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4초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fographics in the Commun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China

  • Ruiyu Li;Alber Young Cho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48-55
    • /
    • 2023
  • Chin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t the national level amounts to more than 1,500 species, and it is also the country with the largest number of items o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s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e country and mankind is very much treasured and cared for.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man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e facing a dilemma due to the problem of a single form of communication.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efficient and convenient way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vides innovative ideas and new opportunities for the visual communication of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infographic visual expression on the theoretical basis of books and related papers and analyzes the application cases and advantages of infographics in the communication of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era. It aims to explore a fast and novel visual presentation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of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infographic design methods, to promote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new era.

무형문화유산 활성화를 위한 수요자 인식에 관한 실증적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Citizens' Awareness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오정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9-36
    • /
    • 2015
  • 2012년의 조사에 따르면 중요무형문화재의 27.6%가 전승 단절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가 정부의 한정된 지원 문제와 국민의 무관심 그리고 사회적 수요의 부족 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의 지원 및 사회적 수요의 부족으로 인해 기 예능 보유자들과 전승자들이 전승활동만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전승활동을 포기하거나 기 예능을 배우려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아 문제가 생긴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민의 의식수준을 제고하고 수요를 활성화하여 무형문화유산의 자생력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와 관련한 부분보다 전승자의 여건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요 측면에서 기존의 무형문화유산 정책 및 제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실증적 조사를 통해 수요자인 시민의 인식수준과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여 수요 활성화 및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Visual Analytic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China

  • Nan Zha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6호
    • /
    • pp.722-729
    • /
    • 2023
  • Visual analytic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recently developed in China. Using advanced interactive visualization tools experts can observe data distribution trends and explore the implicit relationships among data within a short time. It can enhance human cognitive and analytical abilities and improve the scientific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support this research topic, we have reviewed recent visualization work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China. We divide these works into three types: text visualization,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and geographical visualization. Each type is illustrated by several representative works. New development trends in this area are also discussed.

지속가능개발과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 (Sustainable Development and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 김용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256-269
    • /
    • 2016
  • UN은 2015년 9월,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앞으로 추진할 국제사회의 공동목표로 "지속가능개발 2030 의제"를 채택하였다. 이에 UNESCO는 2016년 5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운영지침"을 개정하여 지속가능개발과 무형유산보호에 관한 장(章)을 신설하였다. 지속가능개발은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주요한 이념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동안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은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무형문화유산보호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UNESCO는 이번 운영지침 개정을 통해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당사국들이 지속가능개발과 무형문화유산보호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무형문화재제도는 1960년대부터 산업화로 표현되는 경제개발 과정에서 소멸되어 가는 전통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도였다. 그러나 동시에 무형문화재제도는 경제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근대적 국민형성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개발을 위한 문화적 지원 역할을 수행하였던 것이다. 지속가능개발의 제기는 그 이전의 경제개발과 사회개발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개발개념이 심화되고 확장된 결과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그 동안의 개발성과를 계승하여 보다 성숙한 개발의 단계로 나간다는 관점에서 지속가능개발과 결합하는 무형문화유산정책들을 마련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개발의 의미와 그것이 한국의 무형문화유산정책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가를 검토하고,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이 사회개발과 인간개발을 중심으로 지속가능개발 과제를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현대(現代) 중국(中國)의 전통의약(傳統醫藥) 무형문화유산(無形文化遺産) 현황(現況) 및 보호조치(保護措置)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the statu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of the measures taken to protect them)

  • 이민호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7-2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traditional medicines registered by the Chinese stat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of Chines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registered by UNESCO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2010, in connection with the need to hav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kills similarly register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Since UNESCO's adop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2003, the Chinese government has pushed ahead with efforts to explore and protec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and have them register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us, Benchaogangmu (本草綱目) and Huangdineijing (黃帝內經) were listed on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while Chines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were register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ties.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kills to be list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ties, steps should be taken first to include the skills in the list of domestic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and to make further explorations in the sector. Such efforts are also important in terms of the ne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s.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와 전수교육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ocumentation Method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raining Center)

  • 김지희;이영학
    • 기록학연구
    • /
    • 제56호
    • /
    • pp.147-182
    • /
    • 2018
  • 무형문화유산은 형태가 없는 문화유산을 말한다. 급격한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무형문화유산의 보존은 더욱 중요해졌다. 무형문화유산은 사람을 통해 전승된다. 그러나 온전히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여 무형문화유산을 보존할 수는 없다. 무형문화유산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이를 기록에 담아 보존하고 전승해야 한다. 이에 현재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전수교육관에서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를 제안한다. 전수교육관에서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는 첫 번째, 현재의 행정기관 위주의 하향식 기록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두 번째, 전승자와 보유단체의 관점이 담긴 기록화를 가능하게 한다. 세 번째로 무형문화유산 공동체의 역사와 정체성이 반영된 깊이 있는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를 할 수 있다. 네 번째,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성, 변이성, 지역성을 살려 기록화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이러한 전수교육관 기반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는 전수교육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무형문화유산법 제정과 국립무형유산원의 개원 이후 무형문화유산에 관한 제도, 정책뿐만 아니라 무형문화유산 기록관리도 빠르게 고도화되었으며, 기록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졌다. 변화에 힘입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장 생생한 현장인 전수교육관에 주목하여 무형문화유산 기록의 기반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Digital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y

  • Jing, Xiuli;Tan, Fang;Zhang, Mu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1권1호
    • /
    • pp.41-52
    • /
    • 2021
  • This paper explored the digital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y.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combined with cultural ecology theory, an ontology-based semantic web technology was proposed, and Nanjing "Yunjin" brocade weaving technique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 The specific steps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field surveys and cultural ecology theory, the intangible cultural ecological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Next, construct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tology was constructed, including the collection and collation of Nanjing Yunjin weaving technique knowledge corpus, based on user needs analysis and corpus analysis, CIDOC CRM was used to create rules to build the ontology. Finally, based on the MediaWiki platform and Semantic MediaWiki, the semantic web model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designed, and its semantic retrieval function was realized, thereby achiev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iz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y, a set of intangible digital application models was proposed, which expanded the digital application of the cultural ecology theory, verified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and provided referen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지역 전수교육관의 문화융합을 위한 공간 개선 연구 (A Study of Improve Space for Culture Convergence of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eaching hall)

  • 이상희;전칠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99-306
    • /
    • 2017
  • 본 연구는 전수교육관의 대형화와 복합화 추세에 있어, 교육 외에도 방문객을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 다양한 문화생활 지원을 위한 복합화의 방법,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무형문화재 전수시설로서 공공성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많은 중소도시의 경우 무형문화재전수시설은 전반적으로 복합화와 공공성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이 미비한 상태여서, 전수교육관의 활성화를 위해 개선이 더욱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수교육관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도권 및 광역권 등의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에 3곳의 전수교육관에 대한 방문조사를 통해 사용자 관점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건립과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전수교육관이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공공성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도록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Study on Museum Digital Exhibition Mode and Industria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Bai, Jian-Song;Boo, Jong-Chul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2호
    • /
    • pp.129-134
    • /
    • 2011
  • Nowadays, most of exhibits are material antiquities while the exhibi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deficient and the form is less advanced which cannot meet the exhibition needs of digital times. This has resulted in insufficient display of intangible heritage's value which may not facilitate inherit and protection of intangible heritage, no other than protection mechanism of forming healthy industrialization. This article has established digital exhibition mode in museum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analysis on current museum and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Discuss the mode in the layer integrating creative industry and mobile industry and provide practicable reference project of forming the healthy industrialization mechanism for protecting intangible heritage.

무형문화유산 전승지원 정책 패러다임의 융합적 변화에 관한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t Change Revitalization of Paradigm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nsmission Support Policy)

  • 전칠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441-447
    • /
    • 2018
  • 그 동안 우리나라는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에서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으로 가치가 뛰어난 것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지원해 왔다. 각종 전시회와 공연 활동 사업을 지원하고, 무형문화재 공개행사를 지원하여 왔다. 최근에는 전승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전수활동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수심사 제도를 국가가 주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공예품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예품은행제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공예품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예품인증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전승활동의 다양성을 위하여 전수교육학교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전승활동의 융합화를 위하여 무형문화재대전 행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무형문화유산의 세계화를 지향하며 세계유산포럼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무형문화유산의 다양한 정책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고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