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lta Development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 Literature Survey  

Yoon, Han-Sam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Yoo, Chang-Ill (Dep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ang, Yoon-Koo (Port Management Team, Engineering Construction Group, Samsung Corporation)
Ryu, Cheong-Ro (Dep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v.21, no.2, 2007 , pp. 22-3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e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ing new research topics and closely examine the existing data on th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elta by analyzing various studies of the area, including ocean engineering, coastal engineering, ocean environmental engineering,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studies. We first defined the general concepts related to the estuary and delta and review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elta over the past 100 years. We then examined the origin and core elements of the estuary deposits that constitute the delta. In addition, we scrutinized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delta and analyzed existing research on delta development mechanisms by core researchers. The construction of an estuary barrage is one of the main factors effecting estuarine circulation and has altered the physical oceanic environment, area of deposition, atmospheric environment, and vegetation community of the delta. These factors affect the estuary circulation in turn, altering the delta. Along the Nakdong River, an unsteady-state sandy barrier appears at approximately three times the distance of the wavelength of incident offshore waves, and this terrain forms approximately 10-15 years after reclamation in the interdistributary upper stream and transforms the shorelin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to predict terrain change that reproduces the erosion and accumulation of estuarine deposits. To determine the parameters and variables necessary to reproduce this system, continuous on-site monitoring is necessary. The existing research did not fully examine the terrain changes in Nakdong River Estuary or the periodic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the future process of estuary delta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Keywords
Nakdong river; Estuary; Sandy barrier; Delta; Estuarine deposit; Historical development; Development mechanism; Literature surve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기현, 조진형, 박남준 (2000). '낙동강 하구역 퇴적물 중금속의 분포와 오염의 역사 추정',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제5권, 제4호, pp 285-294
2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2005). '낙동강 하구의 진우도 사주 생성 및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 추겨l학술대회, pp 153-158
3 오건환 (2001). 낙동강 하구 갯벌: 지형, 한국의 갯벌: 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 출판부, pp 505-519
4 이유대, 김창원 (1990). '낙동강 하구역 퇴적환경 연구: 퇴적작용 및 중금속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제25권, 제4호, pp 182-188
5 이인철, 유창일, 윤한삼 (2007). '낙동강 부정형적 사주발달과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비교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10권 제1호 pp 13-20
6 이종섭, 김가야, 박일흠, 주귀홍 (1994). '낙동강 하구둑 건설후의 하구사주 변이과정',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71-174
7 장석덕, 류청로, 이문옥, 이재철 (1981). '낙동강 하구의 염수운동', 한국해양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31-37
8 전병일 (2005). '낙동강 하구언 건설 전 . 후의 기상환경 변화 특성', 환경영향평가, 제14권, 제3호, pp 135-145
9 주귀홍 (2002). 낙동강 하천유출수의 3차원 거동 해석,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Kim, H.M. (1988). 'Assessment of Tectonic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Naktong Delta, Korea', J.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9, No 1, pp 45-69 (in Korean)
11 Lee, S.K, Hwang, J.Y., Kim J.S. and Um, J.G. (2005). 'Correlation Between Engineering Properties and Mineralogy of Clay Sediments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J. Miner. Soc. Korea, Vol 18, No 2, pp 93-107 (in Korean)   과학기술학회마을
12 Reineck, H.E. and Singh, L.B. (1980).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Springer-Verlag, pp 549
13 Yoon, H.S., Lee, I.C. and Ryu, C.R. (2005). 'Numerical Simulation for Net-water Flux of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8, No 4, pp 186-192 (in Korean)   과학기술학회마을
14 김원형, 이형호 (1980). '낙동강 하구지역의 퇴적물 운반 및 퇴적에 대한 고찰', 지질학회지, 16권 pp 180-188
15 반용부 (1986).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과 표층 퇴적물 분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15
16 유창일 (2006). 낙동강 하구역 사주의 생성과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Garvine, R.W. (1977). 'Observations of the Motion Field of the Connecticut River Plume', J. Geophys. Res., Vol 82, pp 441-454   DOI
18 이종섭, 윤은찬, 백승우, 이재철 (2003). '홍수가 낙동강 하천 플륨의 3차원 거동해석', 한국수산학회지, 제36권, 제5호, pp 549-561
19 류춘길 (2003). 낙동강 하구 일원에 분포하는 홀로세 해성 점토질 퇴적층의 토목지질학적 특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30p
20 서종철, 박경 (2006), '지형을 고려한 해안습지 분류', 지리학 연구, 제40권, 제3호, pp 339-351
21 이종섭, 윤은찬 (2003). '낙동강 하천플륨의 3차원 혼합거동해석',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4B호, pp 347-358
22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 . 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6호, pp 54-60   과학기술학회마을
23 장성태, 김기철 (2006).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제11권, 제1호, pp 11-20   과학기술학회마을
24 이원환 (1975). '한국하구특성의 지형학적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23권, 제4호, pp 111-119
25 한건모, 김기철, 김재중 (1993). '명지녹산 해역 매립 후의 해수유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7권, 제1호, pp 441-454
26 홍석진, 이대인, 김동명, 박청길 (2000), '낙동강 하구해역에서의 단순 박스모델에 의한 물질수지',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3권, 제3호, pp 50-57
27 김기철, 양한섭, 김차겸, 문창호, 장성태 (1999). '수문개폐에 따른 낙동강 하구언 하류부의 해양물리환경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2권 제2호, pp 49-59
28 김재중, 김기철, 이정만 (1995). '낙동강 하구에서의 부유사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9권, 제1호, pp 120-131
29 반용부 (1984), '낙동강 하구의 간석지', 지리학연구, 제9권, pp 537-559
30 권혁재 (1973).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연구', 지리학, 제8호, pp 8-23
31 Barrell, J. (1912). 'Criteria for Recognition of Ancient Delta Deposits', Bull. Geol. Soc. Amer., Vol 23, pp 377-446   DOI
32 노재영 (2004). 낙동강 유출수의 Plume 거동에 관한 수치적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Lee, Y.D. (199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bmarine Geology in Pusan Bay: Sedimentation Proces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J.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14, No 1, pp 67-74
34 Shepard, F.P. and Inman, D.L. (1950). 'Nearshore Circulation Related to Bottom Topography and Wave Refraction', Trans. Am. Geophys. Union, Vol 34, No 4, pp 555-565
35 김상호, 신승호, 양상용, 이중우 (2003). '낙동강 하구 사주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6권, 제3호, pp 26-36
36 김석윤, 하정수 (2001).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제34권, 제3호, pp 268-278
37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2004). 낙동강 하구 오염해역 및 소형선 통항로 확보 준설연구용역 보고서
38 류청로, 장선덕 (1979). '낙동강 하구의 조석과 유동', 한국해양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71-77
39 박상길, 최병섭 (1997). '대하천 하구의 해빈류와 하구지형변이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7권, 제II-1호, pp 77-88
40 채장원 (2007). '선항만과 낙동강 하구역-부산항 신항만 개발에 따른 해양수리현상 변화', 부경대 FOID2007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pp 13-33
41 Traverse, A. (1988). Paleopalynology, Unwin-Hyman, P.600
42 Ban, Y.B. (1985). 'Sediment Grain Size Distributionof the Nakdong-River DeIta',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 10, pp 713-747 (in Korean)
43 Kim, S.H. (2005).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Barrage', J.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0, No 4, pp 416-427 (in Korean)   과학기술학회마을
44 Hayes, D.P., Olin, T.J. and Fischenich, J.C. (2000). Wetlands Engineering Handbook, US Army Corps of Engineers, ERDC/EL TR-02-21
45 윤한삼, 이인철, 류청로 (2005). '낙동강 하구역내 사주간의 단면유량플럭스 수치모의',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8권, 제4호, pp 186-192
46 이기철, 윤해순, 김승환, 남춘희, 옥진아 (1999). 'GIS와 원격 탐사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 습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라정보학회지, 제2권, 제3호, pp 1-15
47 하정수 (2000).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 퇴적물의 특성 및 퇴적환경,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Davis, T.J. (1994). The Ramsar Convention manual-A Guide to the Convention on Wetland of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 Ramsar Convention Bureau
49 Eun, G.Y.N., Chung, C.H. and Kim, D.J. (1998). 'A Comparative Study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through Coring Analysis in Yeongsan and Nakdong Estuaries',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 Society, 7(6), pp 889-893 (in Korean)   과학기술학회마을
50 반용부 (1995).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의 변화', 부산여자대학교논문집, 제40권, pp 155-195
51 Perillo, G.M.E. (1995). Geomorphology and Sedimentology of Estuaries, Elsevier, Amsterdam
52 부산광역시 (2004). 낙동강 하구 생태계모니터링, pp 9-19, pp 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