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icide applicat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41초

비티플러스 살충제의 모기 방제 효과 및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Mosquito Control Efficacy of a BtPlus Insecticide and Its Safety Assessment to Aquatic Environment)

  • 박영진;유성민;권보원;박찬;김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1-188
    • /
    • 2016
  • 비티플러스는 Bacillus thurigiensis와 면역억제가 혼합된 생물농약의 총칭이다. 본 연구는 모기류에 살충력이 높은 새로운 비티플러스 생물농약에 대해서 야외포장 조건에서 약효와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 관해 수행되었다. 모기 유충에 대한 효과적 방제를 위해 두 가지 살포 처리에 따라 비티플러스의 방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비티플러스의 공중살포 ($3.3m^2$ 당 100 mL)에 따른 수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의 효과적 방제를 위해서는 최소 50%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가 요구되었다. 이에 반해 논생태계와 유사한 조건의 간이모형 조건에서 비티플러스를 수중살포한 경우 모기유충에 대한 비티플러스의 방제효과는 0.1%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 효과를 나타냈고, 0.2% 처리에서는 완전 방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유충에 비해서는 다소 낮지만 10% 설탕물에 포함된 0.1%의 비티플러스는 성충에 대해서도 40% 이상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서는 잉어 (Cyprinus carpio), 큰물벼룩(Daphnia magna), 꿀벌(Apis mellifera)을 대상으로 비티플러스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 급성적인 영향은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논생태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방제에 비티플러스의 수중살포 처리가 유효한 방제 처리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독성시험방법 비교와 지역별 약제저항성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oxicological Methods and Field Resistance to Insecticides in Diamondback moth(Lepidoptera: Plutellidae))

  • 이승찬;조영식;김도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3-329
    • /
    • 1993
  • 배추좀나방의 독성시험방법 비교와 지역별 계통의 약제저항성 수준을 조사한 결과, 약제저항성 수준결정을 위한 다섯가지 독성시험 방법비교에서 leaf disc법의 CV가 11.4%로 정밀도가 높았으며 간편하고 처리가 용이한 방법이었다. Topical application법의 CV는 8.0%로 가장 정밀하고 반복성이 높았으나 시간을 요하고 시험조작이 불편한 점이 결점이었으며, insect-direct dipping법(CV=14.9%), leaf disc+insect spray법(CV=17.4%) 및 pot spray법(CV=21.4%)은 비교적 변이계수가 큰 편이었다. 배추좀나방의 지역별 계통에 대하여 topical application법에 의한 약제저항성수준은 $LC_{50}$,치로 감수성계통과 비교한 결과 공주, 김해, 제주 및 인제계통에 대하여 prothifos는 각각 61.1, 5.6, 5.4, 및 3.3배이고, cartap은 33.3, 12.8, 12.3 및 10.5배이며, cypermethrin은 141.7, 37.2, 32.5, 및 7.5배이며, Bacillus thringiensis에 대해 leaf disc법으로 조사한 저항성 수준은 광주, 김해, 제주 및 인제계통에 대하여 8.1, 2.7, 2.3 및 1.9배의 저항성으로 지역이나 약제에 따라 다른 수준의 살충제저항성을 나타냈다.

  • PDF

국화 포장에서 담배거세미나방 방제를 위한 핵다각체병바이러스 살포효과 (Effects of Field Application of Spodoptera litura Nucleopolyhedrovirus to Control S. litura in Chrysanthemum)

  • 김선곤;박종대;김도익;임대준;김규진;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3-157
    • /
    • 2003
  • 담배거세미나방 방제를 위한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병원성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화 유묘에서 병원성 검정은 핵다각체병바이러스 1.0$\times$$10^{6.8}$ PIBs/ml에서 노지의 LT$_{50}$ 은 6.2-5.1일이 소요되어 비닐하우스의 6.9-5.4일 보다 짧았으며, 누적 살충율은 노지에서 10일째에 1.0$\times$$10^{7.8}$ PIBs/ml에서 100%의 살충율을 보였으나 비닐하우스에서는 95%였다. 포장의 살충력은 유기합성농약(endosulfan)이 살포 2일 안에 효과가 나타나는 반면 바이러스에 의한 살충은 4일째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4일까지 지속되었다. 노지포장에서는 SINPV 1.0$\times$$10^{8}$ PIBs/ml의 살충율이 94.0%로 대조약제인 endosulfanfsoppm의 91.4%보다 높았으며, 비닐하우스에서는 1.0$\times$$10^{7}$ PIBs/ml이 92.0%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처리와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지포장과 비닐하우스에서 1.0$\times$$10^{7}$ PIBs/ml 이상의 농도로 처리하면 담배거세미나방을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남부지역 시설채소 재배 농가의 농약 사용실태 (The Usage Status of Pesticides for Vegetables under Greenhouse Cultivation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 이미경;황재문;이서래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1-400
    • /
    • 2005
  •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남부지역에서 시설재배되는 오이, (방울)토마토, 딸기, 가지, 고추, 파프리카, 상추, 들깨(잎), 파 등 9 작물에 대해 관행재배 및 친환경인증재배 농가에서의 농약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총 조사농가수는 202농가이었으며 이 중 관행재배는 124농가, 친환경인증재배는 78농가 이었다. 조사내용으로는 작물명, 재배면적, 재배방법(관행/친환경인증), 농약의 사용목적 및 종류, 농약사용량, 살포횟수, 농약사용방법 등 이었다. 조사된 작물의 평균 농약사용량은 관행재배 농가에서 3.30 kg ai/ha, 친환경인증재배 농가에서 0.47 kg ai/ha로 나타났다. 농약의 평균 살포횟수는 관행재배 농가가 11회, 친환경인증재배 농가가 2회 이었으며, 농약의 살포방법에서는 경엽살포의 비율이 90% 이상이었다. 관행재배농가에서는 작물별로 평균 34종의 농약성분이 사용되고 있었고, 친환경인증재배 농가에서는 10종이 사용되고 있었다. 농약의 사용목적별 유효성분수의 비율은 두 가지 재배방법에서 모두 살균제가 56%, 살충제가 43%를 차지하였다.

유약홀몬에 관한 연구 I. 유사 합성유약홀몬 ″R-20458″에 대한 증사효과 (Effect of Juvenile Hormone Analogs on Silkworm, Bombyx mori L. I. Effect of Juvenile Hormone Analog ″R-20458″on Increase of Silk Productivity by Topical Application)

  • 마영일;이상풍;홍기원;손기욱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25
    • /
    • 1978
  • Research on the hormones of insect has followed by the special opportunities and problems arising from pollution. Since then, the main frame of it has been energetically exploited by ligation, decapitation and so on. In the meanwhile, knowledge of the biochemistry of hormone action as well as other aspects of biochemistry in insects has been gradually disclosed. Since 1966, practical use of active analogs of the hormones has been also worked out as an insecticide and brought the features of it to the light.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o afford the increase of silk productivity resulted from control of the fifth larval period by delaying normal development. With these regards, some of analogs have been tried to apply practically to the silkworm. One of them is "Manta" produced by Zoecon Chemical Company and it is presently used for the increase of silk productivity in Japan. Another one is "R-20458", not registered one, issued by Stuffer Chemical Company. It is still pending for the silkworm growth regulator For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two chemicals are tested on the increase of silk productivity by topical application and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evident that the fifth larval period was extended by topical application of the tested chemicals "Manta"and "R-20458"at the fifth instar after 51 hours of the last ecdysis, ranging from 12 hours to one day, as compared to. the control 2. In survival rates, there is no significance at 5% level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It proved that there was no toxity to silkworm by topical aprication. 3. There is an increase of cocoon yield in both chemical treatments.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to 9% increase in index,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case of R-20458, the increasing rates were varied at the different concentration; 21.4kg of cocoon production with 5% increase at 5ppm, 20.9kg of it with 2% increase at 2.5ppm and 20.6kg of it with 1% increase at 1. 25ppm in index,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4. Percentage of cocoon shell was increased by topical application. In case of "Manta" 2.5ppm, it is 25.6% which is equal to 6% increase in index,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For "R-20458", the increasing rates of percentage of cocoon shell were varied with the different level of chemical concentration. They are 25.0% of 4% increase at 2.5ppm, 24.9% of 3% increase at 1.25ppm and 24.7% of 3% increase at 5ppm. 15% increase was attained at "Manta" 2.5ppm in the weight of cocoon layer based on cocoon yield and percentage of cocoon shell in index,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 rates for "R-20458"are 5% increase at 2.5ppm and 4% increase at 1. 25ppm in index.

  • PDF

Metaflumizone을 포함한 몇 가지 약제의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한 독성검정 (Toxicologica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against Welsh Onion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강은진;강명기;서미자;박선남;김철웅;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5-162
    • /
    • 2008
  • 파를 가해하는 대표적인 해충인 파밤나방은 남부지방에서 피해가 심하며, 파 이외에도 많은 과채류 및 채소류를 가해함으로서 매년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파밤나방은 세계적으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도 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많은 살충제들이 등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곤충에 서로 다른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는 약제인 metaflumizone과 chlorfenapyr, indoxacarb, flufenoxuron, emamectin benzoate 등 4종의 살충제들을 선별하여 실내와 야외 포장에서 파밤나방에 대한 살충력을 살펴보고 이를 평가하였다. 약제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된 파밤나방은 알과 1령에서 6령까지의 유충, 그리고 번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밤나방 알에 대한 시험에서 알에는 직접적인 독성작용을 하지 못하지만, 알에서 깨어난 유충이 알껍데기를 먹음으로 해서 결과적으로는 파밤나방의 개체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알에서 부화한 24시간 후의 1, 2령 유충들은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매우 높았으며, 유충의 영기가 높아질수록 치사율이 감소하였다. 한편, chlorfenapyr와 emamectin benzoate의 경우에는 어린 유충에서 노령의 유충에 이르기까지 고른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었고, fluffnoxuron의 경우에는 어린 유충에는 치사율이 낮았으나, 노령 유충으로 성장하면서 치사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포장에서 살충제를 살포한 포장에서 약제 처리 10일 후 방제가를 조사한 결과 처리한 약제 모두 87.2에서 90.5%로 비교적 높을 방제가를 보이고 있었다.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고농도미량엽면살포-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I ) -Low-volume Foliar Spray of the Insecticides-)

  • 최승윤;송유한;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1-116
    • /
    • 1979
  • Salithioll $(25\%\;Ec)$, Omethoate $(Folimat^{(R)}\;50\%\;Ec)$, Monocrotophos $(Azodrin^{(R)}24\%\;Ec)$, Acephate $(Ortran^{(R)}50\%\;Wp)$, Metalkamate $(Bux^{(R)}24\%\;Ec)$, BPMC $(Bassa\;50\%\;Ec)$, 및 MIPC $(Mipcin^{(R)}\;50\%\;Wp)$를 100배, 200배, 400배액으로 희석하여 5월 9일 5월 24일, 6월 6일, 6월 20일, 7월 17일, 7월 17일에 각각 1회씩 고농도 미량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 방제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효과는 약제의 종류, 농도 및 살포시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Salithion, Omethoate, Monocrotorhos, Metalkamate순으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으나 그 밖에 약제들은 방제효과가 낮거나 없었다. (2) 100배액에서는 방제효과가 높였으나 농도가 낮어 짐에 따라 방제효과가 현저히 낮었다. (3) 방제효과면에서나 잔효력면에서 볼 때 Salithion이 가장 좋았다. Salithion은 5월 9일에서 7월 1일 사이에 1회 엽면살포로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였다. 그 밖에 Omethoate, Monocrotophos, Metalkamate는 Salithion에 비하여 방제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잔효력이 짧었다. (4) 100배액 살포에 있어서는 Omethoate, Salithion의 순으로 피해량적엽이 많었다. (피해량적엽이란 솔잎은 위축되었으나 충영을 형성치 못하고 부화유충에의한 피해양적만 남아 있는 잎을 말함) (5) 충영내 유충의 밀도는 약제의 종류,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Omethoate, Salithion처리에서 충영내 유충밀도가 낮었다. 농도가 낮어짐에 따라 충영당 유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충영내유충의 밀도는 7월 15, 7월 17일 처리에서만 조사 되었는데 처리시기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실외조건(室外條件)의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소실(消失) (Dissipation of Fenitrothion, IBP, and Butachlor in Flooded Soil Under Outdoor Conditions)

  • 문영희;양환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3
    • /
    • 1990
  •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한 실외(室外) 풋트조건(條件)의 담수토양(湛水土壤)에 살충제(殺蟲劑) fenitrothion, 살균제(殺菌劑) IBP, 제초제(除草劑) butachlor 유제(乳劑)를 각각(各各) 100g, 98g, 352.8g ai/10a수준(水準)으로 수면처리(水面處理)하고 답면수(畓面水)(담수액(湛水液)) 및 토양중(土壤中) 3농약(農藥)의 잔류성(殘留性)을 조사하였다. 답면수(畓面水) 중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1시간후에 각각(各各) 3.7, 3.2, 9.1ppm이었다. 그러나 fenitrothion의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5일(日)후에 0.01ppm이하(以下)였고 IBP와 butachlor의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20일(日)후에 각각(各各) 0.025와 0.004ppm이었다. Fenitrothion, butachlor, IBP의 답면수(畓面水)중 반감기(半減期)는 각각(各各) 1일(日)이내, 1.7일(日), 3.6일(日)이었다. 답면수(畓面水)로부터 흡착(吸着)된 토양중(土壤中) fenitrothion, IBP, butachlor 농도(濃度)는 토양(土壤) 0-3cm 층위(層位)에서 처리(處理) 후 3일(日)에 각각(各各) 0.05ppm이하(以下), 0.18ppm, 0.39ppm이었다. 그러나 처리(處理) 27일(日)후에 IBP와 butachlor의 검출(檢出) 농도(濃度)가 0-5cm 층위(層位)에서 각각(各各) 0.04, 0.05ppm으로 동일토양(同一土壤)의 실내조건(室內條件)에서보다 월등히 빨리 분해(分解)되었다. 답면수(畓面水) 및 토양중(土壤中) 소실속도(消失速度)는fenitrothion>butachlor>IBP순이었다. 토양층위별(土壤層位別) butachlor의 잔존량(殘存量)은 2cm 이하(以下)에서보다 0-2cm 층위(層位)에서가 현저(顯著)히 많았는데 비(比)하여, IBP의 토양층위별(土壤層位別) 농도(濃度)는 큰 차이(差異)가 없이 5㎝이하(以下)까지 이동(移動)되었다.

  • PDF

착색단고추 중 침투성농약 플로니카미드 및 대사물질의 생성 및 잔류양상 (Residual Characteristics of a Systemic Insecticide Flonicamid and Its Metabolites in Sweet Pepper)

  • 서은경;김택겸;홍수명;권혜영;권지형;조남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28-235
    • /
    • 2014
  • 착색단고추 중 침투성농약 flonicamid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flonicamid 및 그 대사물질의 잔류농도를 분석하고 경시적인 잔류량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플로니카미드 10% 입상수화제를 추천사용농도 및 그의 2배 농도로 경엽처리하고, 살포 후 1, 7, 15, 30, 50, 70, 87일의 총 7회에 걸쳐 과실, 상엽, 하엽을 구분하여 시료를 채취하여 잔류농도를 분석하였고 살포 후 87일간의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실, 상엽, 하엽 모두에서 모화합물인 flonicamid의 잔류량은 1일차에 최고치를 나타낸 이후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대사물질 TFNG의 잔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5-30일차에 최고 잔류량을 나타내었고 살포 후 87일 이후에도 초기 잔류량 보다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과실 중 총 flonicamid의 잔류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살포 후 87일까지 높은 농도를 유지하는 잔류양상은 착색단고추 잎 중에 높은 농도로 잔류하는 대사물질 TFNG의 이동에 의한 결과로 보여지며, 이러한 잔류량 변화는 기준량 및 2배량 처리구에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Carbofuran이 NIH 3T3섬유모세포와 흰쥐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과 Phenobarbital sodium의 보상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arbofuran and Compensation of Phenobarbital sodium in the NIH 3T3 Fibroblast and Rat Kidney)

  • 한두석;임요섭;한성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1_2호
    • /
    • pp.87-94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xicity of insecticide carbofuran and compensatory effects of phenobarbital sodium (PB) in vivo and in vitro. Sprague Dawley male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and divided into carbofuran only administered group and simultaneous application group of carbofuran and PB. At 30 rain and 1, 3, 6, 12, 24, 48 and 96 hrs after each treatmen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n. Kidney were immediately removed, immersed in fixatives, and processed with routine method for light microscopic study. Paraff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 PAM and PAS. $5.0\times 10^4$ cell/ml of NIH 3T3 fibroblast in each well of 24 multidish were cultured: After 24 hou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solution of six groups; control group cultured in media only, carbofuran $MTT_50$ or $NR_50$ group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carbofuran $MTT_50$ or $NR_50$ and four experimental groups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carbofuran $NR_50$ plus various concentratins of PB. After the NIH 3T3 fibroblast of all groups were cultured in same condition for 48 hours, Tetrazolium MTT (MTT) and NR (neutral red) assay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cell organelles. Under the light microscope, atrophic change of renal corpuscle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1 and 2 days after carbofuran treatment. The increase of the mesangium was apparent in 1 and 2 days after carbofuran treatment. Necrotic changes of the epithelium and loss of brush border of proximal tubules were most severe at 2 and 3 days after carbofuran treatment, respectively. In contrast, there were no evidences of the toxic effects on renal tissues at 48hrs in carbofuran-PB treated groups. Carbofuran $MTT_50$ and $NR_50$ were 78$\mu M$, 82.5$\mu M$ respectively. MTT and NR quant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arbofuran-PB 100$\mu M$ treatment group and carbofuran-PB 100$\mu M$ treatment group.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obvious that PB has compensatory effects against carbofuran toxi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