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er Self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3초

1930-1990년대 영화 의상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I) -남성성(Masculinity), 여성성(Feminity)를 중심으로- (A Study on Gender Identity shown in Movie Costumes from 1930′s to 1990′s -Focused on Masculinity and Feminity-)

  • 정세희;양숙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3-78
    • /
    • 2002
  • The movie costumes may serve to change individuals'ego identity, shift a gender identity to another one and make multiple and plural gender identities shared. The unique identities shown in movies can influence the audience to the extent that they will imitate characters's costumes or appearance in their real life, replacing their inner, unrealizable and private fantasy with real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ovies produced in 1930's and thereafter by categorizing the socio-cultural gender concepts into masculinity and feminity. Masculinity and Feminity are not attributions fixed by some physical characteristics, but it tends to be changed or expended by some social factors over time. In short, it may be a flexible, plural, individual and self-introspecive attribute. Movies present diverse types of masculinity and feminity, and in particular, the movie costumes specify them. In other words, the costumes may be model means expressing the masculinity and feminity, and the gender identities shown in the movies tend to be imitated, re-created or assumed by the audience. All in all, the movie costumes serve to take on the confrontation of masculinity and feminity between inner, unrealizable and private fantasy and external reality and thereby, expand it from internal to external issue and thus, change or reform masculinity and feminity.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수행형태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동료지지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in dental hygienists: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 support)

  • 김지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51-75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in dental hygienists ba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 support.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by Likert 5 point scale was completed by 219 dental hygienists in Ulsan and Gyeongbuk from March 15 to April 9, 2016. The study instruments consisted of emotional labor, job burnout og Maslach Burnout Inventory, and employee support.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Surface act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chievement and negative influence on impersonal chemistry. Inner act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al burnout and achievement. Employee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Conclusions: The strategy of emotional labor management for dental hygienists is very important for job burnout solution.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motive to select dental hygiene as major and their work valu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신선행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53-86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n motive to select dental hygiene as their major, and their work valu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44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uth Korea from November 1 to 30, 2016. To analyze the data, the study used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mong others. Results: There wer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2.9), major selection motive (3.1), and their work value (3.8) in subject. The higher student's grade is, the better prepared he or she for employment (p<0.001). Inner work value (p<0.01) and outer work value (p<0.05) were higher among females than male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sonal, social motive to select dental hygiene as their major, and their inner work value. Conclusions: Positive motivation to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leads to major motive to select major, and their work valu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udy of diversified manners that can be fulfilled for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자기역량지각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perceived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ysfuntional Anger Ex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윤명희;김순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541-551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자기역량지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있는 중학교 1학년 413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자기역량지각, 분노표현양식을 측정하였고 SPSS 20.0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자기역량지각의 하위요인 모두와 부적상관을 보이고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 사이에서 역량지각의 하위요인인 신체외모와 품행역량 그리고 사회적 수용도와 운동역량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내면의 취약한 자기로 인해 자기애성향을 보일 수 있는 중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순기능의 분노표현으로 적응적인 생활을 위하는데 건강한 자기애 발현을 어떻게 도울 것인지에 대한 그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Effect of Inhibitor of Glycogen Synthase Kinase 3 on Self-Renewal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 Lee Eunyoung;Rho Jeung-yon;Yu Kwon;Paik Sang-Gi;Lee Kyung-Kwang;Han Yong-Mah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2호
    • /
    • pp.93-99
    • /
    • 2005
  •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derived from the inner cell mass of blastocysts have the ability to renew themselves and to differentiate into cell types of all lineag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the Wnt signaling pathway is related to maintaining self-renewal of hESCs. Glycogen Synthase Kinase 3 (GSK-3) inhibitor, BIO ((2'Z,3'E)-6-Bromoindirubin-3'-oxime) was treated to Miz-hES1 line for activation of Wnt signaling pathway. BIO-nontreated hESCs (control) and BID-treated hESCs were cultured for 5 days in the modified feeder-free system. During the culture of hESC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lony morphology between 2 groups. Controls were spread outwards whereas BIO-nontreated hESCs were clumped in the center and the differentiated cells were spreading outwards in the edges. The results of stem cell specific marker staining indicated that control were differentiated in large part whereas BIO-treated hESCs maintain self-renewal in the center of the colony. The results of lineage marker staining suggested that outer cells of the hESC colony were differentiated to the neuronal progenitor cells in both control and BIO-treated hES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nt signaling is related to self-renewal in hESCs. In addition, control group showed higher composition of apoptotic cells $(23.76\%)$ than the BID-treated group $(5.59\%)$.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IO is effective on antapoptosis of hESCs.

남자고등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s of internalized Shame on Social Anxiety of male high school student: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 양선경;송원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77-28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내면화된 수치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으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를 매개로 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을, 대안모형으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만을 통해서만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을 설정하여 두 모형을 비교하였다. 충청남도 지역의 고등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사회불안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설문을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면화된 수치심의 부적절감은 사회불안과 상관이 높았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Effects of a Fores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Juveniles Under Protective Detention

  • Kim, In-Ok;Shin, Won-Sop;Jeon, Jin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5-49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Juvenile crimes tend to intensify and become habitual in South Korea and juvenile delinquencies must be corrected during adolescen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fores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juveniles under protective detention. Methods: We designed the forest therapy program titled "A Dreamy Child, One More Forest!" for one night and two days and a total of 122 juveniles under protective detentio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lf-esteem scale (SES) and resilience scale for adolescents (RSA) were us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Result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male (96.7%), and the number of those aged 17 years was highest (35, 28.7%). The number of those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 was 69 (56.0%) and that of those who dropped out was 39 (31.9%). Their self-esteem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102 before participation to 3.636 (p < .001) after participation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Resilience also increased remarkably from 2.950 before participation to 3.829 (p < .001) after participation, showing positive changes after participation in both cas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e forest therapy program could enhance the self-esteem of juveniles under protective detention, provide them with an opportunity for developing their inner positive power and reinforcomg resilience, helping them return to society in a healthy state.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how the effects over the program period will differ from one another and how long the positive effects will last.

배우자 사별 중년여성의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경험에서 나타나는 변화에 대한 질적 단일 사례연구 (A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on Change in Interactive Bibliotherapy Experience with A Middle-aged Widowed Spouse)

  • 박정애;이명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99-324
    • /
    • 2015
  • 이 연구는 질적 단일 사례연구로, 배우자 사별 경험이 있는 중년여성이 상호작용적 독서치료를 경험하면서 나타나는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배우자 사별 외상 경험이 있는 40대 후반의 중년여성 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진행 중에는 회기 별로 참여자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회기가 종결된 이후에는 참여자의 내적인 그리고 외적인 경험으로 구분하여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적 독서치료는 참여자의 자작시를 포함한 읽기 자료와 쓰기 기법이 참여자의 반응을 촉진하고 표출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매체를 통하여 촉진된 감정과 자각된 인식은 상담자와의 치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현실에서의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생활에서 내적, 외적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회기 종결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여기에서 연구 참여자에게서 나타난 내적/외적 변화는 독서치료의 효과를 의미하고, 이는 텍스트와 더불어 상담자의 진실한 반응을 통하여 촉진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Therapy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 유선숙;배성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63-1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통합예술치료가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는 것이며, 효과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연구로는 비모수 통계를 사용하여 자아존중감(Self-esteem)의 차이 검증을 하였다. 질적연구로는 동적가족화, 문장완성검사, 프로그램 보고서, 피드백 일지, 연구자와 보조치료사의 관찰일지를 이용하여 내면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내 I시에 소재한 I초등학생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예술치료는 자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구체적 인식을 증진시켜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또래관계와 대인 관계 개선을 위해 통합예술치료를 향후 학교나 기관에서 실시한다면 사회적 비용절감과 거리감을 좁혀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디지털 자화상 창작 (A Study on the Creation of Digital Self-portrait with Intertextuality)

  • 임수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427-43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관람자에게 자아 인식의 문제에 천착하게 하는 몰입의 경험을 제공하는 자화상을 창작하는 것이다. 우리는 관람자로부터 획득한 음성과 이미지 정보를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자화상을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관람자의 음성 정보는 텍스트로 변환되어 시각화되는데, 텍스트 시각화를 위한 픽셀 정보로 관람자의 얼굴 이미지가 활용된다. 텍스트는 개인의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감성, 상상, 의도 등이 다양하게 혼합되어 있는 결과물이다. 사람들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특정 텍스트에 대한 상이한 해석력을 발휘한다. 제안한 디지털 자화상은 텍스트가 가진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내적인 면에서 관람자의 자의식을 재현할 뿐 아니라 텍스트에 내재된 의미들을 확장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상호텍스트성은 텍스트와 텍스트, 주체와 주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모든 지식의 총체를 가리킨다. 따라서 텍스트로 표현된 자화상은 관객과 텍스트, 관객과 관객,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에서 다양한 관계를 파생시키며 확장해간다. 또한 본 연구는 제안한 자화상이 외적인 면에서도 텍스트가 가진 조형성을 확인하고 시공간성을 재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동적 자화상은 실시간으로 관람자들의 관심사를 반영하고 갱신되며 창작되는 특성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