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9초

The Korean HapMap Project Website

  • Kim, Young-Uk;Kim, Seung-Ho;Jin, Hoon;Park, Young-Kyu;Ji, Mi-Hyun;Kim, Young-Joo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6권2호
    • /
    • pp.91-94
    • /
    • 2008
  •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re the most abundant form of human genetic variation and are a resource for mapping complex genetic traits. A genome is covered by millions of these markers, and researchers are able to compare which SNPs predominate in people who have a certain disease. The International HapMap Project, launched in October, 2002, motivated us to start the Korean HapMap Project in order to support Korean HapMap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to accelerate the finding of genes that affect health, disease, and individual responses to medic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A Korean SNP and haplotype database system was developed through the Korean HapMap Project to provide Korean researchers with useful data-mining information about disease-associated biomarkers for studies on complex diseases, such as diabetes, cancer, and stroke. Also, we have developed a series of software programs for association studies as well a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Korean HapMap data with other populations, such as European, Chinese, Japanese, and African populations. The developed software includes HapMapSNPAnalyzer, SNPflank, HWE Test, FESD, D2GSNP, SNP@Domain, KMSD, KFOD, KFRG, and SNP@WEB. We developed a disease-related SNP retrieval system, in which OMIM, GeneCards, and MeSH information were integrated and analyzed for medical research scientists. The kHapMap Browser system that we developed and integrated provides haplotype retrieval and comparative study tools of human ethnicities for comprehensive disease association studies (http://www.khapmap.org). It is expected that researchers may be able to retrieve useful information from the kHapMap Browser to find useful biomarkers and genes in complex disease association studies and use these biomarkers and genes to study and develop new drugs for personalized medicine.

이동식 복지용구 소독을 위한 스마트 기반의 통합제어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Integr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Smart for Moving Welfare Medical Device Disinfection)

  • 황기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251-22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이동식 복지용구 소독을 위한 통합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통합제어시스템은 과산화수소 증기 공급 제어회로와 저 진공을 이용한 살균 소독챔버 제어회로 및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탁 제어회로 구성된다. 개발한 통합제어시스템에 대한 동작상태 및 통신 상태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반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한 통합제어시스템 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 장치를 구현하였다. 제어회로에 대한 동작상태 및 신호 송수신 등을 측정해본 결과,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스마트 기반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연동 테스트에서 개발한 통합제어시스템이 통신상태, 센서 인터페이스 및 제어 면에서 좋은 동작성능을 보였다. 향 후 개발한 제어시스템을 실 시스템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증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용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위한 메타데이터 기반의 보안 프로토타입 시스템 구현 (Implementing Metadata-based Security Prototype System for Medical Data Warehouse)

  • 김종호;김태훈;송해용;홍수희;박진두;민성우;이희석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9년도 국제컨퍼런스 디지털컨텐츠 활용을 통한 지식경영의 확산
    • /
    • pp.113-118
    • /
    • 1999
  • 본 연구는 통합병원정보시스템 (Integrat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에서 의료용 데이터 웨어하우스 (Medical Data Warehouse) 부분의 보안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메타데이터 기반으로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특히, 의료용 데이터 웨어하우스 중에서도 임상 데이터 웨어하우스 (Clinical Data Warehouse) 에 초점을 두었으며 이에 대한 프로토타입은 ㅈ 병원에 적용되어서 개발되었다.

  • PDF

의료정보 접근을 위한 동적상황인증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Dynamic Situation Authentication System for Accessing Medical Information)

  • 함규성;서원정;정호일;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1-40
    • /
    • 2018
  •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 IoT 기술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적인 u-헬스케어 환경기반의 의료정보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정보시스템에서는 응급 처치나 치료를 목적으로 의료진에게 환자의 의료정보를 접근할 권한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의료정보시스템에서 의료진이 담당하는 환자의 생체정보 및 개인 의료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신뢰적이고 신속한 인증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시스템 환경에서는 의료진의 ID/PWD만을 이용하는 단순하고 정적인 사용자 인증기법으로 의료정보시스템을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논문에서는 환자가 응급상태조건을 고려한 다양한 인증 요소를 포함한 의료정보접근의 투명성을 제공하는 동적상황인증기법과 이를 지원하는 동적상황인증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동적상황인증은 사용자 인증과 이동 단말기 인증을 결합한 인증으로, 기존의 사용자 인증 뿐 아니라 의료진이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인증을 위해 환자의 응급상태, 의료진의 역할, 근무시간, 근무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인증요소 속성들을 사용하였다. 우리는 응급상태판별, 동적상황인증, 인증지원 DB 구축을 포함한 동적상황인증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동적상황인증시스템의 서비스 수행성 검증을 위해, 의료진으로 하여금 동적상황인증과정과 그 이후 담당환자에 대한 의료정보접근 허가와 함께 의료정보서버로부터 의료진 자신의 이동 단말기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내려 받아 실행함으로써 의료정보의 인증 및 접근과정을 보였다.

실시간 의료정보 보호 및 관리를 위한 플랫폼에 관한 연구 (Study of Platform for Real-Time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Management)

  • 정창원;이성권;주수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8호
    • /
    • pp.245-250
    • /
    • 2014
  •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응급의료 서비스가 병원에서 가정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방 또는 조기진단을 위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다양한 u-헬스케어 응용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로부터 측정된 의료정보 보호 및 보안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생체신호는 개인의 주요 정보이면서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정보이기 때문에 보호 및 관리를 위해 2차원 코드화 기술인 QR 코드를 적용하였다. 클라이언트 단말에서는 QR 코드를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끝으로 제안한 플랫폼 상에서 의료영상정보와 생체신호의 통합 이미지 파일 생성과 배포를 확인하는 응용서비스를 통해 수행 결과를 보였다.

U-Home Healthcare를 위한 분산객체 미들웨어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istributed Object Middleware for Ubiquitous-Home Healthcare System)

  • 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519-1525
    • /
    • 2006
  •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의료와 컴퓨터 기술을 결합하여 온라인상에서 언제, 어디서나, 휴대 가능한 헬스케어(Healthcare) 장비와 유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진단 및 응급상황 인지가 가능한 U-헬스케어(Ubiquitous Healthcare) 시스템이 생겨났다. U-헬스케어 시스템은 기존의 의료 환경에서와는 달리, 사용자(환자, 보호자, 의료인등)들은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게 되고, 당연히 헬스케어 장비들은 통합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동되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 분산 객체를 이용한 U-홈 헬스케어 미들웨어를 설계하였고, 다양한 헬스케어 장비들로부터 발생되는 생체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객체를 구현하였다.

의료기관 프로세스 통합 관리를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정형화 및 구조적 이상 현상 검증 기법 (Business Process Model Formalization and Structural Anomaly Verification Techniques for Integrated Process Management of Medical Institutions)

  • 김건우;김성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77-193
    • /
    • 2018
  • 상시적으로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 적응하고 다양한 외부 의료기관과의 정보 공유를 위해 의료기관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은 그래프 기반의 BPMN 프로세스 모델을 웹서비스 환경의 실행언어인 WS-BPEL로 변환한 후 프로세스 엔진을 통해 실행하는 자동화 프로세스 도구이다. 하지만 BPMN 프로세스 모델은 다수의 모호성 및 구조적 불일치로 인해 WS-BPEL로의 변환이 어려울 수 있으며 프로세스 실행 시 실행 오류를 초래할 수 있는 구조적 이상 현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관 프로세스 통합 관리를 위해 모호성 및 구조적 불일치가 제거된 정형화된 BPMN 프로세스 모델 및 구조적 이상 현상 검출 방법을 제시한다. IHE 프로파일을 적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정형화된 BPMN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고 및 구조적 이상 현상 검증을 실시한다. 기존의 연구 방법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병원 처방전달시스템 구축을 위한 의료장비 통합 인터페이스 구현 (The Integrated Interface Implementation of Medical Analyzer for Hospital Order Communication System)

  • 양현택;김원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493-495
    • /
    • 1998
  • 본 논문은 의료정보시스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처방전달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의 효율적인 구축을 위하여 현행 의료장비 인터페이스 형태 및 운용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통합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각종 임상병리 검사장비와 검사 정보관리시스템 (LIS: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및 진료부분을 연계시키기 위한 실시간 인터페이스를 시스템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기본적이 구성요소와 그 기능을 살펴본다.

보안 에이전트 역할 기반에 기초한 의료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보안아키텍쳐 설계방안 (A Study of Methodology Based on Role-Based Serucity Agent Medical Information System Security Architecture Design)

  • 이대성;노시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77-83
    • /
    • 2011
  • 의료정보 기술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의료정보 서비스 개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의료서비스를 향상시켜 환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하지만 정보보안에 대해 대비없이 기술만 발전한다면 의료서비스 체계에 위험과 위협의 요소를 만드는 것이다. 오늘날 현안과제인 공중망을 통한 안정적인 접근문제, Ad hoc을 이용한 센서네트워크 보안, 비통합 의료정보 체계의 보안취약성과 같은 보안의 취약성을 해결하지 않을채 의료정보시스템은 발전과 활용에 큰 제한을 받게 된다.. 서로 다른 보안 정책을 가진 의료정보시스템 환경에서 보안정책이 출동할 경우 해결할수 있는 매커니즘이 필요하다. context-aware와 융통성있는 정책을 통해 의료정보의 통합성과 비밀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다른 도메인간 원거리 통신시 접근제어 정책이 보호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시스템의 접속자가 다양화, 다변화 되는 환경에서 Security agent 역할 기반의 보안시스템 아키텍쳐 설계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아키텍쳐는 현장에서 설계작업에서 하나의 모델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Evolution of Large-Scale Filmless Full-PACS in Korea

  • Kim, Hee-Joung;Haijo Jung;Yoo, Hyung-Sik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28-31
    • /
    • 2002
  • Filmless full-PACS in korea has rapidly been growing, since government had supported collaborative PACS project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hospital in late of 1995. At the same time, a small company had started PACS business, while the Korea PACS society was being formed. In the beginning, PACS societies had focused on developing peripheral solutions such as DICOM gateway for image acquisition, x-ray film digitizer, and viewing software for research or management of personal image data, while Samsung Medical Center had started installing an imported partial PACS system which had recently upgraded with a new system. In similar time frame, a few hospitals had started developing and installing domestic large scale full-PACS system. Several years later, many hospitals have installed full-PACS system with national policy of reimbursement for PACS exams in November 1999. It is believed that Korea is the first country that adopted PACS reimbursement for filmless full-PACS as a national policy. Both experiences of full-PACS installation and national policy generated tremendous intellectual and technological expertise about PACS at all levels, clinical, hospital management, education, and industrial sectors. There are currently three types of PACS system which includes domestic, imported, and hybrid PACS system with imported solution for core system and domestic solution for peripheral system. There are more than 20 domestic PACS companies and they have now enough experiences so that they are capable of installing a truly full-PACS system for large-scale teaching hospitals. PACS societies in Korea understand how to design, implement, install, manage, sustain, and provide good services for large-scale full-PACS. PACS society has also strength for the highest integration technology of the Hospital Information. However, further understanding and timely implementation of continuously evolving international standard and integrated healthcare enterprise concepts may be necessary for international leading of PACS technologies for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