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ment Development

검색결과 1,455건 처리시간 0.028초

일반 강도용 고유동 콘크리트에서의 골재 입도 영향 (Effects of Aggregate Grading on the Performance of High-Flowing Concrete with General Strength)

  • 김상철;김연태;신동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63-72
    • /
    • 2012
  • 고유동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고가의 각종 혼화재료를 과량 혹은 추가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 단가 상승, 추가 설비의 필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분체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과잉 강도발현 등 고유동 콘크리트가 갖고 있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특수 목적이외에는 그 사용에 있어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고강도성 고유동 콘크리트와 달리 일반 강도의 고유동 콘크리트의 상용화를 위해 콘크리트 구성 재료 중에서 골재를 중심으로 이들의 합리적 활용과 콘크리트의 성능향상 모색을 위해 정량적 인자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실험변수로 물-시멘트비, 잔골재율, 골재의 조립률, 입자 크기의 중요도, 13mm 골재와 미립분의 활용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슬럼프플로와 U형 충전시험의 충전고차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고유동 콘크리트 성상은 굵은 골재보다 잔골재 입도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잔골재율이 높을수록, 조립률이 낮을수록 충전성과 유동성 확보에 유리하였다. 또한, 골재의 대체재로써 13mm 골재 및 미립의 석분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충전성과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선상 중력자료의 처리 및 정밀도 분석 (Data Process and Precision Analysis of Ship-Borne Gravity)

  • 금영민;권재현;이지선;최광선;이영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9-97
    • /
    • 2010
  •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정밀 지오이드 모델 개발을 위해서 해상에서의 중력자료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해상에서의 중력자료는 위성고도계자료에서 산출한 중력자료를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나, 측량장비의 발달과 측위 시스템의 개선 및 국내 선상중력자료의 취득으로 인해 보다 정밀한 중력 자료의 취득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선상중력자료의 정밀도를 검증하고, 지오이드의 구축에 있어서 선상중력자료의 활용성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지난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측정한 선상중력자료를 대상으로 에트뵈스(Eotvos) 효과 보정, 칼만 필터(Kalman Filter), 교차점 보정 등의 일관된 처리를 거쳐 평균 16.47 mGal, 표준편차 18.86 mGal의 프리에어이상값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선상중력 프리에어이상값의 정밀도는 DNSC08 위성고도계자료와 비교를 통하여 검증되었는데, 두 자료의 프리에어이상값의 차이는 평균 -0.88 mGal, 표준편차가 9.46mGal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영외지역이나 섬의 분포가 많은 해안 지역에서의 선상중력자료를 확보하는데 있어서의 한계와 해저지형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선상중력자료에서 크게 나타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오이드 모델 개발에 선상중력자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료 취득의 한계를 극복하고 위성고도계 자료와의 연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고지도의 연구 동향과 과제 (Progress and Prospect of Research on Old Maps in Korea)

  • 김기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1-320
    • /
    • 2007
  •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이후 우리나라 고지도 연구 동향을 시기적으로 분석하고 주요 주제를 대상으로 연구 쟁점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 초기 연구는 "대동여지도"를 중심으로 신비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으나 1960년과 1970년대에 규장각 소장 자료가 공개되면서 연구 지평은 크게 확대되었다. 1980년대 들어 목록집이 완성되고 군현지도책이 소개되었다. "대동여지도"에 대한 도법뿐만 아니라 지리지와의 관계가 연구되었으며 지역을 단위로 하는 정리 사업이 시작되었다. 1990년대 이후 전통지리사상, 경관의 복원, 영토 문제, 장소의 의미가 중요시되면서 새롭게 접근되기 시작하였다. 지방에서는 지역 정체성 회복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여 도록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논문과 저서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는 각 기관에 소장된 자료에 대한 비교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계열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흐름 속에서 (1) "천하도"의 제작 기원 (2) 방안식 군현지도 (3) 필사본 "대동여지도"를 중심으로 논쟁이 형성되었다. 고지도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1) 각 기관에 소장된 자료들이 동일한 서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세 목록집의 간행 (2) 소장 기관간의 교류 사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류 협의체의 설립이 요구된다. (3) 또한 연구 인력이 매우 부족한 현실로 볼 때, 학계와 소장 기관간의 원활한 교류뿐만 아니라 학계 내에서도 학문간 경계를 넘는 소통과 협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부산지역 치과위생사의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clinical dental hygienists' career in Busan)

  • 강현경;권현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07-521
    • /
    • 2009
  •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clinical career as an effort to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ental hygienists' effective job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120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Busan during the period from the $1^{st}$ February to $31^{st}$ March 2009 by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using a 5 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Absolutely yes' (5 points) to 'Yes' (4), 'So so' (3), 'No' (2), and 'Not at all' (1), and a high score indicates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hen it testd the reliability of the job satisfaction scale was tested, Cronbach's Alpha (${\alpha}$) was 0.85 which indicates the instrument is sufficiently reliabl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subject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hi square and one way ANOVA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f their job, job satisfaction, and their aptitude and status as a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onger clinical career the dental hygienists had, the more they thought that they had aptitude as a dental hygienist (p<0.05). 2. The dental hygienists' turnover inten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p<0.01). 3. The longer clinical career the dental hygienists ha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hen they were working at a dental hospital or clinic equipped with convenience facilities (change room, lounge, etc.) (p<0.01). 4. The longer clinical career the dental hygienists had, the more power to make decisions they had and the more acknowledgement and trust they received from dentists (p<0.01). 5. Satisfaction with duty coordination was low in general, but it grew higher with increase in clinical career (p<0.01). 6. The longer clinical career the dental hygienists ha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patients' appreciation of their treatment (p<0.01). In addition, their time and opportunities to discuss with dentis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items was higher when their clinical career was long (p<0.01). 7. As to their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potential for development, they generally believed that they had potential for future growth with the expansion of their work scope (M=3.73). The longer clinical career the dental hygienists had, the more satisfied the more power to make decisions they had and the more acknowledgement and trust they received from dentists and their time and opportunities to discuss with dentists when they were working at a dental hospital or clinic equipped with convenience facilities (change room, lounge, etc.). The longer clinical career the dental hygienists had, the more they thought that they had aptitude as a dental hygienist. In conclusion, the longer clinical dental hygienists' Career had, satisfaction was able to take a highness to a dental hygienist occupation.

  • PDF

우리나라의 유해물질 분류체계 및 관리방안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azardous Substances in Korea)

  • 김광종;최재욱;김현욱;이은영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5-155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hazardous substances, (2) a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ification system of hazardous substance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3) a development of the new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finally a review of prerequisites for effective enforcement of the new syst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backbone of classification system of hazardous substances in Korea is based on Japanese classification system and EC(European Committee) guideline of hazardous substance. There are many problems in managing and handling of hazardous substances due to discordant of Japanese and EC system. It is desirable to revise the classification system to be harmonized with international guideline for example, guideline of IFCS(The Inter-governmental Forum on Chemical Safety) and EC guideline. 2)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definitions of corrosive, sensitizing and irritation in MSDS Code of Ministry of Labour. It is desirable to reform those definitions. 3) Among the hazardous substances under the current system, there are several substances such as, beta-propiolactone, methyl bromide, ethyleneimine, etc that are not used and produced in Korea. It is desirable to exclude the substances from the list of controlled substances. 4) The section 39, about 'substance that designated to attach warning label' i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OSHAct) should be eliminated, because above section is unnecessary under the MSDS system. 5) The researchers recommend to establish a new list of hazardous substance which are controlled by OSHAct. It is desirable that the new list is consist of two types. The first type is 'a list of the specially controlled substances' and the other is 'the generally controlled substances'. 6) It is recommended that the specially controlled substances should include hazardous substances that are highly toxic and widely used in Korea. And the generally controlled substances should include hazardous substances that can be analysed by instrument and carry threshold. limit values(TLV's).

  • PDF

진동·충격음 흡수성 목질계 복합재료의 개발 -폭 넓은 감쇠곡선을 나타내는 고분자의 합성- (Development of Vibration and Impact Noise Damping Wood-Based Composites -Synthesis of the Polymer Showing a Broad Damping Peak)

  • 이현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15-22
    • /
    • 1999
  • 진동 충격음 흡수성능을 지니는 샌드위치구조 목질 복합재료 제조용 폴리머는 넓은 온도범위(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손실계수를 지니면서, 동시에 $5{\times}10^7\sim-10^9\;dyne/cm^2$의 탄성율을 지녀야 한다. 본실험에서는 이러한 점탄성 거동율 나타내는 고분자재료의 제조를 목적으로 에폭시 수지/아크릴 수지 상호침투망목고분자(IPNs)를 동시망목형성법으로 합성하였다. 고분자의 동적 점탄성은 Rheovibron을 사용하여 110Hz에서 측정하였으며, 복합체의 손실계수 및 동탄성 계수는 Rheovibron을 개조한 양단지지 강제 휨 진동법으로 주파수 110Hz에서 측정하였다. 동력학적 측정 결과, 손실탄성율의 최대값 온도 및 손실계수의 최대값 온도가 이동하고, 유리전이 영역이 확대되어, 이 IPNs계는 부분 상용계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70/30 및 50/50 조성의 Epikote871/P(n-BMA) IPNs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비교적 높은 손실계수 및 적당한 탄성율을 나타냈다. 또한 이를 적층한 목질 복합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비교적 높은 진동흡수 계수를 나타냈다.

  • PDF

CANDU형 사용후 핵연료 다발 일련번호 확인을 위한 육안검사 장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Visual Test Instrument for Spent CANDU Fuel Bundle Serial Number Identification)

  • 나원우;이영길;윤완기;곽은호;박승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3-99
    • /
    • 1999
  • 월성 1호기 원전의 경우에, 사용후 핵연료 저장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약 7년 동안 저장조에서 냉각된 사용 후 핵연료를 건식저장고로 매년 이송하고 있다. 년간 2개월이 소요되는 핵연료 이송은 국제원자력기구와 국가의 핵물질 계량 관리검사를 위한 많은 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하는 공정이다. 사용후 핵연료 일련번호 확인은 고방사선장인 약 6m 깊이의 저장조속에서 진행되어야 하므로 검사 장비의 유지와 운영이 어렵다. 이 조건에서 CANDU형 사용후 핵연료 다발 일련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 제작하여, 국가 안전 조치 검사현장에 적용하였다. 본 육안검사 장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조속의 사용후 핵연료 다발 일련번호를 한정된 검증 시간내에 정확히 읽을 수 있었고, 간편하게 운영될 수 있었다. 안전 조치 검사관은 본 장치를 이용하여 검증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검사 장비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육안검사 장치는 일련번호 확인의 정확성과 재현성 그리고 운영상의 편리성 둥에서 기존 장치에 비해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밀에서 HPLC에 의한 데옥시니발레놀 분석의 측정불확도 산정 (Estim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for the HPLC Analysis of Deoxynivalenol in Wheat)

  • 옥현이;장현주;안장혁;조재용;전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8-26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밀 시료에서 면역친화컬럼을 이용한 HPLC분석법으로 데옥시니발레놀을 분석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측정 불확도를 GUM 지침에 따라 산정하였다. 분석과정에서의 불확도 요인은 시료량 측정, 최종 시료부피, 보관표준용액, 작업표준용액, 표준용액, 기기, 매질, 검량선 작성으로 구분하였다. 불확도 요인의 구성요인은 저울의 안정성, 분해능, 재현성, 표준물질의 순도, 분자량, 농도, 표준용액 희석, 검량선, 회수율 및 분석기기의 재현성 등이 작용하였다. 공시료에 데옥시니발레놀 300 ${\mu}g/kg$을 첨가하여 분석한 결과 $255.29{\pm}71.62$ ${\mu}g/kg$으로 측정되었다. 확장불확도는 합성표준불확도 35.81 ${\mu}g/kg$에 포함인자(k=2, 신뢰수준 95%)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밀에서 데옥시니발레놀을 분석함에 있어 불확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는 시료의 회수율과 검량선 작성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밀 시료에서 데옥시니발레놀 분석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수율과 검량선 작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면역친화컬럼에 의한 시료의 정제과정과 표준물질의 희석과정에 주의를 기울이고 주기적으로 마이크로피펫을 교정하는 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정도 (Pain Management Knowledge, Attitudes, and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조현주;권소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4호
    • /
    • pp.322-330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 지식, 태도, 수행정도를 파악하여 추후 요양병원 통증관리 교육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4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0명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통증관리 지식과 통증관리 태도는 원래 연구도구는 Watt-Watson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통증관리 수행정도는 요양병원에서의 통증관리 가이드라인들을 근거로 연구자가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통증관리 지식은 40점 만점 평균 26.2점이었다. 가장 많이 틀린 문항은 통증의 주관성에 대한 항목으로 '통증에 따르는 환자의 생리적, 행동적 반응을 보고 통증의 유무와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89.2%)'였고, 56.7%는 내성의 증가는 마약성 진통제 중독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였다. 통증관리 태도와 실무에 관해서는, 80.2%가 통증을 자주 호소하는 환자에게 위약을 사용한다고 하였고, 위약사용은 간호사가 두 번째로 자주 사용하는 통증관리 방법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 지식이 낮고 태도가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증관리 실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에게 통증관리 교육, 특히 통증의 속성과 위약남용에 대한 교육이 시급하다.

지형측량을 위한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Non-prism Total Station for Topographic Surveying)

  • 서동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33-441
    • /
    • 2006
  • 최근 전자기술의 발달로 대상물에 접촉하지 않고, 장비에서 발사된 레이저가 측정대상물에 직접 반사되어 거리를 측정 가능하게 하였다. 더욱이 3차원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이 등장하여 도로, 공항, 항만 등의 토목분야 뿐 아니라 구조물변위, 계측 등의 건축분야에 그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관측거리에 따른 재료 및 반사각도별로 관측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고, 그 활용성을 위하여 지형측량에 적용하였다. 연구한 결과는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은 반사각도가 $90^{\circ}$일 때는 재료와 상관없이 매우 양호한 값으로 분석되었다, 점차적으로 반사각도가 예각으로 증가할 때 RMSE는 높아지는 양상이 보였다. 그리고 관측거리에 따른 재료 및 반사각도별로 회귀분석 한 결과, 관측거리와 반사각도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재료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인 지형측량에 있어서 무프리즘 토털스테이션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교통의 흐름이 많은 곳의 도로, 경사각이 높은 암벽의 절리면, 기타 위험지역에서 측량자의 안전과 신속한 측량작업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