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와 전수교육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ocumentation Method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raining Center

  • 김지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 이영학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투고 : 2018.03.27
  • 심사 : 2018.04.05
  • 발행 : 2018.04.30

초록

무형문화유산은 형태가 없는 문화유산을 말한다. 급격한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무형문화유산의 보존은 더욱 중요해졌다. 무형문화유산은 사람을 통해 전승된다. 그러나 온전히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여 무형문화유산을 보존할 수는 없다. 무형문화유산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이를 기록에 담아 보존하고 전승해야 한다. 이에 현재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전수교육관에서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를 제안한다. 전수교육관에서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는 첫 번째, 현재의 행정기관 위주의 하향식 기록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두 번째, 전승자와 보유단체의 관점이 담긴 기록화를 가능하게 한다. 세 번째로 무형문화유산 공동체의 역사와 정체성이 반영된 깊이 있는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를 할 수 있다. 네 번째,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성, 변이성, 지역성을 살려 기록화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이러한 전수교육관 기반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는 전수교육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무형문화유산법 제정과 국립무형유산원의 개원 이후 무형문화유산에 관한 제도, 정책뿐만 아니라 무형문화유산 기록관리도 빠르게 고도화되었으며, 기록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졌다. 변화에 힘입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장 생생한 현장인 전수교육관에 주목하여 무형문화유산 기록의 기반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formless. It's of importance to preserve heritage in line with society drastically being transformed. It's passed down by human being. It is, on the other hand, impossible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olely based on memory, for it's changed in succession. Thus, it be archived to pass down.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state of affair related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ations, examined the shortages thereupon. Furthermore, Training center should be in charge of documentation for a solution.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ttributed to the top-down documentation system by central administrative organ,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viewpoint of different successors, organizations. In addition to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s should be of different aspects of community history. Featur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hich are convergent to the Regionality, tendency of variation, transmission, can be magnified when documentating. Finally, Training center is going to play a major role being vitalised. The record manage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and policie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highly complicated sinc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opened and the law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acted with its recognition attracted. Therewith this study wishes to see a cornerstone of record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laying stress on training center in which educations and pass-dow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lively achieved.

키워드

참고문헌

  1. 경향신문. 2009.11.09. "농악무, 중국이 먼저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록",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1091737475&code=960201.(접속일자. 2017.08.16).
  2. 국립국악원. 2016. 국악아카이브 연구기획 학술세미나 자료집: 디지털 시대. 공연예술 아카이브의 역할과 가치 창조.
  3. 국립무형유산원. 2014. 무형문화유산 기록화 지침서.
  4. 국립무형유산원. 2015a. 함께 즐겨요! 무형유산 배움터.
  5. 국립무형유산원. 2015b. 2015년 무형유산 자료수집 및 디지털 아카이빙 계획 보고서.
  6. 국립무형유산원. 2017. 2017년 국가무형문화재 기록화 기본계획안 보고서.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무형문화재 기록화 가이드북.
  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채록 보고서.
  9. 권소현, 김익한. 2010. 강릉단오제 기록화 방안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24, 173-214.
  10. 김미경. 2012. 무형문화재 정책 및 운영의 발전방안 연구: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문화예술행정전공 박사논문.
  11. 뉴스1. 2017.10.16. "보유자 없고 예산도 부족... 무형문화재 25% 단절 위기".(접속일자. 2017.12.16). http://news1.kr/articles/?3124619.
  12. 문화재청. 2012.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자 운영실태 및 수요조사 결과보고서.
  13. 문화재청. 2017. 2016년 자체평가 결과보고서(주요정책부문).
  14. 문화재청. 2018a. 2018년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 시행계획.
  15. 문화재청. 2018b. 국가무형문화재 통계자료(2018.1.31).
  16. 문화재청, 한국문화재정책학회. 2009.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17. 백주현, 김순희. 2010a. 시.도지정문화재 기록화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77-97.
  18. 백주현. 김순희. 2010b. 대전광역시지정무형문화재 기록화 방안 연구. 충청문화연구, 3, 143-174.
  19. 송준. 2012. 무형문화유산정책과 NGO의 역할. 남도민속연구, 제24집, 109-130.
  20. 아태무형유산센터, 문화재청. 2010. 무형문화유산의 이해.
  21.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ICHAP). 2012. 2011년 전문가회의 보고서: 무형문화유산정보의 구축과 공유.
  22. 이재필. 2010. 무형문화재 기록 보존의 쟁점과 과제. 인문콘텐츠, 19, 141-158.
  23. 이재필. 2017. 국립무형유산원의 아카이브 현황과 향후 정책 방안. 무형유산, 제2호, 5-20.
  24. 임예림. 2011. 무형문화재의 기록화 및 기록물 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
  25. 임장혁. 2008. 중요무형문화재의 기록과 기록물의 활용: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학회지, 제15권, 121-142.
  26. 장하나. 2015. 은산별신제 기록화 방안. 중부대학교 대학원 기록물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7. 정수진. 2006. 원형의 기록화. 기록의 원형화: 무형문화재의 기록. 한국민속학, 44, 463-490.
  28. 최숙경. 2010. 무형문화재 매체별 기록방법. 인문콘텐츠, 19, 159-175.
  29. 최연규. 2014. 국립무형유산원 소개. 기록인, 29, 104-111.
  30.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31. 한희정, 오효정, 김태영, 김용. 2016. 국내 무형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2), 95-13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2.095
  32. Asia/Pacific Cultural Centre for UNESCO(ACCU). 2006. Expert Meeting on Community Involvement in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wards the Implementation of the 2003 Convention Report. Tokyo. Japan.
  33. 아태무형유산센터 홈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