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Activities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6초

실과교과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Instructional Method of Practical Arts Education)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32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eacher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al method. activities and material in terms of class quality enhancement. Also this study established instructional method. activities and material application Per 7th Practical Arts Education Course guidance domain. and type identification of the instructional method and activities unique to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Conclusions : 1. Teachers consider the instructional method and material beneficial. However in the item relevant to application of diverse instructional methods Per specific teaching objective and educational content in the actual classroom. the highest percentage responding. ‘relatively yes’ (39.7%) . balanced out with those answering. ‘no’(37.7%) 2. In linking the instructional method and material to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y in teaching only the clothing education domain . 3. In each guidance domain, lecture method, problem-solving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home project learning and functional learning were surveyed for instructional method suitability. Notably, home project learning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instructional method. This result begs in-dept analysis as home project learning may be utilized as a tool to compensate for the absence of practical educational objective condition fulfillment and to substitute for teachers unable to Provide such functional guidance in class. 4. In each guidance domain. role-playing. debate/discussion. case study research, practical exercise and activity reporting were rated as essential teaching ㆍ learning activities. 5. In each guidance domain.‘VCR’, ‘CD-ROM’ and ‘Web media’ were identified as suitable instructional materials .

  • PDF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DAP 관련 신념과 교수실제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Regarding DAP in Korea and China)

  • 서현아;천희영;이미란;좌승화
    • 아동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35-15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in regards to the DAP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A number of both teacher variables and classroom environment variables were also examined. One hundred and ninety three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85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the TeacherQuestionnaireas issu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in terms of teachers' beliefs about DAP than DIP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Practice).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for teachers' beliefs about DIP. Second, Korean teachers' scores in terms of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DAP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eachers' age, and the scores for instructional activities related to DIP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any of the teacher variables. On the other hand, Chinese teachers exhibited different scores for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both DAP and DIP, again depending on the amount of teaching experience, the teachers' ages,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they taught. Third,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DAP was found to be in evidence in Korea, but not in China.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의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s of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by Korean Teacher-Librarians)

  • 정진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3-171
    • /
    • 2014
  • 본 연구는 사서교사 배치가 매우 미흡한 현실 속에서 사서교사 교수활동에 대한 이해가 절실하다는 판단아래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을 정의하고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연구자와 서울지역 고등학교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Kuhlthau의 사서교사 교수활동 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의 수준을 진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은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도서관이용교육이 가장 많이 시행되어 낮은 수준의 교수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학교도서관 관련 이론과 연구자들이 강조하는 바와 같이 교과연계 및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높은 수준의 교수활동으로 진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해 향후 사서교사 교수활동이 진화해야 한다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위해 정보활용교육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의 포함 등 적절한 제도와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가정과교육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수.학습전략 - 교수.학습 모형 및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중심으로 - (Instructional Strategy Utiliz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 Technology (ICT)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Centering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and Lesson Plan -)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7
    • /
    • 2001
  • This study is based on education reforms related to strengthening information education in curriculums. This study develops and presents ' General Economics'Model Utilizing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 Technology) in Home Economics'which could be used as a concrete guidance and direc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Economics education in schools. To do so, this study reviews the necessity of adopting ICT in Home Economics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it also reviews and analyzes previous studies of how ICT contribute to instructional activities. Such analysis was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Instructional Model. The Tool of ICT is a useful instructional strategy because it allows the learners'self-lead learn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Therefore the 'General Instructional Model Utilizing ICT'interprets the role of ICT tools to adequate class activities in each step of instruction which includes the conventional step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review and evaluation. It also develops and presents Lesson Plan that can be adopted in school education and thereby shows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theory. This study has limits in that the Instructional Model and Lesson Plan are theoretical in nature.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desirable to critically review the Instructional Model an Lesson Plan and prove their applicability in real classes and the real learning effects.

  • PD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Learning to Teach Science through Science Methods Courses

  • Kim, Sun 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27-1442
    • /
    • 2012
  • This study tracked the change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along with science teaching efficacy throughout sequentially developed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II over two consecutive semesters. Two courses,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II, aimed these preservice teachers to discuss the notion of science teachi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to learn science instructional models, to design lessons utilizing science instructional models, and to eventually implement microteaching.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mainly engaged in cooperative instructional planning activities through science methods course I, and engaged in cooperative microteaching activities through the science methods course II. This study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successfully developed pedagogical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fter two science methods courses. The science methods course I where cooperative instructional planning activities occurred help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pedagogical knowledge but not science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ir pedagogical knowledge development, then, these preservice teachers increase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fter completion of the science methods course II.

예비교사 소프트웨어(SW)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언플러그드 활동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of Unplugged activities for Improving SW Educational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 홍현미;장선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41-651
    • /
    • 2021
  • 본 연구에는 국내의 예비교사 양성 기관의 현실에 맞도록 소프트웨어(SW)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언플러그드 활동을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탐색을 통해 1차 모형을 개발한 후, 이 모형의 최종사용자인 예비교사를 가르치는 교수자 1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설계된 언플러그드 수업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모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모형은 전문가 4인으로부터 타당화를 검증받았다. 본 연구의 모형은 크게 동기유발하기, 안내하기, 활동구성하기, 사례 체험하기, 확장하기 및 결과내기, 정리하기의 여섯 단계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계에서 요구되는 수업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최종 모형은 4인의 전문가에게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본 연구의 논의점에 제안되었다.

초등 교사의 SW교육 수업 전문성 개발 활동 형태 및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rimary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Development Activities for Software Education)

  • 옥지현;안성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19-533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SW교육 관련 내용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참여하는 활동들에 대해 유형별로 분류하고, 최근 3년간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정도, 활동 후 성과 등 전문성 개발 활동 형태 및 특성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초등 교사 27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그 결과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직무연수(96%),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직무연수(96%)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고, 컨설팅 장학 멘토링 동료관찰(82%), 관련부처 및 시도교육청 주관 강좌 워크숍 세미나(69%), 교과연구회(66%)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비공식적 활동 중 독서가 가장 많았고, 유튜브, 깃허브 등 웹사이트 정보 활용(80%),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네트워크(76%)순으로 많이 참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에 참여하는 이유로 대다수가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후 수업 전문성 향상 도움도, 직무역량 향상도, 현업적용도 및 수업 효능감, 긍정적 효과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SW교육 관련 교과 지도를 위한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지속적 전문성 개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 학습활동 개발 프레임워크와 수업모형 개발 사례 (A Framework for Developing Learning Activities for Smart Education and an Instructional Model)

  • 김혜정;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5-39
    • /
    • 2012
  • 스마트교육은 기존에 분리되어 있던 교육 요소들을 스마트인프라 기반으로 상호연결하여 교육적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의 정의와 성격, 스마트 학교들의 환경을 고려하여 스마트 학습활동 개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관련하여 개발된 수업모형에 대해 살펴본다. 이 프레임워크는 스마트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한 수업을 설계할 때 학습활동의 최소단위를 하나의 블록으로 표현하며, 스마트 학습활동 아이디어를 학습활동, 동기, 정보활동, 도구 및 환경 요소의 선택 과정을 통해 구성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고안된 수업모형으로, 스마트교실 환경에서 공유와 검토 및 보완과정을 활성화시킨 생각나눔 수업모형을 소개하며, 교실에서 적용과 관련해서 논의한다.

  • PDF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수학동화유형에 따른 수학적 담화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Math Talks' during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Math Storybook Used)

  • 홍혜경
    • 아동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3-77
    • /
    • 2010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math talks' between concept-based storybook reading and contex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The teachers carried out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using either four concept-based storybooks or four context-based storybooks. Fifty-six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from seven kindergarten classrooms were observ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udio recordings. The transcriptions of 'math talks' during storybook reading activity were classified in terms of the levels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types of mathematizing, and the mathematical processes involv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th talks' during the concep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ex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y in terms of both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and in quantifying and redescribing of mathematizing. However, the 'math talks' during the contex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cept-based storybook reading activity in connecting and reasoning of the mathematical processes involv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improve the level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during math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사이버교육 참여 경험 분석 (Analysis o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in Cyber Education)

  • 조미헌;이옥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97-208
    • /
    • 2005
  • 사이버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이버교육의 특성에 알맞은 교수-학습 방법을 이해하고, 교육 현장의 실태와 현실적인 요구들을 파악하고 대처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교육에 참여했던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들(403명)과 현직교사들(318명)을 대상으로 사이버교육에 참여한 일반 경험 및 의견(학습 시간, 과제 및 평가, 만족도 및 학습 효과, 불편 사항, 개선 사항)과 사이버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활용 실태(교수-학습 활동, 상호작용 빈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학습 전략, 사회적 관계 형성, 협동학습 활동, 그룹별 학습 활동, 지식 구축과 관련된 교수-학습 활동)를 설문 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예비교사와 교사 모두 학업성취 측면에서 사이버 강좌의 효과를 일반 강좌의 효과보다 낮게 평가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과 내용에 대해 큰 불만을 나타내었다. 학습 내용에 대해서는 너무 지루하게 제시된다는 점을 예비교사와 교사 모두 문제로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수동적 자료 제시에 의존하는 활용 양태,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부족 및 관련 학습 전략 습득 기회 부족,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의 친밀한 관계 형성의 어려움, 제한된 그룹별 학습 활동, 전문가와의 상호작용 기회 부족 등과 같은 문제가 지적되었다. 한편 평가 방법 역시 학습 과정을 평가하거나 사이버교육의 운영 형태에 알맞은 다양한 방법이 도입되기 보다는 결과를 중시하는 시험에 상당 부분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