representation of life, seems not to be free from codified expression. The sign acting could be used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in all kinds of acting.

라이프니츠와 인삼 (Leibniz and ginseng)

  • 설혜심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28-42
    • /
    • 2019
  • 위대한 철학자이자 미적분을 발견한 수학자로 잘 알려진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가 인삼에 대해 물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유럽의 계몽주의를 열었던 라이프니츠는 왜 인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까? 이 글은 라이프니츠가 남긴 방대한 기록 속에서 인삼을 찾아내고, 개인적 생애와 당대의 지적 흐름을 엮어 그가 인삼에 관심을 갖게 된 경로를 추적한 작업이다. 16세기부터 유럽에서는 약물지와 같은 고대 그리스 텍스트의 재발견과 해외에서 들여온 새로운 식물들로 인해 본초학이 크게 발달하게 되었다. 같은 맥락에서 '구대륙' 중국에서 만병통치약으로 이름을 떨치던 인삼 또한 여행기 등을 통해 유럽에 소개되기 시작했다. 중상주의 기치 하에 유용한 약용식물에 대한 관심이 커 가던 유럽에서는 과학단체들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인삼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라이프니츠는 그런 연구의 중심지였던 왕립학회와 프랑스 왕립과학원을 방문하고 학자들과 교류를 나누었으며 독일에 그와 같은 연구기관을 설립하는 것을 평생의 목표로 삼았다. 라이프니츠는 로마를 방문했을 때 예수회 선교사들과 긴밀하게 교류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중국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 한층 더 깊어갔고, 그 맥락에서 인삼에 대한 관심도 커갔다. 라이프니츠는 그리말디, 부베 등 중국선교에서 핵심적인 활동을 했던 학자들과 인삼의 효능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게 된다. 이 논문은 유럽의 계몽주의에서 전혀 주목받지 못했던 인삼이 17세기 말 유럽의 학문적 지형과 지식인들 사이의 교류, 중상주의적 해외팽창을 얽어내는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