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ure Adult Attachmen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애착의 세대간 전이 - 어머니의 내적 실행모델과 영아의 애착유형 -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of Relationships and Infant Attachment Patterns)

  • 장미자;조복희
    • 아동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7-16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from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of relationships formed in her childhood and infant's attachment patterns and (2) the associations among maternal working models, maternal sensitivity, and infant attachment patterns. The subjects were twenty 12- to 20-month-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1996) was used to assess mother's internal work model of relationships.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Each dyad was videotaped in the modified Ainsworth Strange Situation(1978) and filmed for 3 minutes in the Questionaire Situation of Smith and Pederson (1988). Mothers were classified as autonomous(F), dismissing(Ds), preoccupied(E), or unresolved/disorganized(Ud). Infants were classified as secure(B), insecure-avoidant(A), or insecure-resistant(C). Exact A/B/C/D and Ds/F/E/Ud agreement was observed in 55% of the dyads. Maternal sensitivity was related to infant attachment patterns but not to maternal working models.

  • PDF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According to Parental Adult Attachment Style

  • Kim, Do Hoon;Kang, Na Ri;Kwack, You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1호
    • /
    • pp.17-25
    • /
    • 2019
  •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between different adult attachment styles. Methods: Forty-four parents who completed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were enrolled in our study. They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 Korean-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 Results: The avoidant attachment sc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The anxious attachment scor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pathology, but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n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e secure attachment group exhibited a more autonomou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a l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less parenting stress than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Dismissing-avoidant attachment par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arenting stress scores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Preoccupied and fearful-avoidant attachment parents displayed a more hostile parenting styl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Dismissing-avoidant and preoccupied parents reported a les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depending on the adult attachment style. More specific education and interventions based on parental attachment type are necessary for parents.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Styles

  • Kang, Na Ri;Kim, Do Hoon;Kwack, You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4호
    • /
    • pp.178-184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 of a group-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nd attitude and comparing the same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styles. Methods: Twenty-two mothers who enroll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our study. The participants filled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Revised (ECR-R), Korean-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 compared the pre - and post-scores of the groups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effect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styles. Results: For all study participants, the Parent Distress (p=0.023) and Total Parenting Stress (p=0.018) significantly declined after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ther variables. Within the secure attachment group, the Total Parenting Stress (p=0.008), Parent Distress (p=0.015), and Difficult Child (p=0.011) scores in the K-PSI-SF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Difficult Child scores (p=0.040) significantly dropped in the K-PSI-SF post program within the secure attachment group, compared to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Conclusion: The group-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impacted parenting stress. Depending on the adult attachment styles, the effect of the program varied.

성인기 애착측정의 배우자 애착측정활용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Hazan과 Shaver의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Review on the Problems in Using Adult Attachment Inventory as Spousal Attachment Inventory -Focusing on Hazan & Shaver' Adult Attachment Inventory-)

  • 황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2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roblems in using Hazan & Shaver,s adult attachment inventory as spousal attachment inventory. In summary, Hazan & Shaver's forced-choice inventory is required to caution in using for spouse attachment inventory because of the disproportionally higher secure-attachment type ratio(72% - 89%). It was previous reseaches that used multi-item Likert inventory instead of Hazan & shaver's forced-choice inventory for result analysis because of disproportionally higher secure-attachment type ratio. Although Hazan & shaver's forced-choice inventory was mostly used for young unmarried adults, Using Hazan & shaver's forced-choice inventory as spouse attachment inventory for married adults seem to be inappropriately. Hazan & Shaver's multi-item Likert inventory has the problem of poor reliability in insecure-avoidence factor especially. Hazan & Shaver's one item Likert inventory has the problem of social desirability.

성인기 애착 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성 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부모 부양 의무감을 중심으로- (A Study of Adult Attachment Security: romantic attachment, and attachment and filial obligation to parents)

  • 조윤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92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romantic and parent attachment in attachment security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romantic attachment, parent attachment and filial obligation for generational transition.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ttachment anxiety in female students is higher than male students. 25.1% of the subjects is classified into a secure type and 74.9% is classified as an insecure type. Second, female subjects feel strong attachment to their mothers than male subjects. Third, romantic attachment of female students is related to attachment to their fathers. Fourth, male subjects feel more filial obligation than female subjects. Finally, their romantic and parent attachment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filial obligation. Variables that explain male students' filial obligation are ones of 'giving economic aid to parent' and 'the extent of attachment to their fathers'. A variable accounting for female students' filial obligation is 'the extent of attachment to their mothers'.

대학생들의 성인 불안정애착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Insecure Attachm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이지은;조인효;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29-23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인 불안정애착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포함한 4개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4월까지 애착유형, 스마트 폰 중독, 자아존중감 척도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남녀 대학생 23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인 불안정애착 중 애착불안은 스마트폰중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그리고 자아존중감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애착회피는 자아존중감과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이 애착불안과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했을 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년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대학생의 성인애착유형 및 부모양육방식에 따른 분노 (The Relation of Self-reported Adult Attachment Style,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 and Anger in Undergraduate Students)

  • 박영주;박은숙;장성옥;최명숙;송준아;문소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04-311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 of self-reported adult attachment style,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s and anger i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 The six hundred and fifty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study were conveniently sampled from K University and S College located in Seoul, Korea. The instruments were Spielberger'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 Korean version(Chon, Han, Lee & Spielberger, 1997),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attachment styles by Hazen and Shaver (1987), and Hong's instrument for measuring parental rearing style(2001).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X^2-test$, ANOVA, and cluster analysis using pc-SAS(version 8.0e)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rait anger and anger-in were higher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insecure and ambivalent attachment style compared to students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The mean score for anger-control was highest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The parental rearing styles by cluster analysis were grouped as Neglect, Permissive, Democratic, and Protective-control. The mean scores for trait anger, anger-in, and anger-out were higher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Neglect' parental rearing style than in those with 'Democratic' and 'Protective-control' rearing styles. Conclusion: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might be related to an attachment style and/or a parental rearing style.

  • PDF

대학생들의 불안정애착, 우울, 삶의 만족도, 성별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University Students)

  • 김은영;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95-30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안정애착, 우울, 삶의 만족도가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대전, 경북 지역의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애착유형, 우울, 삶의 만족도, SNS 중독경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총 대학생 31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로 분석 결과, 삶의 만족도를 제외한, 애착불안(${\beta}=.32$, p<.001), 성별의 더미변수인 남자(${\beta}=-.25$, p<.001), 우울(${\beta}=.17$, p=.003)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총 26%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SNS 중독 경향성의 이해와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동기 트라우마 성인여성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motional Experiences of Adult Women with Childhood Trauma)

  • 김흥;김현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41-3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 생존자의 트라우마 영향으로 인한 정서경험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겪은 기혼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신을 지킬 수 없는 아이', '트라우마된 아동기 외상', '불안정애착과 착한아이 증후군',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어려움', '신체화증상', '잃어 버린 나를 찾아서' 의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양육자로부터 직접 학대를 경험한 외상과 동생의 사고를 목격 경험한 가족인 형제의 외상이 트라우마로 진행하는 두 사례를 비교와 대조를 통해 가족내에서 자녀들이 겪어야만 했던 심리 내적인 경험과 부모와 아동기에 형성된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관계외상과 이를 치유해 가는 성장 경험을 이해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들의 삶의 전반에 반영된 부정적 부적응적 정서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한 자아 회복과 정서적으로 잘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애착과 정신병리 (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 최지은;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40-60
    • /
    • 2004
  • 서 론:1940년 경 발달학적 관점에서 시작된 애착에 관한 연구가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초기 연구에서 주로 영유아기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연구는 이후 성인기애착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지면서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의 대인관계나 정서적 유대, 양육 경험에 까지 적용해 왔다. 이런 발전과 함께 최근 발달학적 정신병리에 관한 연구로 애착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아동기 정신병리, 더 나아가 성인기 정신질환과 애착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관계를 최근에 수행된 연구들을 중심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최근에 수행된 연구를 중심으로 관련 문헌들-Medline에서 검색된 논문, 주요 단행본, 국내에서 발표된 애착 관련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결 과:아동기 애착장애, 그 외에 정신병리로서 수용소에서의 양육과 후기 입양의 문제, 공격성과 행동문제, 아동기 불안장애 및 우울증, 성주체성 장애 및 섭식장애, 그리고 아동학대 및 부당 취급, 아동기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 발달, 부모의 애착관계와 양육행동이 애착과 밀접한 연관을 가짐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최근 유아의 애착 행동이나 유형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장기 추적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또한 Main 등이 개발한 AAI는 성인애착연구에 중요한 도구로 이용되었고, 이런 발전에 힘입어 부모의 해결되지 않은 애착에 관련된 문제가 자녀와 애착을 형성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세대간 전이 현상을 발견하게 된 이후 성인 정신 병리의 원인에 대한 연구가 이러한 생애 초기의 애착과 관련된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성인기의 다양한 정신질환들-기분장애, 불안장애, 식사장애, 정신분열병, 해리장애, 성격장애-을 Bowlby의 발달학적 이론을 근거로 이해해 보고, 유아기의 애착과의 연관성 및 애착과 관련된 경험들이 후기 이러한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었다. 결 론:애착이론은 일반적인 부모의 양육과 같이 광범위한 부모-자녀 관계를 보다 심도 있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모-자녀관계가 대개 사회심리적인 접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달리 애착은 기본적으로 생존에 대한 생물학적인 기초에 근거하여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아동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부모-자녀관계, 나아가 아동과 가족간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기 때문에 접근이나이를 기초로 하는 치료도 상호적인 관계 속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앞으로 별도로 발전되어 왔던 발달 이론과 또한 별도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 온 아동 정신병리 및 애착 장애와의 관련이 긴밀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