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estuarine managemen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대도심 하구역 개발과 보전의 융합이용모형 개발 연구 -낙동강 하구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Utilization Considering Multi Functions of Urban Estuarine Area)

  • 임정현;최진휴;김준호;윤한삼;류청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589-60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tegrated(fusion) utilization model aimed at maximizing the development/management functions of urban estuarine area and to present an integrated concept by analyzing the existing document and data.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tegrated utilization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goes beyond the existing idea of sustainable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putting an emphasis on rational decision-making in estuary management and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e. 2) Policies for utilization/development/conservation/regeneration of urban estuarine area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a safety net considering both human and nature, the support for environment-friendly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valuable ecosystem and wetland habitat. 3) Las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ajor tasks for the fusion utilization model development are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estuary areas, th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wetland ecosystem, proper utilization of estuary's productivity, and the introduction and action plans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el including the best way to address contamination and disaster management.

영산강 하구역 생태.환경 관리를 위한 GIS기반의 통합 DB관리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IS Based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for Ecological Environmental Management of Yeongsan Estuary)

  • 이성주;김계현;서정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93-602
    • /
    • 2011
  • 지난 반세기 동안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하구역 생태 환경은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전 지구적 요구는 증대되고 있으나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관별로 산재된 하구역 생태 환경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구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DB관리시스템을 개발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영산강 하구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니터링 DB와 공간 데이터 표출에 우수한 GIS DB를 통합하여 시스템 개발에 적용하였다. 시스템의 개발환경은 VisualBasic.NET과 지도기반의 공간 분석을 위한 ArcObjects 컴포넌트를 이용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 요구분석을 통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구성, 모니터링 DB의 표출방안, 레이어의 우선순위, 모듈단위 기능 등을 정의하였고, 최종적으로 정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통합 DB관리시스템은 영산강의 현 생태 환경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공유 및 관리환경을 지원할 것으로 예측된다. 향후에는 모델링 시스템과 연계하여 미래 하구역 생태 환경의 종합적인 진단 및 신뢰성 있는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통합적 하구관리 지원을 위한 우리나라 하구역 연구사업 현황과 정책방향 제언 (Suggestions on the Estuarine Research Projects for Integrated Estuarine Management in Korea)

  • 조현정;류종성;이강현;이범연;강대석;김종성;남정호;이창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4호
    • /
    • pp.212-222
    • /
    • 2011
  •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하구환경 관리는 수십 년간 지속된 개발 일변도의 하구이용에서 벗어나 통합적 관점에서 하구환경을 보전하려는 정책적 변화가 시작되었으나, 그 동안 축적된 연구와 경험의 부족으로 이를 시행할 수 있는 지원 제도가 구축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통합적 하구환경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하구관리 정책지원을 위한 연구사업 현황을 크게 하구정책의 수요 충족, 인식 증진 및 지식기반 확충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해외 사례와의 갭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에 기초한 계층화 분석을 기반으로 통합적 하구관리 지원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하구역 연구사업은 하구환경 관리를 위한 통합적 관점의 정책방향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단위의 인식증진 활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지원하는 직접적인 내용이 향후 연구사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하구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통합적 하구관리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행 환경관리체제에 내재된 근본적인 문제와 우리나라 하구역 연구사업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금강하구역 환경 변화와 주민 갈등 요인 (Environmental Change and Causes of Local Conflicts in the Geumgang Estuary)

  • 박금주;이창희;여형범;주용기;김억수;문슬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9-159
    • /
    • 2017
  • After the artificial barrage was constructed in 1990s, the Geumgang estuary has been experiencing considerable changes in nature as well as in socioeconomic and culture in the vicinity villages.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change of estuarine environment bring about conflicts among the local communities, and resolve the conflicts,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causes of the conflicts in the Geumgang estuary using in-depth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100 local people who have lived in the vicinity of Geumgang estuary for more than 30 years were selected for the interviews. Results of the research shows that local people's jobs determine the opinions about the estuary barrage and the way of estuarine management. Understanding environmental change and local conflicts helps to develop a sustainable and integrated estuary management system in the region.

유역에서 토지이용과 오염원자료의 공간적 변화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patial Variability in Land Use and Pollutant Source on the Stream Water)

  • 정광욱;이승재;이상우;한정윤
    • 생태와환경
    • /
    • 제40권1호
    • /
    • pp.40-49
    • /
    • 2007
  • For effective watershed management, we must understand the complex and dynamic relationships of land uses and water quality. Despite numerous studie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and land use,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on the geographical variation and lack of spatial integrations in previous studie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Hwa-Sung estuarine reservoir watershed in Korea, which has spatially integrated land uses. The spatial variations of these relationships were also examined using zonal analysis. Water quality parameter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residential and forest and negatively with paddy and upland especially during base flow in the near buffer zone. During storm flow, correlation between land use and water quality was less apparent. Population and livestock density was correlated well to water quality parameter than just number of population and livestock. Relationships across zones, distinguished by distances from streams, were inconsistent and erratic, suggesting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remote land uses and water quality may be affected more significantly by sub-basin characteristics than by the land use itself. The watersheds studied are mainly non-urban and their land uses are similar to typical watershed of other estuarine reservoirs, therefore, the correl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might be helpful to manage other watersheds of estuarine reservoir. This methodology could be applied to other areas where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tudy area.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Delta Development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 Literature Survey)

  • 윤한삼;유창일;강윤구;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34
    • /
    • 2007
  • We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ing new research topics and closely examine the existing data on th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elta by analyzing various studies of the area, including ocean engineering, coastal engineering, ocean environmental engineering,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studies. We first defined the general concepts related to the estuary and delta and review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elta over the past 100 years. We then examined the origin and core elements of the estuary deposits that constitute the delta. In addition, we scrutinized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delta and analyzed existing research on delta development mechanisms by core researchers. The construction of an estuary barrage is one of the main factors effecting estuarine circulation and has altered the physical oceanic environment, area of deposition, atmospheric environment, and vegetation community of the delta. These factors affect the estuary circulation in turn, altering the delta. Along the Nakdong River, an unsteady-state sandy barrier appears at approximately three times the distance of the wavelength of incident offshore waves, and this terrain forms approximately 10-15 years after reclamation in the interdistributary upper stream and transforms the shorelin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to predict terrain change that reproduces the erosion and accumulation of estuarine deposits. To determine the parameters and variables necessary to reproduce this system, continuous on-site monitoring is necessary. The existing research did not fully examine the terrain changes in Nakdong River Estuary or the periodic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the future process of estuary delta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영산강 하구역 수질환경 관리를 위한 GIS기반 통합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IS base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Yeongsan River Estuary)

  • 이성주;김계현;박용길;이건휘;류재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3-83
    • /
    • 2014
  • 최근 정부에서는 영산강 하구역 수질환경의 현재 상황 파악 및 미래 상황 예측을 위하여 모니터링 및 모델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 및 모델 자료는 대부분 수치 및 문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들의 이해도가 떨어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구역 수질환경의 현재 상황 파악 및 미래 상황 예측을 지원할 수 있는 GIS기반 통합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모니터링 및 모델 DB 수집, 모델 연계 방안 마련, 시스템 GUI 및 개발환경 정의, 시스템 구성 등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자료는 2010 ~ 2012년 영산강 하구역을 대상으로 실시된 관측값을 사용하였으며, 모델 자료는 유역 지역을 모의하기 위한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델과 하천 및 하구 지역을 모의하기 위한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델 자료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모니터링 및 모델 자료를 시스템에 적용하여 관리 및 표출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은 영산강 하구역 수질환경을 정량적으로 파악 및 예측하는데 지원할 수 있으며, 지도 기반 환경에 모니터링 및 모델 자료를 표출함으로써 사용자의 공간적 이해도를 높였다. 향후에는 영산강 하구역 수질환경 문제점에 대처 가능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고도화하여 환경 평가 및 정책 수립에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around two circular cylinders in various arrangements

  • VU, HUY CONG;HWANG, JIN HW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4-334
    • /
    • 2015
  • The results of flow feature around two circular cylinders in various arrangements are carried out using two-dimensional simulation at Reynolds number of 200. In this work, time-averaged fluid force acting o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cylinders were calculated for staggered angle ${\alpha}=0{\sim}90^{\circ}$ in the range of L/D = 1.1~5, where ${\alpha}$ is the angle between the free-stream flow and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cylinders, L is centre-to-centre distance and D is cylinder diameter. The dependence of magnitudes and trends of fluid force coefficient on the spacing ratio L/D and ${\alpha}$ are discussed. In all arrangements of two cylinders, tandem arrangement (${\alpha}=0^{\circ}$) is the case produced a minimum drag coefficient for downstream cylinder. Moreover, the locations of separation and stagnation points or pressure coefficient on surface of the cylinder were examined.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a part of the project titled 'Development of integrated estuarine management system', fund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Korea."

  • PDF

하구의 지형적.자연서식지.이용개발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Estuary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Natural Habitat Distributions and Land Uses)

  • 이강현;노백호;조현정;이창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2호
    • /
    • pp.53-69
    • /
    • 2011
  • 하구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하구의 특성과 분포를 반영한 분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 고해상도 항공사진 및 지형도 등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463개 하구의 특성과 분포를 파악하였고, 이들 하구의 하구순환 유지 여부, 지형적 특성, 자연서식지 특성, 이용개발 특성에 기초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 하구 순환이 이루어지는 235개의 '열린하구'는 지형적 특성에 따라 '산지/절벽형', '사취형' 및 '깔대기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속하는 하구는 각각 41, 87, 107개로 분류되었다. 구분된 각 하구는 다시 자연서식지 특성과 이용 개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여, 열린하구는 총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하구순환이 차단된 228개의 '닫힌하구'는 차단 형태에 따라 '직접차단'과 '하구호' 형성에 의한 간접차단으로 구분하였다. 직접차단 형태의 하구를 다시 자연서식지 및 이용개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속하는 하구는 각각 25, 64, 55개로 분류되었다. 간접차단 하구는 84개가 파악되었으나 세분하지 않아 닫힌하구는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유형분류 체계는 하구의 지형적 특성, 자연서식지의 현황 및 토지이용 특성을 모두 반영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하구관리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관리방향을 설정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