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bitat Environment, Age and Feeding Ecology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in the Seom River, Korea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의 서식환경과 연령, 섭식생태

  • Ko, Myeong-Hun (Department of Marine Biotechn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
  • Song, Ha-Yoon (Department of Marine Biotechn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
  • Bang, In-Chul (Department of Marine Biotechn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 고명훈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생명공학과) ;
  • 송하윤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생명공학과) ;
  • 방인철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생명공학과)
  • Received : 2011.08.10
  • Accepted : 2011.10.02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Habitat environment, age and feeding ecology of Gobiobotia macrocephala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covery in the Seom River at Heungho- ri, Buron-myeon, Wonju-si, Gangwon-do, Korea from 2010 to 2011. G. macrocephala inhabited 10~40 cm in water depth, 8~20 cm bottom size and 40~120 cm/sec in current velocity, and pebble floor were factors to be important for inhabit density. Age group of G. macrocephala in May estimated from the standard length indicated that the 28~42 mm group is 1 year old, the 43~58 mm group is 2 years old, the 59~69 mm group is 3 years old and the 69~85 mm group is more than 4 years old, and the female was 4~10 mm larger than the male. G. macrocephala did mainly feeding with nocturnal fishes between 00 h to 06 h, and they fed mainly Trichoptera (57.7%), Diptera (26.0%) and Ephemeroptera (16.3%). And their small juvenile fed mainly Ephemeroptera and Diptera, however, they ate mainly Trichoptera while growing to adult fish.

멸종위기종 꾸구리의 생태학적 특징과 복원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서식환경과 연령, 섭식생태를 2010년부터 2011년까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흥호리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꾸구리의 서식조건은 수심 10~40 cm, 유속 40~120 cm/sec, 하상입자 크기는 8~20 cm였고, 자갈층의 층수가 서식밀도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령은 5월을 기준으로 만 1년생 체장 28~42 mm, 만 2년생은 체장 43~58 mm, 만 3년생은 체장 59~68 mm, 만 4년생 이상은 체장 69~85 mm로 추정되었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4~10 mm가 더 컸다. 섭식시간대는 00시부터 06시 사이에 주로 섭식하여 야행성 어류로 판단되었고, 위 내용물은 날도래목(Trichoptera) 57.7%, 파리목(Diptera) 26.0%,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16.3% 순으로 높았으며, 크기가 작은 당년생 치어는 하루살이목과 파리목을 주로 섭식하였지만 성장하면서 크기가 큰 날도래목을 주로 섭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명훈.박종영. 2011. 만경강 삼천에 서식하는 점줄종개 Cobitis lutheri의 성장과 산란생태. 한국어류학회지, 23: 158-162.
  2. 고명훈.박종영.김수환. 2009. 만경강에 서식하는 참종개 Iksookimia koreensis와 점줄종개 Cobitis lutheri의 서식환경과 섭식생태. 한국어류학회지, 21: 253-261.
  3. 고명훈.문신주.방인철. 2011. 섬강의 어류군집 및 멸종위기종 꾸구리(Gobiobotia macrocephala)와 돌상어(Gobiobotia brevibarba)의 서식현황.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4: 144-154.
  4. 국토해양부. 2010. 4대강 수계 멸종위기어종 증식 및 복원. 순천 향대학교, 아산, 489pp.
  5. 김익수. 1978. 전주천 참종개 Cobitis koreensis의 생태. 한국생태학회지, 2: 9-14.
  6. 김익수.고명훈. 2005. 섬진강에 서식하는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의 생태. 한국어류학회지, 17: 112-122.
  7. 김익수.고명훈.박종영. 2006. 줄종개 Cobitis tetralineata (Pisces; Cobitidae)의 개체군 생태. 한국생태학회지, 29: 277-286.
  8. 김익수.박종영. 2007.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467pp.
  9. 김익수.이완옥. 1984. 백천에 서식하는 참종개 Cobitis koreensis KIM 개체군의 형태와 생태. 한국생태학회지, 7: 10-20.
  10.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5pp.
  11. 변화근. 2007. 내린천에 서식하는 새코미꾸리 Koreocovitis rotundicaudata (Cobitidae)의 생태. 한국어류학회지, 16: 299-305.
  12. 원두희.권순직.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주)생태조사단, 서울, 415pp.
  13.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서울, 262pp.
  14. 최기철.백윤걸. 1972. Gobiobotia macrocephalus Mori의 생활사. 한국육수학회지, 5: 45-57.
  15. 최재석. 2002.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Mori (Cyprinidae)의 생태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춘천, 103pp.
  16. 최재석, 권오길, 박정호, 변화근. 2001. 홍천강에 서식하는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3: 230-236.
  17. 최재석.장영수.이광렬.권오길. 2004. 남한강에 서식하는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6: 165-172.
  18. 최준길∙변화근. 2009. 연곡천에 서식하는 북방종개 Cobitis pacifica (Cobitidae)의 생태적 특성.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2: 26-31.
  19.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 법률 제7457호 (시행규칙 제2조).
  20. 환경부. 2006. 멸종위기에 처한 한국특산어류의 종 보존과 복원 및 증식기술개발. 군산대학교, 군산, 537pp.
  21. 환경부. 2009.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의 유전 다양성 분석, 인공증식 및 생태계 복원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아산, 506pp.
  22.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er. Midl. Nat'l., 67: 477-504. https://doi.org/10.2307/2422722
  23.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New Jersey, pp. 139-143.
  24. Pinkas, L., M.S. Oliphant and I.K.K. Iv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 Calif. Dep. Fish Game Fish/Bull, 152: 1-105.
  25. Ricker, W.E. 1971. Methods for assessment of fish production in freshwater. IBP hand book, 3: 11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