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Threat Informat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초

기동헬기 생존장비 설계 및 입증 (Design and Verification of Survivability Equipment for Utility Helicopter)

  • 이병화;김성우;오우섭;구연덕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6-153
    • /
    • 2013
  • Visual information and aural warning of independent aircraft survivability equipment increase the pilot workload and limit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increase the aircraft survivability, Integrated design of survivability display and aural warning need to consider pilot intuitions. If pilot aware the threat by intuition, evade or escape from the threat using the countermeasures equipment, it will increase the survivability. This paper describe the design and verification of for Utility Helicopter survivability equipment.

교육망의 통합보안관리를 위한 보안 에이전트 개발 (Development Security agents for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of the Educational Network)

  • 이도현;김현철;김점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3-55
    • /
    • 2015
  • 교육망의 보안 인프라는 통합관리시스템을 기준으로 다양한 정보보호시스템의 보안 이벤트를 수집하고 분석을 통하여 위협을 관리하고 대응한다. 이러한 체계는 관리자에게 유용하고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다양한 위협 상황과 동시 다발적인 위협에 대해서 효과적인 대응 프로세스와 관리체계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많이 가진 교육망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관리자에게 다양하고 세부적인 정보 제공보다는 관리자가 초기 위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관리기술과 다양한 보안 이벤트들의 처리 스케줄링을 통해서 통합보안관리가 가능하도록 보안 에이전트를 제안 개발하였다.

우회 원격공격의 위협탐지를 위한 위협 헌팅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threat hunting model for threat detection of circumvent connection remote attack)

  • 김인환;류호찬;조경민;전병국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5-23
    • /
    • 2021
  • 대부분의 해킹 과정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내부에 침입하고 목적 달성을 위해 우회접속을 이용한 외부와 통신을 시도한다. 고도화되고 지능화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는 연구는 주로 시그니처 기반의 탐지 및 차단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위협 헌팅 방법으로 확장되었다. 조직적인 해킹그룹의 공격은 장기간에 걸쳐 지능형 지속 공격이면서, 우회 원격 공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지능화된 인지 기술을 활용한 침입 탐지 시스템에서도 기존의 침입 형태에만 탐지성능을 발휘할 뿐이다. 따라서, 표적형 우회 원격 공격에 대한 대응은 기존의 탐지 방법과 위협 헌팅 방법으로도 여전히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적인 해킹그룹의 표적형 우회 원격 공격 위협을 탐지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우회 원격 접속자의 원점 IP 확인 방법을 적용한 위협 헌팅 절차를 설계하였고, 실제 국방 정보체계 환경에서 제안한 방법을 구현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사이버위협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한 관리적·기술적 개선모델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odel for Invigorating Cyber Threat Information Sharing)

  • 윤오준;조창섭;박정근;서형준;신용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34
    • /
    • 2016
  • 정부 주요인사의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한 해킹과 인터넷뱅킹 보안소프트웨어 제작업체의 내부 전산망 장악시도 및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의 계좌 이체 등에서 보듯이 최근의 사이버공격은 국내외는 물론 공공과 민간영역을 구분하지 않고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이버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관계기관간의 사이버위협정보 공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법 제도 미흡, 통합된 정보시스템 미비, 민 관의 공동 협의기구 부재 등 현실태를 지적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공유 가이드라인 제정 등 법 제도 개선, 국가정보공유센터 설립 및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운영, 사이버위협정보 수집 분석 검증 등 전 과정 자동처리기술 개발, 민 관 합동 정보공유협의체 구성 등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활성화를 위한 관리적 기술적 개선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사이버위협을 사전 차단하고 사이버공격 발생 시에도 피해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한다.

주요국의 사이버위협정보 공유체계 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모델 연구 (A Study on the Domestic Model for Cyber Threat Information Sharing by Analyzing the Relevant Systems of Major Advacnced Countries)

  • 윤오준;조창섭;박정근;배선하;신용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01-111
    • /
    • 2016
  • 최근 정부 주요인사 대상 스마트폰 해킹과 인터파크사 고객정보 탈취 등 사이버위협은 이제 우리에게 현실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고 이러한 위협은 사물인터넷 시대 도래로 인해 더욱 고도화될 것이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민 관간 사이버위협정보 공유에 대한 체계 정립은 반드시 필요하다. 미국 일본 영국 등 주요국은 공유기구를 설치하고 관련대책을 수립 시행하는 등 사이버위협정보 공유제도를 정착시켜 나가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몇 개 기관이 공유센터를 자체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고 참여기관간 정보의 제공과 공유에 있어 불균형이 존재하는 등 제도적인 미흡으로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나날이 진화하는 사이버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보공유체계 운영주체의 명확한 설정, 민간 공공간 협업체계 운영, 통합적이고 자동화된 시스템 구축, 면책권 부여 등 법 제도 보완 등 국내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통합 보안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보안 정책 관리 모델 (An Efficient Management Model of Security Policy in the Unified Threat Management System)

  • 주헌식;김종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99-10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단일 보안 시스템의 Firewall과 IPS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통합보안 시스템 강화가 비용 대비 효율적임을 나타내었다. 문제점 분석 결과 Firewall과 IPS 의 처리 시간 지연과 효율성 부재를 나타냈다. 따라서 개별 Firewall과 IPS 시스템과 통합 시스템으로 성능 평가를 하였다. 평가 결과 기존 시스템 보다 제안한 통합보안시스템이 응답 처리 시간에서는 평균 5배 이상 성능을 나타났고, 초당 세션 처리에서도 5배 이상 그리고 CPU 처리 성능에서는 6배의 처리 속도가 우수함을 나타냈다. 또한 여러 보안 정책들을 수용하였고, 유해 트랙픽 처리에서도 높은 성능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통합 보안 시스템이 개별 시스템 강화 보다 경제적 측면, 관리적 측면, 물리적 측면, 시간적 측면, 공간적 측면 등 여러 측면에서 효율적임을 강조하였다.

4D 환경정보를 반영한 광역 경로수정계획 기법에 관한 연구 (An Approach to Global Path Replanning Method Considering 4D Environmental Information)

  • 곽동준;신종호;김종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79-788
    • /
    • 2016
  • In this paper, a global path replanning method is proposed in order to plan a global path minimizing the risk of the unmanned vehicle on the battlefield. We first introduce 4D environmental information consisting of mobility, visibility, kill, and hit attributes, and a unified threat map and a mobility map are defined by the four attributes. Using the mobility map, the unmanned vehicle can find the shortest path on the traversable area. And then taking into account the deter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nmanned vehicle on the integrated threat map, the vehicle can generate a route to suppress or avoid the threat of enemy as well. Moreover, we present a waypoints bypassing method to exclude unnecessary waypoints rather than the mission point when planning paths for the multiple waypoints.

사이버위협 관리를 위한 인터넷 위협 및 취약점 정보 수집기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net Throats and Vulnerabilities Auto Collector for Cyber Threats Management)

  • 이은영;백승현;박인성;윤주범;오형근;이도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1-28
    • /
    • 2006
  • 초창기 보안은 침입차단시스템에 국한되었지만 현재에는 안티바이러스, 침입 탐지 및 방화벽과 같은 관련 정보보안 솔루션들이 많아지면서 이기종의 정보보안제품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이 개발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통합보안관리체계를 넘어서서 웜 바이러스 해킹 등 아직 일어나지 않는 사이버 위협을 관리해 능동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위협관리시스템이 보안업계의 새로운 관심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정보보호제품의 변화에 따라 수집정보도 다양화되어가고 있으며 사이버 위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정보보안제품들로부터의 수집되는 정량적인 이벤트 로그들뿐 아니라 Microsoft, linux, 오라클과 같은 범용 어플리케이션들의 취약점 정보, 웜 바이러스 등의 악성 코드 정보, 또한 국제적 분쟁으로 인한 사이버징후와 같은 보안 뉴스들의 정성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위협 관리를 위한 정보수집의 일환으로 정량적인 정보와 정성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인터넷 위협 및 취약점정보 자동수집기를 설계, 구현하였다. 제안된 수집기는 사이버위협을 관리하는데 있어 정량적인 정보 뿐 아니라 정성적인 정보를 함께 수집함으로써 사이버위협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아직 발생하지 않은 사이버 위협에 사전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Model Inversion Attack: Analysis under Gray-box Scenario on Deep Learning based Face Recognition System

  • Khosravy, Mahdi;Nakamura, Kazuaki;Hirose, Yuki;Nitta, Naoko;Babaguchi, Nobor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3호
    • /
    • pp.1100-1118
    • /
    • 2021
  • In a wide range of ML applications, the training data contains privacy-sensitive information that should be kept secure. Training the ML systems by privacy-sensitive data makes the ML model inherent to the data. As the structure of the model has been fine-tuned by training data, the model can be abused for accessing the data by the estimation in a reverse process called model inversion attack (MIA). Although, MIA has been applied to shallow neural network models of recognizers in literature and its threat in privacy violation has been approved, in the case of a deep learning (DL) model, its efficiency was under question. It was due to the complexity of a DL model structure, big number of DL model parameters, the huge size of training data, big number of registered users to a DL model and thereof big number of class labels. This research work first analyses the possibility of MIA on a deep learning model of a recognition system, namely a face recognizer. Second, despite the conventional MIA under the white box scenario of having partial access to the users' non-sensitive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model structure, the MIA is implemented on a deep face recognition system by just having the model structure and parameters but not any user information. In this aspect, it is under a semi-white box scenario or in other words a gray-box scenario.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argeting five registered users of a CNN-based face recognition system approve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on of users' face images even for a deep model by MIA under a gray box scenario. Although, for some images the evaluation recognition score is low and the generated images are not easily recognizable, but for some other images the score is high and facial features of the targeted identities are observable.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demonstrate that privacy cyber-attack by MIA on a deep recognition system not only is feasible but also is a serious threat with increasing alert state in the future as there is considerable potential for integration more advanced ML techniques to MIA.

대규모 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침입탐지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Integrat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 Large Networks)

  • 정연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7호
    • /
    • pp.953-956
    • /
    • 2002
  • 인터넷 사용 증가로 인한 통신망에 대한 위협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많은 보안장비들이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으며, 침입차단시스템에 이어 근래에는 침입탐지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고, 관리 대상 시스템의 수가 방대해짐에 따라 현재의 단일 네트워크 단위의 관리로는 해결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IETF에서 진행되고 있는 PBNM(Policy-Based Network Management) 기술을 도입하여 대규모의 네트워크의 보안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 침입탐지시스템(Integrated Intrusion Detection System:IIDS)을 설계한다. 통합 침입탐지시스템은 다수의 침입탐지 에이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요구사항과 기능별 요소들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