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Modul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A study on the utilization ability of Instructional media based on NCS for Young Child's Preliminary Teachers

  • Ha, Y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5-141
    • /
    • 2017
  • This thesis progressed research on the improvements of NCS multimedia utiliza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A national module has not been developed yet in terms of child education, so this thesis suggests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ourses taught for freshmen and sophomores of K University Child Education majors. To lessen the burden of tremendous work and classes, provide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and maximize the effect, this thesis provides NCS based curriculum. It expects to improve task performance of teachers and help them with better skills to make class materials using up-to-date multimedia, regardless of the computer literacy of preliminary teachers. This thesis does prior research on the abilities to make use of computers and understand the level of computer literacy. Then it suggests NCS based curriculum goals and its performance standards to utilize task-suitable software. It aims to enable efficient multimedia usage, and optimize the learning efficiency of education linked to Nuri precesses.

인터넷을 이용한 간호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간호정보학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an Internet Based Nursing Program: Application to Nursing Informatics)

  • 염영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035-104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ternet based program for nursing informatics. The course subject, Nursing Informatics, was made by a computerized instructional module using the internet. The program was developed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level of competence and knowledge in the subjects. It was based on 10 steps of the CAI module developed by Alessi and Trollip. The subjects consisted of 76 junior nursing students taking a Nursing Informatics course. Two set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First,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76 students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their experience while us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Secondly, another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76 students after they took the course.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program in terms of easiness of use, precision of contents, freshness of contents, motivation in learning, effectiveness of learning,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precision of screen, and interest in the contents. IDs and passwords were given to the students. Th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their IDs and passwords when they connected to Nursing Informatics (http://hallym.ac.kr/~yhyom/ inform.html). They were led the menu page which was categorized into 8 icons (i. e., syllabus, lecture notes, quick test, Q & A board, assignment, on-line test, related web sites and mailing lists) after confirming their IDs and passwords. The students' responses were very positive. This program was a very useful in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motivation in the students. Suggest to be use for other nursing courses.

  • PDF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System for ICT Underachivers)

  • 장준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27-436
    • /
    • 2008
  • ICT 소양 학습이 교육과정에 도입되어 시행된 이래 10여년의 시간이 지나 학습 결과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ICT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교사가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 학습수준의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이다. ICT 교과의 특성은 도구교과와 단계별 소양교과이다. 이런 특성을 가진 교과는 학습부진아에 대한 문제가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ICT 학습부진아를 판별하기 위하여 판별도구를 개발하여 경기도 관내 4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고, ICT 학습 부진아로 판별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지도 실태 파악을 위하여 고양시 관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단계별 분석과정에서 도출한 결과를 적용하여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은 ICT 학습부진의 예방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판별검사모듈, 교수학습모듈, 피드백모듈 등으로 구성되는 웹기반시스템과 오프라인의 본시수업으로 구성된다.

  • PDF

과학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소재 모듈의 개발 (Development of Experimental Modules Using Everyday Life Materials to Enhance Science Process Skills)

  • 김수경;차희영;김중복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54-764
    • /
    • 2005
  • 이 연구는 증등학생의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소재 탐구모듈 개발 연구이다. 실생활소재를 사용하여 물, 열, 빛, 운동, 물질과 관련된 물리내용으로 모듈을 구성하였는데, 각 모듈 당 4-6개의 관련 활동들이 포함되어 있고, 각 모듈은 학생용 실험서와 교사용 지도서로 구성되어 있다. 모듈을 현장 물리 교사에게 워크삽을 통해 모듈의 목표, 내용, 활용 측면에서 타당도 평가를 받았는데, 모듈의 목표 측면에서는 79%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내용 측면에서는 77%, 활용 측면에서는 71 %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전체적으로 74 %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모듈의 개선점, 보완점등의 설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모듈을 완성하였다.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for Everyone: A Design Experiment

  • Quek, Khiok Seng;Dindyal, Jaguthsing;Toh, Tin Lam;Leong, Yew Hoong;Tay, Eng Gu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31-44
    • /
    • 2011
  • An impetus for reviving resear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s the recent advance in methodological thinking, namely, the design experiment ([Gorard, S. (2004). Combining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Maidenhead, England: Open University Press.]; [Schoenfeld, A. H. (2009). Bridging the cultures of educational research and design. Educational Designer. 1(2). http://www.educationaldesigner.orgied/volume1/issue21]). This methodological approach supports a "re-design" of contextual elements to fulfil the overarching objective of mak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vailable to all students of mathematics. In problem solving, components critical to successful design in one setting that may be adapted to suit another setting include curriculum design, assessment strategy, teacher capacity, and instructional resource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implementation, over three years, of a problem solving module into the main mathematics curriculum of an Integrated Programme school in Singapore which had sufficient autonomy to tailor-fit curriculum to their students.

A VR-Trainer for Forklift Operation Safety Skills

  • Ahn, Seungjun;Wyllie, Mitchell J.;Lee, Gun;Billinghurst, Mar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2-128
    • /
    • 2020
  •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a Virtual Reality (VR)-based simulation could be used to train safe operation skills for forklift operators. Forklift operation is categorized as high-risk work by many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egulators and authorities due to high injury and fatality rates involved with forklifts. Therefore, many safety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for forklift operators. Typically, forklift operation safety training is delivered based on instructional texts or videos, which have limitations in influencing people's safety behavior. Against this background, we propose a VR-based forklift simulator that can enable safe operation skills training through a feedback system. The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several modules to teach how to perform the basic tasks of forklift operation, such as driving, loading and unloading, following the safety guidelines. The system provides instantaneous instructions and feedback regarding safe operation. This training system is based on the model of "learning-by-doing". The user can repeat the training modules as many times as necessary before being able to perform the given task without violating any safety guidelines. The last training module tests the user's acquisition of all safety skills required. The user feedback from several demonstration sessions showed the potential usefulness of the proposed training system.

  • PDF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Case-based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for Preventing Malpractice in Operating Room)

  • 박지명;황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22-5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에서의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간호사 대상의 교육을 목적으로 문헌고찰과 실제 경험한 오류사례와 요구도 조사 및 수술실 사건보고서 자료 분석을 통하여 사진, 음성녹음,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를 개발하였다. 1시간 분량의 학습콘텐츠는 4가지 학습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영역별로 성우의 음성과 함께 플래시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실제 간호오류 사례를 이야기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부터 흥미와 현장감을 높였다. 또한 각 영역별 사례를 통해 학습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였고 표준화된 수술실 간호업무프로토콜을 대처방안으로 제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콘텐츠는 신규간호사 뿐만 아니라 경력 간호사의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교육용 자료로써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콘텐츠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을 위한 시스템 마련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리눅스 기반 인터넷 원격 교육 시스템 개발 - ISD Model 지원 교육용 컨텐츠 설계 모듈 - (Development of e-Learning Platform based on Linux -e-Learning Contents Design Module with ISD Model-)

  • 성평식;박춘원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21세기 신지식정보의 창출
    • /
    • pp.165-183
    • /
    • 2001
  • 지난해부터 인터넷 분야에서 가장 확실한 수익 모델을 갖춘 사업 분야로 e-Learning 분야가 손꼽히면서 많은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우후죽순처럼 등장해 이미 1,000여 개의 서비스가 각축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e-Learning은 무엇보다도 학습용 컨텐츠의 품질이 그 성패를 좌우한다 할 때 한국의 온라인 학습 컨텐츠의 품질은 부실하기 이를 데 없다는 게 중론이다. 이는 S/W 공학에서 S/W 품질 보장을 위해 개발 방법론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Method II등 여러 도구들이 보급되고 있는데 비해 학습 컨텐츠는 그 중요도와 개발이 복잡하고 정교함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인식과 개발방법론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가 없음에 기인하는바 크다 할 수 있겠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MacroMedia Director나 ToolBook, Authorware등 일반적인 저작 도구나 웹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Dreamweaver등의 HTML Editor만 있으면 컨텐츠가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육 학습용 컨텐츠의 개발 주기를 살펴보면 요구 분석->교수 설계->저작->평가->배포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학습 컨텐츠의 품질은 사실 요구 분석과 교수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게 되며 이 학습 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IT 분야 지식보다는 오히려 교육 공학적 지식이 더욱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 단계의 절차적 복잡성과 전문성으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학습 컨텐츠들이 제대로 개발 주기를 거치지 못하고 검증되지 않은 스토리 보드에 의한 저작 단계로 바로 돌입하고 있는 것이 한국의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 된 교수 설계 도구는 교육/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을 위한 방법론인 교육 공학의 체제적 교수 설계 이론 Mode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특히 그 중에서도 이 분야의 사실상의 표준 이론(de facto standard)인 Dick & Carey 교수와 Gagne 교수의 인지주의 ISD Model을 기반으로 정교한 교수 설계와 코스 맵 설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 활동을 지원 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하였다. 특히 Linux 기반에서 PHP로 개발 함으로써 Platform에 구애받지 않은 사용 환경을 구현 하였으며 향후 많은 e-Learning Platform에 교수 설계 모듈로 장착 함으로써 기존의 e-Learning Platform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샵매니저를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수업에의 문제중심학습 (PBL)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merchandising (PBL) for Shop Manager)

  • 이지수;이윤정;노혜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71-84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a visual merchandising course adopting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as a part of shop manager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Various vocational training classes are actively developed for vocational high schools, yet programs in the home economics area are relatively lacking. In particular, education programs for shop manager training are urgently required due to the high demand of this job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BL model, which reflects constructionist learning theory, is considered for this visual merchandising course in order to help develop the ability of students to creatively apply their knowledge on real-world problems through self-driven learning. For the purpose of job analysis, two problem area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shop managers who work for apparel shops in department st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professors and high school teachers developed two PBL instructional modules. The developed module courses were implemented with 2 clas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learning outcome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 student survey and reflection journals. It was apparent that the PBL courses effectively attracted the interests of learners in vocational training and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s well as cooper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mplementing the PBL model for the training of store managers can contribute to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교 피부 미용 교과서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High School Skin Beauty Textbooks -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심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67-684
    • /
    • 2022
  •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피부 미용 교과서를 NCS 능력 단위를 기준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NCS 기준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과정 동안 습득 가능한 내용의 포함 여부 및 내용의 적합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기간동안 학습이 가능지만 누락된 NCS 능력 단위를 추가하는 방향으로 개편이 필요하다. 둘째, 고등학교 수준을 벗어난 NCS 능력 단위 5 수준은 교체 작업이 필요하다. 셋째, 삽화 자료와 사진 자료는 학습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선명도와 일관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교과서의 실습과 관련된 내용들은 구체적인 설명과 이와 관련된 학습자료의 첨부가 요구된다. 다섯째, 피부 미용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의 개념 정리와 표기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부 미용 분야 NCS 학습 모듈 개발과 고등학교 피부 미용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의 한계점으로 학습 대상자의 견해를 반영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학생들의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방안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