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ve start-up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7초

An Exploratory Study on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 Jo, Dong Hyuk;Kim, Jong Young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3-12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network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n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with the aim of determining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by defining the succes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s the innovative performance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as a survival strategy of technology-based start-ups, verified the dimensions, relationship and role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network capabil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thereby proving the theoretical expansion. This study has determined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thereby suggested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혁신형 창업기업의 입지 만족도가 기업 이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과 비수도권 기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Location Satisfaction of Innovative Start-ups on the Intention of Relocation: Focusing on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 최종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6호
    • /
    • pp.57-68
    • /
    • 2021
  • 본 연구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혁신형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입지 만족도가 기업 이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 7년 미만 창업기업 231개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업의 경영 측면, 협력 및 네트워크 요인 획득 측면, 창업 환경 측면으로 만족도를 구분하여 기업 이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수도권에 있는 혁신형 창업기업의 경우 소비자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입지 만족도와 우수 인력 획득 용이와 관련된 입지의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기업 이전 의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수도권에 있는 혁신형 창업기업의 경우 벤처캐피털 등 민간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관련된 입지 만족도와 편리한 교통, 자유롭고 창의적인 창업 환경 분위기와 관련된 입지의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기업 이전 의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 창업기업의 매출액 증가할수록 이전 의도가 줄어드는 반면 업력이 증가할수록 기업 이전 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혁신형 창업기업의 입지 만족도와 기업의 이전 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차이를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기여가 있다. 또한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집적을 위해 정부가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제시하였다는 데 정책적 함의가 있다.

중국 안휘성 소속 대학교 창업교육의 창업 실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tartup Practi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Anhui Province, China)

  • 왕금령;푸팅;양만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2호
    • /
    • pp.91-101
    • /
    • 2021
  • 중국 경제의 신속한 발전에 따라 수많은 창업 즉 대중 혁신은 더 이상 구호가 아니라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 혁신 발전을 강화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대학생 창업은 사회의 끊임없는 발전을 추진하고 사회에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며 대학생들의 경험을 다양하게 하는 동시에 대학생이 경험을 쌓도록 도와 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에는 경제, 교육 발전의 불균형 등 문제가 존재하여 대학생 창업의 적극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대학생 혁신 창업의 영향 요소를 분석하고 해결 조치를 제시함으로써 중국 대학생 혁신 창업의 발전을 추진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Promotion of Technology-based Start-ups: TIPS Policy of Korea

  • Han, Jung-wha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8권3호
    • /
    • pp.396-416
    • /
    • 2019
  • The key conditions for the promotion of innovative technology-based start-ups are expanding the market for innovative technology products and services, increasing equity-based funding opportunities, promoting the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stablishing a fair-trade system for start-ups to compete fairly in the market. Besides, there is a need for a support system that minimizes the cost of failure in case of business failure to facilitate re-challenge and provides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to enhance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To activate technology-based start-ups,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TIPS policy in 2013. It is a program that creates technology start-up with private investment led by successful venture entrepreneurs, which has shown remarkable achievement and is regarded as the most successful policy in this field up to now. The most critical factor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is program is to invite private investors to select a technology entrepreneurship team and provide mentoring with the investment. The government provides R&D funding with matching investment, commercialization and marketing support to ensure that technology start-ups survive crossing the death-valley. Subsequent investments from domestic and abroad investors are actively made and it is becoming a representative technology-based start-up program in Korea.

Start-Up Visa: Rethinking Entrepreneurship and Human Capital in Immigration Policy

  • Istad, Felicia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1호
    • /
    • pp.30-49
    • /
    • 2022
  • As industrialized countries transition into knowledge economies, there is a rising demand for talent and innovation. Support for start-ups through incubation, acceleration, and venture capital has turned into a key area of investment, with public and private actors searching for the next unicorn. This article examines start-up visas as an emerging policy tool in the global competition for highly innovative entrepreneurs. The study builds on a sample of eight national start-up immigration programs and applies human-capital citizenship (Ellermann, 2020) as a guiding framework. The article first proposes a conceptualization of start-up visas, suggesting that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also be considered in the theorization of skills. Second, the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start-up visas for international mobility. By focusing on the logic of entry requirements and subsequent benefits accrued through the status as a start-up foun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role of start-up visas in expanding privileged pathways to cross-border mobility.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for policy and research concerned with the international mobility of start-ups

The Role of Ecosystems for Start-up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Finland

  • Deschryvere, Matthias;Kim, Younghwan
    • STI Policy Review
    • /
    • 제7권2호
    • /
    • pp.35-59
    • /
    • 2016
  • The strategic importance of innovation ecosystems has received increased attention from both the academic and policy perspectives. However, there is only limited empirical evidence on the importance of these eco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er firms.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ecosystems for young innovative companies (YICs) and is based on a unique set of phone survey data from Finland and South Korea. The results are threefold: (1) Finnish YICs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ecosystems than Korean YICs; (2) on average, Korean YICs report to have experienced lower ecosystem impact compared to Finnish YICs; (3) in both countries, key organizations of the ecosystems are represented on the board of directors in about one-third of the sample firms.

전자상거래 무역창업 투자를 위한 크라우드펀딩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rowdfunding for e-Commerce Trade Start-ups Investment)

  • 박종현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2호
    • /
    • pp.3-26
    • /
    • 2016
  •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은 인터넷 기반 플랫폼을 이용하여 개인 및 기업이 필요한 자금을 다수의 대중으로부터 모으는 행위로 SNS 확산과 더불어 성장하고 있다. 크라우드펀딩의 기능은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 및 창업기업들에게 혁신적인 자금조달 수단이다. 국내 크라우드펀딩은 도입초기단계로 문화, 예술 분야에 집중되어 있고, 공익적인 성격을 가진 프로젝트가 많다. 그러나 국내 크라우드펀딩의 높아진 관심에도 불구하고, 전자상거래 무역창업에 크라우드펀딩의 투자사례는 드물며, 창업금융의 역할에도 미비하여 많은 문제점이 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상거래 무역창업에 크라우드펀딩을 성공적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크라우드펀딩 시장현황과 각국의 법률 및 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자상거래 무역창업 투자 관점에서 국내 크라우드펀딩 관련 법률 및 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지상파방송사와 콘텐츠 스타트업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연구: 'KBS LABS'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rategic Alliances between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Content Start-ups with a Focus on KBS LABS)

  • 박희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44-657
    • /
    • 2019
  • 본 연구는 공영방송 KBS와 콘텐츠 스타트업간의 전략적 제휴 사업인 'KBS LABS'사업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지상파 방송사와 콘텐츠 스타트업간의 전략적 제휴에서의 자원 상호의존 양태와 제휴 형태, 전략적 제휴관계의 동태적 진화과정을 고찰했다. 거대 미디어 기업 간의 인수합병이나 전략적 제휴, 방송과 통신 등 이종사업자 간에만 이루어졌던 전략적 제휴는 이제 전통적 미디어와 스타트업 간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 미디어와 스타트업 간의 제휴는 전통적 미디어의 입장에서는 스타트업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사업모델을 제휴를 통해 바로 적용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며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전통적 미디어가 생산하고 있는 콘텐츠와 방대한 콘텐츠 아카이브를 활용하고 자본이나 사무공간, 평판자원 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지상파 방송사와 콘텐츠 스타트업간의 전략적 제휴인 'KBS LABS' 사례를 분석해 보는 것은 전통적 미디어와 스타트업간의 제휴의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자원기반관점과 기업진화론을 차용해 'KBS랩' 사업의 특성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청년창업가역량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성공과 창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Youth Entrepreneurial Competency on the Success and Satisfaction of Start-ups through Entrepreneurial Self-Efficiency)

  • 최수형;강희경;이대식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245-259
    • /
    • 2020
  • 기술의 발전과 비대면 사회의 도래는 일자리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현상에 맞추어 정부와 교육훈련기관들은 창업지원정책을 통해 일자리 문제에 대처하면서 동시에 혁신적인 기업의 탄생을 유도하고 있다. 특히 청년창업지원은 시장실패를 보완하는 효과 뿐 아니라 고성장 창업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배경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창업가역량과 창업자기효능감, 그리고 창업성공과 창업만족의 영향관계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청년창업가의 창업가역량의 주요요소와 창업성과와의 관련성을 검토한 후,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청년창업가역량은 기업가역량, 기술역량, 관리역량, 창의역량의 4가지로 구분하였고 각 역량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국내 2-30대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년창업가의 창업가역량은 창업성공과 창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가역량별로 차이가 있는데, 기술역량과 관리역량은 모두 완전매개로 창업자기효능감을 거쳐서 창업성공과 창업만족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업가역량은 창업성공에 대하여는 완전매개, 창업만족에 대하여는 부분매개를 나타내었다. 창의역량의 경우 창업성공에 대하여는 직접효과만 존재하였고 창업만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부가설 8개 중 7개는 지지되었고 1개는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지역산업군집의 혁신환경 : 대전 생물벤처산업과 부천 조립금속산업을 대상으로 (Innovative Environment of Regional Industrial Clusters : Comparison of Daejon's Bio and Buchon's Mature Industries)

  • 남기범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6
    • /
    • 2005
  • 클러스터에 대한 기존 논의는 성숙산업지역과 첨단산업지역의 차이를 크게 부각시켰으며 성숙산업지역은 혁신과 기업가정신이 미약하고 경쟁력이 약하여 혁신지역으로 변모하기 어렵다는 평가를 한다. 하지만 지역의 사회적 자본, 국지적 네트워크형성, 신뢰의 형성 등의 클러스터형성의 주요 요소는 산업형성의 기간이 오래된 성숙지역에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성숙산업지역인 부천의 조립금속산업과 전형적인 혁신지구인 대전의 생물벤처산업의 혁신여건과 혁신출동의 여건분석을 통해, 두 지역의 혁신환경을 비교하고 클러스터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지역내, 지역간 연계방안, 기업지원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