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rganic P

검색결과 1,432건 처리시간 0.033초

Bacillus subtilis CAP141의 고농도 배양조건 (Cultur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Bacillus subtilis CAP141)

  • 조정일;박흥섭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5-98
    • /
    • 1997
  • Cultur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a, Bacillus subtills CAP141 against pathogens causing major airborne diseases to apple trees, effects of temperature, pH, carbon and nitrogen source in the culture broth were investigated. The bacterial growth was most vigorous when the temperature and pH of the culture broth was 30~35$^{\circ}$C and 7, respectively. As for carbon source, dextrose was best followed in order by dextrose(monosaccharide) > sucrose(disaccharide) $\geq$ saccharose (market disaccharides) > starch (polysaccharieds). Among different sugars, bacterial growth was favored by in the order of brown, black and white supars, indicating that the bacterial growth might be promoted by the minor elements presented as impurities in the less purified sugars. As for nitrogen source, organic forms were better to bacterial growth than inorganic forms, that is polypeptone was best followed in order by soy sauce, soybeen milk and inorganic nitrogens. Differences in bacterial growth among different forms of inorganic nitrogen were negligible.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Organotin (IV)-phenylenebisdithiocarbamate Complexes

  • Lee, Won-Ho;Jung, Ok-Sang;Sohn, Youn-Soo;Kim, Poong-Za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6호
    • /
    • pp.421-425
    • /
    • 1986
  • New di- and triorganotin(IV) complexes of meta- and para-phenylenebisdithiocarbamate(m- and p-pbdtc) have been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means of chemical analysis, mass spectrometry, and IR spectroscopy. The reaction of the m-pbdtc ligand with diorganotin(IV) halides resulted in 1:1 products, $R_2Sn{\cdot}m$-pbdtc (R = Me, Cy, n-Bu) of dimeric nature whereas the p-pbdtc ligand led to an oligomeric or polymeric structure. The pbdtc ligands were also reacted with triorganotin(IV) halides to form monomeric complexes, $(R_3Sn)_2{\cdot}pbdtc.$ The tin coordination chemistry of these complexes were also discussed in terms of Sn-C and Sn-S bonding modes.

고분해능 전자에너지손실 및 자외선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한 NbC(111)면의 산소흡착 연구 (Oxygen Chemisorption of NbC(111) Surface Studied by High-Resolution Electron Energy Loss and Ultraviolet Photoelectron Spectroscopy)

  • 황연;박순자;아이자와 타카시;하야미 와타루;오타니 시게키;이시자와 요시오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79-284
    • /
    • 1992
  • 고분해능 전자에너지손실 및 자외선광전자 분광법을 사용하여 단결정 NbC(111)면의 산소횹착을 연구하였다. NbC(111) 표면에는 산소가 원자 및 분자상태로 흡착되었다. 산소원자는 3-fold hollow site에 흡착되며 진동수는 548c$m^{-1}$이었다. 산소분자의 신축진동수는 968c$m^{-1}$로서 기체상태인 산소분자의 진동수보다 크게 낮았으며, 산소분자의 흡착으로 일함수가 증가하였다. 이는 NbC(111) 기판으로부터 산소분자의 2p${pi}_g$ 궤도로 전자가 이동하였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 PDF

육계용 병아리에서 밀기울의 사출과 인의 결여수준이 영양소의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Extrusion Procedures of Wheat Bran and Dietary Levels of Phosphorus in Nutrients Availability of Broiler Chicks)

  • 김인호;김춘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4-295
    • /
    • 1990
  • Extrusion을 달리한 밀기울과 무기태린의 첨가수준의 주요 영양소의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증체양,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영양소별 소화율, 그리고 tibia의 성분량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증체양은 무기태린의 첨가수준이 0.225%, 0.45%일 경우 Extrusion처리구보다 Non-Extrusion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에 유의성은 찾아 볼 수 없었다. 한편 Extrusion처리에 관계없이 무기태린의 첨가로 증체량이 개선되었으며 인을 첨가한 두처리구(0.225%와 0.45%) 사이에서는 유의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2) 사요섭취양은 무기태린의 첨가구와 무기태린에서 Non-Extrusion처리구보다 Extrusion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찾아볼 수 있었다. 3) 사료효율은 무기태린을 첨가함으로써 개선되었으나, 인을 첨가한 두 처리구(0.225%와 0.45%) 사이에서는 유의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4) 건물 소화율은 무기태린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개선되었으나, Extrusion핵과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인을 첨가한 두 처리구(0.225%와 0.45%) 사이에서 단백질 소화율은 Non-Extrusion 보다 Extrusion처리구가 높았으나, 증체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6) Tibia의 Ca과 P의 함양은 무기태린의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러한 증가양상에서 P의 첨가수준과의 직접적인 관계는 찾아볼 수는 없었다.

  • PDF

쉴드 TBM 뒤채움용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공학적 특성 및 현장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field applicability of inorganic thixotropic-grout for backfilling of shield TBM tail voids)

  • 김대현;정두회;정경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75-85
    • /
    • 2010
  •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쉴드 TBM 테일 보이드 동시주입용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체적변화성 및 투수계수를 측정하였으며, 환경영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 시험 시공에 앞서, 쉴드 TBM 모형주입장치 및 후방주입 공동충전 시험체를 이용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제 서울 전력구 쉴드 TBM 시공현장에 시험시공을 수행하였다. 기중에서 14일 양생시킨 공시체를 이용해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체적 변화성을 평가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체적변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투수계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우수한 차수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어독성 시험과 용탈시험을 통한 환경영향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경우 평균 pH가 8.0으로 측정되었으며, 96시간 경과 후 10%의 폐사율을 보였다. 용탈액에 대한 원자흡광분광 시험 결과 용탈에 의한 유해 중금속 성분은 수질관리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 적용성 실험을 위하여 실내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 충전성은 확보되었으며, 실제 시공현장에 적용한 결과 우수한 주입성을 보였다.

제지슬러지퇴비를 시용한 나지 토양의 무기태인산의 특성변화(I)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Phosphorus Fractions Accrued from the Application of paper Mill Sludge Compost in Naked Soil(I))

  • 임현택;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3호
    • /
    • pp.104-111
    • /
    • 2000
  • 본 연구는 제지슬러지퇴비의 농업적 이용을 위하여 퇴비를 사질양토에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인산의 가용화와 토양중의 무기 인산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온도와 수분에 관한 영향을 찾고자 incubation 실험을 실시하였다. Incubation 실험의 처리내용은 제지슬러지퇴비의 혼합율을 0, 2, 8및 16%의 비율로 혼합하였고, 수분조건은10과 15%로 하였으며, 온도는 4와 $30^{\circ}C$로 하였다. Incubation 실험에서 제지슬러지퇴비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pH값은 상승하였으며, 처리조건중 온도조건에서는 뚜렷한 경향이 없었고, 수분의 조건에서 pH변화는 없었다. Incubation 실험에서 무기인산의 분획물중 Saloid-P와 Fe-P는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처리량이 많았던 8과 16% 처리구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미량 존재 하였다. 시간에 따른 변화량은 낮게 나타났다. Al-P에서는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Ca-P의 함량은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신부전증의 개에서 혈중 칼슘/무기인과 부갑상샘 호르몬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alcium/Inorganic Phosphorus and Parathyroid Hormone Concentrations in Dogs with Renal Failure)

  • 강동준;이수한;박희명;정병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6-240
    • /
    • 2008
  • 부갑상샘 호르몬 (PTH)은 칼슘과 무기인의 수송을 조절한다. 속발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은 대개 만성신부전에서 발생하고, 이는 개와 고양이에 있어서 CRF의 일반적인 합병증이다. 신부전을 갖는 21마리의 개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공시동물로부터 채혈한 혈액 중 칼슘 (Ca),무기인 (iP), PTH의 농도를 측정하여 칼슘과 무기인의 비율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Ca / iP $\leq$ I; 그룹 1, Ca/ip $\geq$ 1.5; 그룹 II). 성과 연령 사이에 부갑상샘 호르몬 수준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두 군 사이에 부갑상샘 호르몬 수준과 Ca/P의 비율에는 유의성 (p<0.0001)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칼슘과 무기인의 비율은 신부전을 갖는 개에서 부갑상샘 호르몬 수준을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long-chain inorganic polyphosphate treated with wheat phytase on interleukin 8 signaling in HT-29 cells

  • An, Jeongmin;Cho, Jaiesoo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6호
    • /
    • pp.892-901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 of wheat phytase on long-chain inorganic polyphosphate (polyP)-mediated interleukin 8 (IL-8) signaling in an intestinal epithelial cell line, HT-29 cells. Methods: Cell viability and the release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IL-8 in HT-29 cells exposed to polyP1150 (average of 1,150 phosphate residues) treated with or without wheat phytase were measured by the EZ-CYTOX kit and the IL-8 ELISA kit, respectively. Also, the activation of cellular inflammatory factors NF-κB and MAPK (p38 and ERK 1/2) in HT-29 cells was investigated using ELISA kits. Results: PolyP1150 negatively affected the viability of HT-29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100 mM polyP1150 dephosphorylated by wheat phytase increased cell viability by 1.4-fold over that of the intact substrate. Moreover, the 24 h exposure of cells to enzyme-treated 50 mM polyP1150 reduced the secretion of IL-8 and the activation of NF-κB by 9% and 1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intact substrate. PolyP1150 (25 and 50 mM) dephosphorylated by the enzyme induced the activation of p38 MAPK via phosphorylation to 2.3 and 1.4-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intact substrate, even though it had littl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ERK 1/2 via phosphorylation. Conclusion: Wheat phytase could attenuate polyP1150-induced IL-8 release in HT-29 cells through NF-κB, independent of MAP kinases p38 and ERK. Thus, wheat phytase may alleviate inflammatory responses including hypercytokinemia caused by bacterial polyP infection in animals. Therefore, wheat phytase has the potential as an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supplement in animal husbandry.

Root Barrier and Fertilizer Effects on Soil CO2 Efflux and Cotton Yield in a Pecan-Cotton Alley Cropping System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 Lee, Kye-Han;An, Kiwa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2호
    • /
    • pp.177-182
    • /
    • 2006
  •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soil $CO_2$ efflux and crop yield under agroforestry systems. Soil $CO_2$ efflux, microbial biomass C, live fine root biomass, and cotton yield were measured under a pecan (Carya illinoinensis K. Koch)-cotton (Gossypium hirsutum L.) alley cropping system in southern USA. A belowground polyethylene root barrier was used to isolate tree roots from cotton which is to provide barrier and non-barrier treatments. The barrier and non-barrier treatment was randomly divided into three plots for conventional in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and the other three plots for organic poultry litter application. The rate of soil $CO_2$ efflux and the soil microbial biomass C were affected significantly (P < 0.05) by the fertilizer treatment while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barrier treatment was occurred. Cotton lint yield was significantly (P < 0.0 I) affected by the root barrier treatment while no effect was occurred by the fertilizer treatment with the yields being greatest ($521.2kg\;ha^{-1}$) in the root barrier ${\times}$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and lowest ($159.8kg\;ha^{-1}$) in the non-barrier ${\times}$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eparation of tree-crop root systems with the application of inorganic fertilizer influence the soil moisture and soil N availability, which in tum will affect the magnitude of crop yield.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제작한 Gallium-doped ZnO 박막에 있어서 잔류 H2O 분압의 영향 (The Effect of Residual H2Pressure on Gallium-doped ZnO Films Deposited by Magnetron Sputtering)

  • 송풍근;권용준;차재민;이병철;류봉기;김광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928-934
    • /
    • 2002
  • Ga을 치환 고용시킨 ZnO(GZO) 박막을 GZO 세라믹 타켓을 사용하여 직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에 의해 기판온도(RT, 400${\circ}C$), 잔류 $H_2O$ 분압(PH2O; 1.61${\times}10^{-4}∼2.2{\times}10^{-3}$ Pa), $H_2$ 가스 첨가(8.5%), 캐소드의 자장강도(250, 1000G)등의 다양한 조건하에서 제작했다. 기판 가열 없이 100% Ar를 사용한 경우, $P_{H_2O}$가 1.61${\times}10^{-4}$ Pa에서 2.2${\times}10^{-3}$ Pa로 증가 했을 때, 박막의 결정립 크기는 24 nm에서 3 nm로 감소했으며, 비저항은 3.0${\times}10^{-3}$에서 3.1${\times}10^{-2}{\Omega}㎝$ 로 크게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8.5% $H_2$를 Ar 가스에 혼합하여 제막한 결과, GZO 박막의 전기적 특성은 $P_{H_2O}$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변화 없이 나타났다. 또한 캐소드의 자장강도를 250G에서 1000G로 증가시킨 경우, GZO 박막의 결정성 및 전기적 특성은 $P_{H_2O}$와 상관없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것은 플라즈마 임피던스의 감소에 따른 박막 손상의 감소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