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ory Neuron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흰쥐의 적출 정관 수축성에 대한 ${\gamma}$-Aminobutyric Acid의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s of ${\gamma}$-Aminobutyric Acid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Vas Deferens)

  • 안기영;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82-395
    • /
    • 1992
  • GABA는 중추신경계의 대표적인 신경전달 물질로서 $GABA_A$수용체 또는 $GABA_B$수용체에 작용하여 진정 작용, 항 불안 작용, 및 근이완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말초조직에도 GABA가 존재하며 신경조정인자 혹은 신경전달인자로서 작용한다는 보고가 있다. 정관에 대한 자율신경 지배는 아드레날린성, 콜린성과 비콜린성 비아드레날린성 신경섬유들이 분포하고 있으나, 종 혹은 부위에 따라 이들 구성요소들의 수축성에 대한기여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흰쥐의 전립선 부위 정관의 기본장력 및 전기장 유발 수축에 대한 교감 신경성, 부교감 신경성 및 퓨린성 효현제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정관의 흥분성 약물 및 전기장 유발 수축에 미치는 GABA 및 GABA 관련 약물의 영향을 관찰함으로서 정관의 수축운동에 대한 GABA의 작용기전을 규명해 보고자 흰쥐(Sprague-Dawley)의 전립선 부위 정관 절편을 적출 근편 실조에 현수하고,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ABA, muscimol 및 baclofen은 전기장자극(0.2 Hz, 1 msec, 80 V) 유발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효력은 GABA, baclofen 그리고 muscimol 순이었다. 2. GABA의 억제작용은 $GABA_B$ 수용체 길항제인 DAVA에 의하여 길항되었으나, $GABA_A$ 수용체 길항제인 bicuculline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3. Baclofen의 억제작용은 DAVA에 의하여 길항되었으나 muscimol의 억제작용은 bicuculline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4. Norepinephrine과 ATP는 농도 의존적으로 정관의 수축력을 증가 시켰으나 acetylcholine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5. GABA, baclofen 및 muscimol은 정관의 기본 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GABA는 norepinephrine과 ATP 유발 수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6. 적출 정관을 20초간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ATP 수용체 탈감작제인 mATP를 전처치한 경우에는 FPC가 감소되었고, 신경원에서 catecholamine을 고갈시키는 reserpine을 전처치한 경우에는 STC가 감소되었다. 7. GABA는 mATP를 전처치한 군에서는 정관의 전기장 유발 수축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reserpine을 전처치한 군에서는 전기장 유발 수축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흰쥐정관의 전립선 부위에는 아드레날린성 신경전달기전과 퓨린성 신경전달기전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으며, GABA는 주로 신경원의 $GABA_B$ 수용체를 통하여 ATP의 유리를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High Glucose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against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 김종민;박선경;궈텐쟈오;강진용;하정수;이두상;권오준;이욱;허호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938-947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 고유 식용 자원인 황칠나무의 잎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및 고혈당으로 인한 신경/뇌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함량,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활성이 가장 높은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극성 정도에 따라 분획을 하였다. 이들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이 총 항산화력(FRAP assay)과 지질과산화물(MDA) 생성 억제 활성이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를 이용하여 신경세포로서의 PC12 세포와 인간 뇌조직 유래 뇌신경세포로서의 MC-IXC 세포에서 $H_2O_2$와 고혈당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고, ethyl acetate 분획물은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효과적인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뇌신경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ACh)의 분해를 유발하는 효소(ACh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고, ethyl acetate 분획물은 유의적인 AChE 저해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황칠나무 잎 ethyl acetate 분획물의 생리활성 물질을 확인하고자 HPLC 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rutin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할 때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의 역할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뇌신경세포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더불어 AChE 저해 활성을 통한 인지기능 개선 가능 소재로서 연구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ischarge Patterns and Peripheral Nerve Inputs to Cardiovascular Neurons in the Medulla of Cats: Comparison between the lateral and medial medulla

  • Kim, Sang-Jeong;Lim, Won-Il;Park, Myoung-Kyu;Lee, Jin;Kim, J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8권2호
    • /
    • pp.133-141
    • /
    • 1994
  • The discharge patterns and peripheral nerve inputs to cardiovascular neurons were investigated in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RVLM) and raphe nucleus of cats. The data from the two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ir roles in cardiovascular regulation and the endogenous analgesic system. Animals were anesthetized with ${\alpha}-chloralose$ and single cell activities were recorded by carbon-filament microelectrod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cardiovascular activity were analyzed. In RVLM area, a total of thirty-three cells were identified as cardiovascular neurons. During one cardiac cycle, the mean discharge rate of the neurons was $1.96{\pm}0.29$ and the peak activity was observed 45 ms after the systolic peak of arterial blood pressure. Thirteen cells could be activated antidromically by stimulation of the the $T_2$ intermediolateral nucleus. Forty-three raphe neurons were identified as cardiovascular neurons whose mean discharge rate during one cardiac cycle was $1.02{\pm}0.12$. None of these cells could be activated antidromically. Study of the interval time histogram of RVLM neurons revealed that the time to the first peak was $128{\pm}20.0\;ms$, being shorter than the period of a cardiac cycle. The same parameter found from the raphe neurons was $481{\pm}67.2\;ms$, which was much longer than the cardiac cycle length. Of seventeen RVLM neurons examined ten received only the peripheral $A{\delta}-afferent$ inputs, whereas six RVLM neurons received both $A{\delta}-$ and C-inputs; the remaining one cell received an inhibitory peripheral C-input. In contrast, nine of eleven raphe neurons were found to receive $A{\delta}-inputs$ only. We conclude that the main output of cardiovascular regulatory influences are mediated through the RVLM neurons. The cardiovascular neurons in the raphe nucleus appear to serve as interneurons transferring cardiovascular afferent information to the raphespinal neurons mediating the endogenous analgesic mechanisms.

  • PDF

KiSS-1 : 포유동물 생식계에서의 새로운 신경펩타이드 (KiSS-1 : A Novel Neuropeptide in Mammalian Reproductive System)

  • 이성호;최돈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1-5
    • /
    • 2005
  •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HPG) 호르몬 축은 유아기와 아동기에는 작동하지 않다가 사춘기 개시 직전에 활성화되는 흥분성 및 억제성 신호들의 복잡한 중추성 조절 네트워크에 의해 조절된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kisspeptin은 KiSS-1 유전자의 펩타이드 산물로, 최초 orphan receptor로 클로닝된 G protein-coupled receptor 54(GPR54)의 내인성 리간드이다. KiSS-l은 본래 종양전이억제 유전자로 알려졌으나, 최근의 연구들은 KiSS-1/GPR54 시스템이 생식계의 주요한 조절자임을 시사하고 있다. 비록 생식 관련 호르몬 분비의 신경내분비적 조절에서 KiSS-1/GPR54 시스템의 정확한 역할은 아직 자세히 모르지만, 이 시스템은 생식호르몬 축에서의 일차적인 연결 고리일 수 있다. 중추적(icv) 또는 말초적(sc 또는 ip)으로 kisspeptin을 주사할 경우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소 축이 자극되어 혈중 LH 수준이 증가함이 설치류, 양, 원숭이 그리고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들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kisspeptin의 효과는 시상하부 GnRH 신경계를 경유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지만, 뇌하수체 전엽에 직접 작용할 수도 있다. GPR54 녹아웃 생쥐에서는 사춘기 개시의 소실과 생식소자극호르몬 저하성 생식소 기능저하증(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HH)이 나타났다. 따라서 kisspeptin 주사는 인간의 생식계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HPG 축을 활성화시키는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Gene Expression Patterns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s using the cDNA Microarray)

  • 전채영;박진우;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205-221
    • /
    • 2004
  • Periodontal ligament(PDL) cells have been known as playing an important roles in periodontal regeneration and gingival fibroblasts are also important to periodontal regeneration by forming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There were rare studies about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of PDL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cDNA microarray-based gene expression monitoring to explain the functional differences of PDL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s in vivo an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PDL cells. Total RNA were extracted from PDL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s of same person and same passages, and mRNA were isolated from the total RNA using Oligotex mRNA midi kit(Qiagen) and then fluorescent cDNA probe were prepared. And microarray hybridization were performed.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of PDL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s were quite different. About 400 genes were expressed more highly in the PDL cells than gingival fibroblasts and about 300 genes were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gingival fibroblasts than PDL cells. Compared growth factor- and growth factor receptor-related gene expression patterns of PDL cells with gingival fibroblasts, IGF-2, IGF-2 associated protein, nerve growth factor, placental bone morphogenic protein, neuron-specific growth- associated protein, FGF receptor, EGF receptor-related gene and PDGF receptor were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PDL cells than gingival fibroblasts. The results of collagen gene expression patterns showed that collagen type I, type III, type VI and type VII were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PDL cells than gingival fibroblasts, and in the gingival fibroblasts collagen type V, XII were more highly expressed than PDL cells. The results of osteoblast-related gene expression patterns showed that osteoblast specific cysteine-rich protein were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PDL cells than gingival fibroblasts. The results of cytoskeletal proteins gene expression patterns showed that a-smooth muscle actin, actin binding protein, smooth muscle myosin heavy chain homolog and myosin light chain were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PDL cells than gingival fibrobalsts, and ${\beta}-actin$, actin-capping protein(${\beta}$ subunit), actin- related protein Arp3(ARP) and myosin class I(myh-1c) were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gingival fibroblasts than PDL cells. Osteoprotegerin/osteoclastogenesis inhibitory factor(OPG/OCIF) was more highly expressed in the PDL cells than gingival fibroblas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DL cells and gingival fibroblasts were quite different gene expression patterns though they are the fibroblast which have similar shape. Therefore PDL cells & gingival fibroblasts are heterogeneous populations which represent distinct characteristics. If more studies about genes that were differently expressed in each PDL cells & gingival fibroblasts w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DL cells would be more clear.

흰쥐 적출 소장의 수축성에 미치는 GABA의 영향 (Effect of GABA on the Contractility of Small Intestine Isolated from Rat)

  • 허준영;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95-105
    • /
    • 1991
  • 흰쥐 적출소장의 수축성에 미치는 GABA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ABA는 소장을 이완시켰으며 그 이완 작용은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회장의 순이었다. GABA A수용체 효현제인 muscimol 역시 소장을 이완시켰으며, 그 효능의 강도는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회장의 순이었다. 그러나 GABA B수용체 효현제인 baclofen은 소장의 운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2. 상경적 GABA A수용체 길항제인 bicuculline과 비 상경적 GABA A수용체 길항제인 picrotoxin은 십이지장에 대한 GABA와 muscimol의 이완 작용을 현저히 억제시켰다. 그리고 bicuculline의 억제 작용이 picrotoxin 보다 강하였다. 3. Sodium channel blocker인 tetrodotoxin은 GABA의 이완 작용을 봉쇄하였다. 4. 신경절 봉쇄적인 hexamethonium은 십이지장에 대한 GABA의 이완작용을 길항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흰쥐 소장의 자발 수축운동에 대한 GABA의 이완작용은 소장이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그 작용은 postganglionic presynaptic neuron에 존재하는 GABA A 수용체에 작용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otulinum toxin type A enhances the inhibitory spontaneous postsynaptic currents on the substantia gelatinosa neurons of the subnucleus caudalis in immature mice

  • Jang, Seon-Hui;Park, Soo-Joung;Lee, Chang-Jin;Ahn, Dong-Kuk;Han, Seong-Ky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5호
    • /
    • pp.539-546
    • /
    • 2018
  • Botulinum toxin type A (BoNT/A) has been used therapeutically for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dystonia, cerebral palsy, wrinkle, hyperhidrosis and pain control. The substantia gelatinosa (SG) neurons of the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Vc) receive orofacial nociceptive information from primary afferents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higher brain center. Although many studies have shown the analgesic effects of BoNT/A, the effects of BoNT/A at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action mechanism are not well understood. Therefore, the effects of BoNT/A on the spontaneous postsynaptic currents (sPSCs) in the SG neurons were investigated. In whole cell voltage clamp mode, the frequency of sPSCs was increased in 18 (37.5%) neurons, decreased in 5 (10.4%) neurons and not affected in 25 (52.1%) of 48 neurons tested by BoNT/A (3 nM). Similar proportions of frequency variation of sPSCs were observed in 1 and 10 nM BoNT/A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elative mean frequencies of sPSCs among 1-10 nM BoNT/A. BoNT/A-induced frequency increase of sPSCs was not affected by pretreated tetrodotoxin ($0.5{\mu}M$).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sIPSCs in the presence of CNQX ($10{\mu}M$) and AP5 ($20{\mu}M$) was increased in 10 (53%) neurons, decreased in 1 (5%) neuron and not affected in 8 (42%) of 19 neurons tested by BoNT/A (3 nM).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oNT/A increases the frequency of sIPSCs on SG neurons of the Vc at least partly and can provide an evidence for rapid action of BoNT/A at the central nervous system.

구척(狗脊)이 흰쥐의 척수압박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 of Cibotii Rhizoma on Neuronal Damage of Spinal Cord Contusion Injury in Rats)

  • 박원상;김은석;신정원;김범회;김성준;강희;손낙원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5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oot of Cibotii rhizoma(CR) ethanol extract on the tissue and neuronal damage of the spinal cord injury(SCI). Methods : SCI was induced by mechanical contusion following laminectomy of 10th thoracic vertebra in Sprague-Dawley rats. CR was orally given once a day for 7 days after SCI. Tissue damage and nerve fiber degeneration were examined with cresyl violet and luxol fast blue(LFS) histochemistry. HSP72(as neuronal damage marker), MAP2(as nerve fiber degeneration marker), c-Fos(immediate early gene), and Bax(pro-apoptotic molecule) expressions were examin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Individual immuno-positive cells expressing HSP72, MAP2, c-Fos and Bax were observed on the damaged level and the upper thoracic and lower lumbar spinal segments. Results : 1. CR reduced degeneration of nerve fibers and motor neuron shrinkage in the ventral horn of the lower lumbar spinal segment, but generally it did not seem to ameliorate the tissue injury following SCI. 2. CR reduced demyelination in the ventral and lateral funiculus of the lower lumbar spinal segment. 3. CR reduced HSP72 expression on the neurons in the peri-central canal gray matter adjacent to the damaged region. 4. CR strengthened MAP2 expression on the motor neurons in the ventral horn and on nerve fibers in the lateral funiculus of the lower lumbar spinal segment. 5. CR reduced c-Fos positive cells in the peri-lesion and the dorsal horn of the damaged level and in the ventral horn of the lower lumbar spinal segment. 6. CR reduced Bax positive cells in the peri-lesion and the dorsal horn of the damaged level and in the ventral horn of the lower lumbar spinal segmen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 plays an inhibitory role against secondary neuronal damage and nerve fiber degeneration. following SCI.

심맥관계 활동과 관련있는 연수 척수로 세포에 작용하는 신경흥분전달물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eurotransmitters Acting on the Medullospinal Tract Cells Related to the Cardiovascular Activity)

  • 서동만;김상정;임원일;김전;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441-450
    • /
    • 1998
  • 본 연구는 동맥혈압의 조절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상부연수 복외측부에 존재하는 심맥관계 활동과 관련 있는 신경세포들에 대해 iontophoresis 법으로 투여한 신경흥분전달물질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alpha$-chloralose로 마취한 고양이를 실험동물로 하여 연수의 복외측부에 multibarrel 전극을 삽입하여 심맥관계 활동과 관련 있는 신경세포의 활동을 세포외기록법으로 확인한 후 세포에 iontophoresis법으로 투여한 glutamate, GABA(\ulcorner-aminobutyric acid) 및 bicuculline의 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발적으로 활동전압을 보이지 않는 세포에서 glutamate를 10초 주기로 5초간 iontophoresis할 때 주기적인 세포활동을 기록할 수 있었고 이 활동은 동시에 가한 GABA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2) 자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세포들에 대하여 glutamate를 투여하였을 때 활동전압의 빈도가 증가하였고 GABA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3) GABA억제제인 bicuculline을 단독으로 투여시 활동전압 빈도의 증가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GABA와 동시 투여시에는 GABA의 억제작용을 차단하였다. 4) GABA의 작용은 RVLM(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세포의 주기적 활동과 basal discharge 모두를 감소시켰으나 주기적 양상이 없어진 세포는 드물었다. 5) 말초에 가한 유해자극에 의하여 유발된 신경세포 활동이 GABA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pha$-chloralose로 마취한 고양이에서 GABA는 RVLM에 존재하는 심맥관계 신경세포들에 대하여 억제적으로 작용하나 bicuculline의 투여후에도 이들 세포들의 주기적 활동이 유지되는 점으로 보아 RVLM세포의 자발적 흥분에 대하여 감압반사의 흥분이 기여하는 바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설치류 Neuro-2A 신경세포에서 홍경천 에탄올 추출물의 소포체 스트레스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Rhodiola Sacra o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Neuro-2A Cells)

  • 조남은;송영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265-270
    • /
    • 2019
  • 성장하는 증거는 소포체 (ER) 스트레스의 매개 세포 사멸이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신경 퇴행성 질환의 병리학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로디올라 사크라(ERS)의 에탄올 추출물은 ER 스트레스 유도제인 호모시스테인(Hcy)세포 사멸과 ER 스트레스의 신경 neuro -2A 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다. 뉴런 세포에서 Hcy는 MTT 분석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세포 생존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시켰고, Annexin V 양성 세포의 사멸을 유도했다. ERS로 전처리한 Hcy세포 생존력 및 세포 사멸 손실은 약화되었으며, Hcy는 C/EBP 상 동성 단백질과 78-kDa 포도당 조절 단백질의 발현 및 X-box 결합 단백질 -1 (xbp1) mRNA의 접합에 스트레스를 유도했다. ESR은 Hcy에 의해 유도된 xbp-1 mRNA 접합, GRP78 및 CHOP 세포를 감소시켜 Hcy-induced ER 스트레스 및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를 나타내며, Western blotting 분석에 heme oxygenase-1의 발현 및 HO-1 효소 활성 억제는 hemin에 의한 세포 사멸을 감소시키는 등 신경 퇴행성 질환에 치료적 가치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