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abited environment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초

설악산국립공원 내 북천의 어류군집 특성 및 멸종위기종의 서식양상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in the Bukcheon (Stream) of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 박승철;최광식;한미숙;고명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90-401
    • /
    • 2022
  • 설악산국립공원 내 북천의 어류군집 특성 및 멸종위기종의 서식현황을 밝히기 위해 2020년 4월부터 9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7개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7과 22종 4,356개체였다. 우점종은 참갈겨니(Zacco koreanus, 41.8%), 아우점종은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15.1%)였으며, 그 다음으로 돌고기(Pungtungia herzi, 10.1%),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5.0%),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4.1%), 피라미(Z. platypus, 3.8),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3.5%), 어름치(Hemibarbus mylodon, 2.2%) 등의 순으로 우세하였다. 출현종 중 한국고유종은 14종(63.6%)이 확인되어 상대비율이 높았다. 법정보호종은 천연기념물 어름치 1종과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의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 가는돌고기, 돌상어(Gobiobotia brevibarba),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4종이 출현하였는데, 열목어는 상류부에, 어름치와 묵납자루, 가는돌고기, 돌상어는 중·하류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으며, 어름치와 가는돌고기, 열목어는 서식개체수가 많았다. 기후변화민감종(냉수성 어종)은 금강모치와 열목어 2종이 확인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우점도는 낮아지나 다양도와 균등도, 풍부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군집구조는 최상류와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되었다. 북천의 수질은 전체적으로 매우 좋음으로 평가되었고, 어류를 이용한 하천 건강성은 매우 좋음(11개 지점), 좋음(2개지점), 보통(4개 지점)으로 평가되어 양호하였다. 하지만 일부지역에서 하천공사가 진행되고 중류부에서 생활하수가 유입되고 있어, 이에 대한 어류 서식지 보존 대책이 요구되었다.

인천 도서지역의 해양환경자원과 관리실태분석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about Managing Marine Environment at Island Areas in Incheon)

  • 변병설;전하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18-630
    • /
    • 2008
  •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약 3,200개의 섬을 포용하고 있는 해양 국가이다. 도서지역은 해양생태계와 육상생태계가 만나는 육지와 해양의 전이지역으로서, 내륙, 바다, 그리고 대기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독특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국민소득 및 해양레저 수요 증대에 따라 해안관광 레저시설을 위한 시 군 단위의 연안지역 개발계획도 크게 증가하고 있어 해양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개발압력은 도서지역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천광역시는 광활한 도서지역을 포용하고 있는 연안도시이나, 연안의 범위가 매우 넓고 많은 유 무인도 서를 포용하고 있어, 도서의 환경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 일대의 도서지역의 해양환경자원과 관리실태를 분석하고, 보다 체계적인 도서 해양환경 관리를 위한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동해구외끌이중형저인망에 의한 동해 중남부 해역 저어류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Fish Caught by a Danish Seine Fishery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and Southern East Sea, Korea)

  • 손명호;박정호;윤병선;최영민;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29-541
    • /
    • 2015
  • We examin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fish in the middle and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by surveying a commercial Danish seine fishery from 2010 to 2013. We considered the waters north of $37^{\circ}N$ as middle and those south of $37^{\circ}N$ as southern waters. A total of 79 demersal fish species belonging to 18 families were collected. Of these, 59 species (77.6%) inhabited only the East Sea as opposed to the West and South Seas of Korea, and most were resident species. The species and biomas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portions of the study area.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78.0%) and the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65.1%) were the most common species and accounted for the most biomass in the middle and southern waters, respectively. Fish were most abundant at shallow depths (50-100 m)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East Sea. Using a cluster analysis, we divid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t the sampling stations into three groups: middle portion (group A), deep area of the southern portion (group B), and shallow areas of the southern portion (group C). A. japonicas and G. stelleri were dominant in groups A and B, while G. stelleri and Clupea pallasii were dominant in group C.

하천의 물리적 생태적 특성 연구 - 경기지방 모래하천의 사례 - (Study on the Bio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s - A Case of the Sand Streams in Kyonggi-Do District-)

  • 김혜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5-230
    • /
    • 2005
  • 모래하천의 물리적$\cdot$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자연환경이 유사한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조사$\cdot$평가하였다. 물리적 구조 평가결과 청미천과 양화천의 생태성은 "양호$\sim$보통", 복하천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대상하천은 공통적으로 사행과 퇴적작용이 활발한 반면 침식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 하천의 중점조사구에 대한 식물조사결과물과 가장 인접한곳(정수역)으로부터 갈풀$\rightarrow$달뿌리풀$\rightarrow$갈대$\rightarrow$버드나무$\rightarrow$물푸레나무$\rightarrow$아까시나무$\rightarrow$신나무 군락 순으로 발달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경우 공통종은 청정지 역에서 주로 출현하는 무의하루살이, 검은 물잠자리 등이며, 우점종은 실지렁이와 깔따구과 sp. 1이었다.

개인의 경제적 성공 관련 귀인양식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attribution style of individual economic success)

  • 김윤식;양해술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541-552
    • /
    • 2012
  • 본 연구는 귀인이론을 기반으로 사람들이 개인의 경제적 성공과 관련하여 어떠한 귀인양식을 보이는지 고찰하는 실증연구이다. 먼저 귀인이론의 이론적 고찰 및 귀인양식 관련 선행연구 분석에 의한 논거를 토대로 '개인의 경제적 성공 관련 귀인양식 고찰'이라는 연구논제를 정립하였다. 이러한 연구논제를 실증적 방법으로 고찰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238명(연령대/성별 할당표본추출)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개인의 경제적 성공 관련 귀인요인에 대해, 보유자산 10억원 미만 사람들은 태생적 환경조건 72.1%, 노력 18.0%로 나타나고, 보유자산 30억원 이상 사람들은 태생적 환경조건 12.0%, 노력 48.0%로 나타났다. 이러한 귀인양식을 Weiner(1979)가 주장한 귀인이론의 원인지각 측면에서 해석해 보면, 개인의 경제적 성공을 성취하는 원인에 대해 보유자산이 적은 사람은 태생적 환경조건 탓으로 돌리고, 보유자산이 많은 사람은 노력 덕분이라고 믿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 PDF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의 서식환경과 연령, 섭식생태 (Habitat Environment, Age and Feeding Ecology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in the Seom River, Korea)

  • 고명훈;송하윤;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8-287
    • /
    • 2011
  • 멸종위기종 꾸구리의 생태학적 특징과 복원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서식환경과 연령, 섭식생태를 2010년부터 2011년까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흥호리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꾸구리의 서식조건은 수심 10~40 cm, 유속 40~120 cm/sec, 하상입자 크기는 8~20 cm였고, 자갈층의 층수가 서식밀도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령은 5월을 기준으로 만 1년생 체장 28~42 mm, 만 2년생은 체장 43~58 mm, 만 3년생은 체장 59~68 mm, 만 4년생 이상은 체장 69~85 mm로 추정되었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4~10 mm가 더 컸다. 섭식시간대는 00시부터 06시 사이에 주로 섭식하여 야행성 어류로 판단되었고, 위 내용물은 날도래목(Trichoptera) 57.7%, 파리목(Diptera) 26.0%,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16.3% 순으로 높았으며, 크기가 작은 당년생 치어는 하루살이목과 파리목을 주로 섭식하였지만 성장하면서 크기가 큰 날도래목을 주로 섭식하였다.

대청댐 유역 상수리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특성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Qeurcus acutissima Forest in Daecheong-dam basin)

  • 김성열;문건수;임성빈;백혜정;송원경;최재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5-102
    • /
    • 2021
  •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n Quercus acutissima forests distribution in Daechong-dam basin survey has been carried out using Z.-M. School's methodology and numerical-classification analyses. A total of 43 phytosociological relevés were sampled. Syntaxa were described as Oplismenus undulatifolius-Quercus acutissima community(typicum subcommunity,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subcommunity,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sub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Quercus acutissima community (typicum subcommunity, Castanea crenata subcommunity). The above thre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with species composition reflecting lo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ountain topographies, inclination degrees, and rock exposure rates. Conclusively, those communities were recognized as secondary vegetation affected by high intensity and frequency of human impacts as they inhabited in southward hill lands and low lying grounds in mountains adjacent to human settlements and arable lands.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was classified as rural type syntax based on their inlandward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differences from urban forests. Afforest process and natural succession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habitat environmental elements of Quercus acutissima forest in the survey area.

Culture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Marine Biofilms

  • Lee, Yoo-Kyung;Kwon, Kae-Kyung;Cho, Kyeung-Hee;Kim, Hyo-Won;Park, Jae-Hyun;Lee, Hong-Kum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3호
    • /
    • pp.183-188
    • /
    • 2003
  • We isolated and cultured bacteria that inhabited marine biofilms, and identified them by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DNA sequences. In the marine environment, biofilms cover most subtidal and intertidal solid surfaces such as rocks, ships, loops, marine animals, and algae. The bacteria in most biofilms are embedded in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that comprise mainly of exopolysaccharides. The exopolysaccharides are excreted from multiple bacterial species; therefore, biofilms are a good source for screening exopolysaccharide-producing bacteria. Thirty-one strains were cultured, and a total of 17 unique strains were identified.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DNA sequences indicated that the 17 strains belonged to ${\alpha}$-Proteobacteria (Ochrobactrum anthropi, Paracoccus carotinifaciens); ${\gamma}$-Proteobacteria (Pseudoalteromonas agarovorans, P. piscicida, Pseudomonas aeruginosa, Shewanella baltica, Vibrio parahaemolyticus, V. pomeroyi); CFB group bacteria (Cytophaga latercula, Tenacibaculum mesophilum); high GC, Gram-positive bacteria (Arthrobacter nicotianae, Brevibacterium casei, B. epidermidis, Tsukamurella inchonensis); and low GC, Gram-positive bacteria (Bacillus macroides, Staphylococcus haemolyticus, S. warneri).

청동기시대 춘천지방의 자연환경과 농경 (Natural Environment and Agriculture in Chuncheon Region during the Bronze Age)

  • 이의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93-504
    • /
    • 2003
  • 춘천지방의 청동기시대 유적과 유물은 주로 범람원에 분포한다. 이 지역의 범람원은 대부분 고도가 높아 홍수시에도 물에 잘 잠기지 않는 자연제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제방은 주변의 구릉지나 곡간충적지보다 농경에 있어 훨씬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청동기시대 춘천지방의 주민들은 사연제방에 거주하면서 농경에 종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자연제방의 지형적인 특성과 토양을 고려하면 당시 이 지역에서는 벼농사보다 밭농사 중심의 농경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incidence of abnormalities in the fire-bellied toad, Bombina orientalis, in relation to nearby human activity

  • Kang, Changku;Shin, Yujin;Kim, Ye Eun;Moon, Jongyeol;Kang, Jae Yeon;Jang, Yikwe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11-16
    • /
    • 2016
  • Declines in amphibian populations are occurring worldwide, and have been attributed to many factors, including anthropogenic environmental changes. One of the ramifications of such declines is abnormalities in many amphibian species. A strong association has been detected between human activities and abnormalities in amphibian populations, but studies on this association are largely focused on lentic species.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whether the degree of local human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the rate of abnormalities in Bombina orientalis which inhabited lotic environments. We found that the proportions of abnormalities in wild populations of B. orientalis increased, when i) the closest human land use was located within 100 m from the frogs' habitat, and ii) the proportion of human land use within a 300-m radius was high. Our findings suggest that human activit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fitness of nearby amphibian populations, and that wild populations very close to human-induced disturbance are aff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