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on City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초

혁신도시의 에너지수요절감 및 신재생에너지도입계획 분석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Plan to save the Demand for Energy and introduce the Renewable Energy System in Innovation City)

  • 김지연;홍성희;박효순;서승직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74-479
    • /
    • 2007
  • The innovation city, which meets the best innovation condition to cooperate with the public institution and the industry-university-researcher closely and the good environment of housing, education, health and culture, was promoted to make the local city characteristic and independent. The plan to make the locally independent base have to consider the economical conditi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irst of all The balanced city-planning is demanded to build friendly environmental and sustainable city. energy-efficient buildings shuld be designed to deal with the energy and environment problem. So we analyze the energy demand plan and the method to introduce the renewable energy system. As a result, the reduction ratio of the energy demand are greatly imbalanced between innovation cities. and only the Gwang-ju Jeon-nam innovation city is planed to apply the renewable energy to 5% of total energy demand.

  • PDF

혁신도시와 지역 및 국가의 경쟁력 (Innovation City and Competitiveness of Region and Nation)

  • 이보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8
    • /
    • 2011
  • 본 글은 혁신도시를 세계화의 맥락에서 변화하는 도시 개념과 더불어 검토하고 혁신도시의 성격을 지역 및 국가의 경쟁력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수도권의 집중을 완화시키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혁신도시의 건설의 당위성은 인정된다. 하지만 혁신도시에서 진정한 혁신이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함을 지적하고 더구나 이를 통한 국가 및 지역 경쟁력 제고는 직접적인 해답이 아니며 오히려 원래 목적에 맞게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라는 정책에 초점을 맞추기를 제안하고 있다. 주된 논리는 세방화 시대에 국가적 스케일을 담당하는 공공기관의 장소성은 의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입지, 인구 등의 물리적 이전을 통한 양적인 변화가 세계화의 네트워크에 편입하여 지방의 혁신을 가져오는 질적인 변화로의 전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오히려 혁신은 기존의 지역 혁신관련 정책을 보다 지역의 특성과 현실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나으며 지역 및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동시에 추진되어야 할 것은 중앙정부의 권력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지방분권이며 그로 인해 지방이 자생력을 갖추게 하고 그에 더하여 세계적 파이프라인과 접속될 수 있게 하는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이다.

  • PDF

혁신도시 거주 어머니의 육아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도: J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on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Focusing on J Innovation City)

  • 정계숙;류수민;박지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1-13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mothers living in J innovation city with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223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needs on all items of economic, social and physical child-rearing environment were higher than their satisfaction on the items. Second, according to the reasons why parents are moving to J innovation c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mong subcategories of the economic and physical child-rearing environment. Third,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they previously lived i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ir child-rearing environment, such as the conditions of house loc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mong subcategories of the economic and physical child-rearing environment. The limits and implications for the administrational support for building a hopeful child-rearing environment in an innovation city were discussed.

혁신도시 신재생에너지 도입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plan of the renewable energy in innovation city)

  • 김정욱;김호찬;부창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254-2260
    • /
    • 2011
  • 본 논문은 혁신도시에 신재생에너지 도입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최상의 혁신도시 계획은 경제성, 삶의 질, 지속가능한 개발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균형잡힌 도시를 위해서는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설계하여야 하고, 효율적인 빌딩을 위해서는 에너지 효율과 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다양한 건축물에 대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분석하고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각 혁신도시에 대하여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계획을 제시하였고 분석하였다.

Japanese Experiences of Smart City Policies: User-Driven Innovation in Smart Community Projects

  • Yamashita, Jun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7권2호
    • /
    • pp.113-124
    • /
    • 2018
  • Since the term smart city was coined, theories and practices of smart cities have flourished. Regarding the theoretical aspect, user-driven innovation has been discussed in studies on the innovation ecosystems of smart cities. Smart cities have been built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recent years, including in Japan, which has experienced the same global trends in smart cities since 2010. Four smart community projects run by the Agency for Natural Resources and Energy between 2010 and 2014 followed such trends. The present study addressed user-driven innovation using the quadruple helix model a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four smart community projects, and the outcomes of the projects were evaluated. In conclusion, the smart community projects were evaluated as successful.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se projects were not completely conducive to user-driven innovation.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의 인구이동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in Gangwon Innovation City and Wonju Company Town)

  • 홍길종;배선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0-31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목적, 장소, 시기, 규모가 유사하지만, 공공기관 이전과 민간기관 유치라는 서로 다른 접근방법으로 조성된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의 인구 특성인 인구변화, 인구구조, 인구이동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인구이동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는 원주시 인구증가와 원주시 내부의 인구이동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인구구조와 인구지표에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기업도시의 인구특성을 크게 변화시켰다. 원주시 내부 이동을 제외하면, 혁신도시와 기업도시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서 이주한 세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해당 지역의 공동주택 건설은 원주시 내부 이동을 활성화시켰다. 강원혁신도시와 원주기업도시로 전입한 사유는 주택, 직업, 가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cdot$복도시$\cdot$혁신도시$\cdot$기업도시 건설 국가균형발전의 3대 전략사업 전망은 어떤가?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novation city, Enterprise city How to prospect the three leading strategic construction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 정무용
    • 기술사
    • /
    • 제39권1호
    • /
    • pp.58-63
    • /
    • 2006
  • How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will be propelled? We study for the vision of a construction of the three leading strategic business;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novation city, Enterprise city.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f our counr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falling behind area and solves the inefficiency of over crowding from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Metropolitan area.

  • PDF

Establishing the Innovation Platform for the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ech-Valley Project in Sejong city, Korea

  • Lee, Seo-Jeong;Lee, Eung-Hyun;Oh, Deog-Seong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6권1호
    • /
    • pp.5.1-5.12
    • /
    • 2017
  • The Republic of Korea developed a national project to construct a new administrative capital, Sejong city and to relocat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 for improvement of overpopulated capital, Seoul an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By the way, to relocate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as not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ity. An industri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has been tried to attract universities, enterpris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region as a demand for internal growth power of the city was increased. In addtion, a basis for regional endogenous growth through projects to establish innovation system based on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was prepared as well. This paper reviews the major contents of the development plans for Tech-Valley project and looks into major introductory functions, characterization plans, strategies for fostering strategic industry, cooperation system of the inside and outside the region, and a strategy for building innovation platform. This case can be regarded as a significance of constructing technology infrastructure for the sustainable growth by preparing foundation for establishing innovation system and a cluster based on this system in the process of building and developing new city which did not have any industrial platform in the region.

혁신도시와 연계한 지역산업 육성전략 : 경북 혁신도시를 사례로 (Promotion Strategies for Regional Industries in Relation to a New Innovation City in Korea : A Case Study on the Gyeongbuk Innovation City)

  • 윤칠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37-553
    • /
    • 2009
  • 혁신도시 건설이 자립형 지방화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방향성에서 지역전략산업 중심의 연계방안 마련이 핵심적 과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북 혁신도시를 사례로 혁신도시와 연계한 경북의 지역전략산업 중심의 산학연계 구축방안 모색을 통하여 지역산업 육성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전공공기관과 지역산업간 연계분석과 지역전략산업 중심의 혁신도시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계방안에서는 경북의 전략 및 선도산업인 전자정보기기, 신소재부품, 생물한방 문화관광, 친환경에너지 등의 산업별 특성에 기반한 클러스터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IT BT산업과 같이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산업분야의 경우 구미 혁신클러스터 추진단 및 경북지역 주요 혁신지원기관과 연계한 관련 주체간 지리적 인접을 통한 상호 연계협력이 필요하며, 자동차부품 기계 철강산업과 같은 성숙 기술분야는 기존 클러스터의 육성을 위한 교통 물류지원 등 인프라 강화가 핵심과제이다. 경제권의 광역화와 광역클러스터화에 따른 광역경제권 단위의 산업클러스터 육성도 새로운 과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