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ulation standard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6초

인체의 자세가 체온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sture on the human thermoregulatory response)

  • 심현섭;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15-42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hermoregulatory responses to posture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o obtain the basal information for standard clothing weight, indoor climates, and working condition. Two adult female (22.5yrs, 46kg)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1) comfort($27{\pm}1^{\circ}C$, $60{\pm}10%$), 2) hot($34{\pm}1^{\circ}C$, $60{\pm}10%$), and 3) cold($21{\pm}1^{\circ}C$, $50{\pm}10%$) condition. The postures performed were as follows; standing, sitting on the chair, sitting on the floor, and supine on the floor. At each condition, subjective sensations, 12 points skin temperature, rectal temperature, total and local sweat rate, pulse rates, blood pressure, skin blood flow rate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Rectal temperature was high significant among groups in order of supine, sitting on the floor, sitting on the chair, standing posture(p<0.01). 2. Skin temperature was high in part of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loor or wall and the effect of posture was greater in peripheral temperature than torso temperature. Sitting on the chair and sitting on the floor posture showed higher peripheral temperature than standing and supine posture. And peripheral temperature was lower in supine posture than any other postures. 3. Total and local sweat rate were decreased in order of standing, sitting on the chair, sitting on the floor, supine posture. 4. Pulse rate and disastolic blood pressure were higher in standing posture than supine postur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postures(p<0.001). 5. Blood flow rate of thigh was high in sitting on the chair and sitting on the floor posture and low in standing posture. Blood flow rate of leg was low in standing posture significantly(p<0.01). 6. In comfort and hot condition, temperature sensation and comfort sensation were higher in standing posture and lower in supine posture than any other postures. In cold condition, temperature sensation was lower and comfort sensation was higher in standing and supine posture than any other postures. And supine posture was appeared positive in hot condition and negative in cold condition. From this study, we confirmed the effects of posture on human thermoregulatory responses. Results indicate that even under same conditions and clothing weight, the insulation of clothing will be different to postures.

  • PDF

PFA 및 MWCNT의 기핵효과에 의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y Changes of Rigid Polyurethane Foams by Nucleating Effects of PFA and MWCNT)

  • 안원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45-2950
    • /
    • 2015
  • 경질 폴리우레탄 폼(RPUF) 제조에서의 단열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PFA (Perfluoroalkane)는 액상의 발포 기핵제로서 성능은 뛰어나지만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불소화합물로서 환경 유해성 물질이다. 따라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의 대체 기핵제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하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고상 기핵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샘플에서의 셀 크기 및 단열 성능과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연구하여 보고자 하였다. 셀의 평균크기는 $165.6{\mu}m$에서 $162.9{\mu}m$로 상대적으로 더 작아졌으며, 표준 편차 역시 각각 45.6 및 35.2로서 상대적으로 더 균일한 셀 크기 분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k-factor 값 역시 0.01763 및 $0.01745kcal/m.hr.^{\circ}C$의 값으로서 1.02%가 감소된 더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압축 응력 시험에서의 초기 모듈러스는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나타내었으나 압축항복 응력은 약 $0.030{\times}105Pa$로서 거의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부터 MWCNT는 매우 우수한 기핵제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소량의 MWCNT를 기핵제로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우수한 단열효과와 기계적 물성을 지닌 친환경적인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 방위, 기준층, 단열재, 기밀등 요소변화에 따른 1차에너지 변화량 과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Primary Energy Change Amount and Grade Correlation following Factor Changes such as Area, Point of the Compass, Standard Layer, Insulation, Airtight Joint and Others)

  • 김대원;정광섭;김영일;남아리새;김성민;조영욱
    • 에너지공학
    • /
    • 제24권4호
    • /
    • pp.183-191
    • /
    • 2015
  • 친환경적이면서 영구적인 저에너지 절약방안에 대한 연구는 지금도 미래도 영원한 과제일 것이다. 다만 그 절차에 있어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절감요소를 적용함으로서 사용자에게 가시적인 이익이 나타내는 생활밀착형 절감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의 정책에 있어 기존건축물 에너지성능 개선은 그 절차가 복잡하고 전문가에 의뢰시 소요비용과 신뢰성 문제가 야기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즈가 간단히 프로그램에서 내가 교체하고픈 부위 요소만 선택하면 에너지변화량과 등급예측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개인별 취향에 따른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게 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고 편리한 에너지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site Ca 및 B-site Zr 첨가에 의한 BaTiO3-CaTiO3복합체의 유전특성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site Ca and B-site Zr Substitution on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and Microstructure of BaTiO3-CaTiO3 Composite)

  • 윤만순;박영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7-45
    • /
    • 2003
  • $BaTiO_3$의 Ba 자리에 Ca, Ti 자리에 Zr을 첨가한 $(B a_{1-x}Ca_x)(Ti_{0.96-y}Zr_{y}Sn_{0.04})O_3$ $(0.15 {\leq} x{\leq}0.20,\; 0.09{\leq}y{\leq}$0.14) 조성에 2차상 형성을 유도하여 복합체를 만든 후 유전 및 소결 특성을 조사하였다. Ca량이 15mol% 이상 첨가됨에 따라 $CaTiO_3$를 주성분으로 하는 2차상이 석출하여 복합체가 형성되었으며, Ca량의 증가에 따라 2차상 분율이 증가하였다. Ca량의 증가는 큐리 온도를 mol%당 $1.7^{\circ}C$ 감소시키며, 저유전율 2차상의 영향으로 Ca량 증가에 따라 최대 유전율은 mol%당 200 감소하였다. Zr 첨가는 큐리온도를 mol%당 $10^{\circ}C$ 감소시키며, 확산형 상전이 현상을 증가시켜 최대 유전율을 217 감소시켰다. 2차상의 증가에 의하여 비정상 입성장이 억제되어 소결밀도, 내전압 특성이 향상되었으며, Zr 첨가에 의하여 커패시턴스의 온도 안정성을 제어하여 EIA 규격을 만족하는 고압, 고유전율 Y5U 콘덴서 조성을 개발하였다.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개량분체의 Mock-up 실험평가 (Mock-up Test of Improved Concrete Binders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 최성용;정광복;김기철;김성수;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853-856
    • /
    • 2008
  •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건축물 방바닥의 단열, 차음 및 높이차 조정 등의 목적으로 아파트 건설공사 등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소포에 의한 체적감소, 과다한 균열 발생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혼화재들을 첨가하여 특수한 특성을 가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개량분체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기포율 저감 및 균열방생등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개발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실무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실구체로 상정한 모의부재를 제작 후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들의 제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는데,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종 재료가 혼입된 개량분체인 플레인은 약 230mm의 플로우치를 보여 목표 플로우치를 만족하였고, 100mm부재에서 약 4mm의 침하가 일어나 OPC에 비하여 약 2배의 침하깊이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강도면에서는 OPC가 가장 높은 강도로 나타났으나, 세 수준 모두 KS기준 0.5품의 규정치를 상회하는 강도이었다. 건조수축 균열에 대한 부재균열 분석으로써 플레인은 약 0.1mm정도로 건조수축 균열에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존 노후건축물의 최적 리모델링 개선안 연구 (Analysis on Energy Demand Resulting From the Change in Window Area & Installation of Interior Exterior Blinds)

  • 김대원;정광섭;김영일;남아리새;오세민
    • 에너지공학
    • /
    • 제23권2호
    • /
    • pp.207-216
    • /
    • 2014
  • 에너지손실을 분석해 보면 열전달에 의한 손실과 공기유동에 의한 손실로 구분할수 있다. 열전달은 외벽, 지붕, 바닥의 열관류율에 의한 손실로 기존건축물의 가장 취약한 부분의 한 요소이다. 이런 손실을 방지 하려면 창을 포함한 외벽 전체의 평균 열관류율을 지역 기준값 이상으로 올리고 창의 기밀성을 확보함에 따라 방지 할수 있다. 노후건축물의 가장 취약한 부분이 외벽과 창호 이지만 출입문을 통한 침기량은 연돌효과에 의해 층계단을 타고 올라감과 동시에 각층의 공기를 흡입하여 더큰 유동을 잃으켜 층의 단열성 까지 취약하게 만드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장 조사를 통한 진단과 에너지 개선처방이 제시될 때 반드시 건물전체에 대한 진단과 각층 부분에 대한 개선안이 함께 제출되어 단순히 창 교체만 하면 에너지절감을 이룰수 있다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충돌보호메모리모듈의 소형화를 위한 하우징 및 메모리 보드 설계와 검증 (Design and Verification of Housing and Memory Board for Downsizing for Crash Protected Memory Module)

  • 김준형;김정필;김정열;김태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1-88
    • /
    • 2020
  • 비행기록장치는 항공기 사고 조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비로 ED-112A 규격을 준수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비행기록장치는 일반 데이터 저장 장비와 달리 항공기 사고 후에도 데이터 복원이 가능해야 함으로 극한환경에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하우징과 메모리 보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극한환경시험의 충격, 전단/인장, 관통, 압박 시험의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여 시험을 견딜 수 있는 하우징을 설계하였고 항공기 장착을 고려하여 기존 대비 크기 및 중량을 최소화하였다. 고온화재, 저온화재에 견딜 수 있도록 단열재와 상변환물질을 적용하여 260도, 10시간 환경에서도 150도 이상으로 내부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메모리 보드도 크기를 최소화하고 Hoping Programming 방식을 고안하여 16초 이상의 연속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ED-112A를 만족하는 충돌보호메모리모듈을 제작에서 시험까지 완료하였다.

돈사 내에서 계절별 악취 발생 농도 조사 연구 (A Field Survey on the Odor Concentration in Piggery by the Change of the Season)

  • 감동환;정종원;최희철;송준익;홍준택;이대원;유용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7-19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축산농가의 사육규모에 따른 사육형태, 분뇨처리 방법, 악취저감 방법 등과 계절별 성장단계별 돈사 내 악취농도와 환기방식이 다른 두 농장의 부지경계 지점의 악취농도를 조사 연구하고자 하였다. 1. 돈사 내 암모니아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겨울철 육성비육돈사의 암모니아 농도가 가장 높았다. 그 이유는 돈사 보온을 위해 적정 환기 유지보다 밀폐 강화 등의 결과로 돈사 내 발생한 암모니아 배출이 적어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였다. 2. 돈사 내 악취농도 조사 결과 사육규모와 환기 방식이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환기방식이 다른 농장 두 곳의 부지경계 지점을 조사하고 악취농도를 측정한 결과 부지경계 인근까지 돈사시설이 활용되고 있었다. 암모니아($NH_3$)는 한곳의 농장에서 1.64 ppm으로 조금 높게 검출되었으며 $H_{2}S$, $CH_{3}SH$, $(CH_3)_2S$, $(CH_3)_2S_2$는 악취방지 법의 배출 허용기준 이하로 검출되었다.

  • PDF

배합수 냉각방법 및 지연제 사용에 따른 서중 원전콘크리트의 특성 (Properties of Hot Weather Nuclear Power Plant Concrete with Water Cooling Method and Retarding used)

  • 이승한;정용욱;장석수;여인동;최종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602-4609
    • /
    • 2013
  • 온도차가 극심한 하절기와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의 경우 각종 균열의 발생, 콘크리트 품질불량, 내구성 및 강도저하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특히 원전콘크리트의 경우 대량의 타설로 인한 4계절 연속시공이 이루어져 서중환경에서 콘크리트 품질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중환경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프리쿨링 공법 중 배합수 냉각방법과 지연제 사용이 원전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배합수 냉각방법은 냉수 $5^{\circ}C$와 Ice Flake 50% 치환사용 하였으며, 지연제 사용에 따른 원전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 및 경화 후 콘크리트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 특성으로는 슬럼프, 공기량, 응결시간 및 경화 후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단열거푸집을 제작하여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시켜 각 온도조건하에서 수화열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슬럼프 및 공기량 경시변화 종료시간은 $20^{\circ}C$에서 120분, $40^{\circ}C$에서 40분으로 나타났으며, 관입 저항에 의한 응결시간은 배합수 냉각방법 및 지연제 사용 모두 초결과 종결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기온도가 상승할수록 지연폭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화열은 배합수 냉각방법 모두 최고온도의 저감과 도달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연제 사용의 경우 최고온도 저감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령별 압축강도의 경우 3일, 7일의 초기재령에서 Plain과 비교하여 낮은 강도 값을 나타내었으나, 재령 28일에서는 설계기준강도를 모두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