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guinal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6초

CCNU, Vinblastine과 Prednisone으로 병용 치료한 요크셔 테리어 개의 Grade II 피부 비만세포종 증례 (CCNU, Vinblastine and Prednisone Treatment for Grade II Dermal Mast Cell Tumor in a Yorkshire terrier dog)

  • 서경원;이종복;김성수;방동하;정진영;황철용;김대용;윤화영;이창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18-621
    • /
    • 2007
  • 11살의 중성화 수컷 요크셔 테리어 개가 오른쪽 서혜 부위에 다발성의 Plaque를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grade II의 비만 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초기 치료는 Vinblastine과 Prednisone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치료 반응이 좋지 않아 Lomustine(CCNU)를 첨가한 공격적인 치료를 실시하였다. CCNU, Vinblastine, PDS를 이용한 치료 5주 후에 병변은 개선되었다. 4차 항암치료 시 중등도의 백혈구 감소 증을 나타내었고, 이에 대한 개선 처치 후에, 같은 프로토콜을 적용한 항암치료를 실시하였으나, 병변이 개선되지 않았다. 이후, 환자의 전신적인 상태가 나빠져 보호자의 요청에 의해 안락사 하였으나 부검은 실시하지 못하였다. 환자의 생존기간은 항암치료 개시 후 330일 이었다.

Nitric oxide-induced immune switching in experimental inflammatory autoimmune diseases

  • Kwak, Hyun-Jeong;Kim, Hyung-Jin;Park, Jae-Sung;Jun, Chang-Duk;Lee, Mun-Young;Shin, Tae-Kyun;Chung, Hun-Taeg
    • IMMUNE NETWORK
    • /
    • 제1권2호
    • /
    • pp.116-125
    • /
    • 2001
  • Backgrou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has been described as a double-edged sword eliciting both pro-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different immune reactions. This work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mmunoregulatory role of NO in experimental allergic encephalomyelitis (EAE) and experimental allergic uveitis (EAU). Method: We examined whether molsidomine (MSDM), a NO donor, administration to the myelin basic protein (MBP)- or interphotoreceptor retinoid binding protein (IRBP)-immunized rats could suppress EAE development by shifting toward the Th2 cytokine response. In the EAE experiments, the rats were treated orally with MSDM (10 mg/kg/day) at the early stage (-1~4 days) or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1~15 days). Results: This resulted in significant amelioration of the disease and mild clinical symptoms, while MBP-immunization without MSDM administration showed severe EAE development. A marked reduction in inflammation was also observed in the spinal cord, indicating the crucial role of NO in the pathogenesis of EAE in in vivo. In the EAU experiments, a 24 h pre-treatment with MSDM prior to IRBP immunization resulted in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disease. Furthermore, MSDM administration for 2 1 days completely reduce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EAU. To investigate whether MSDM could modulate cytokine switching from Th 1 to Th2, culture supernatants of MBP- or IRBP-stimulated inguinal lymphocytes were analyzed. MSDM treatment enhanced IL-10 secretion but decreased IFN-${\gamma}$. IL-4 was undetectable in all groups. In contrast, the MBP-or IRBP-immunized rats without MSDM secreted high concentrations of IFN-${\gamma}$, but low concentrations of IL-10. Conclusion: In conclusion, NO administation suppresses EAE and EAU by modulating the Th1/Th2 balance during inflammatory immune responses. This work further suggests that NO may be useful in the therapeutic control of autoimmune disease.

  • PDF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의 치료 및 예후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 Treatment and Prognosis)

  • 이수용;박종훈;전대근;이종석;김석준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1
    • /
    • 2000
  • 목적 :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은 피부에 생기는 드문 종양으로서 부적절한 절제가 잦은 재발과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이 경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와 예후의 관계를 연구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3월부터 본원 정형외과에서 치료한 융기성 피부섬유육종 환자중 추시 기간이 최소 12개월 이상인 14례를 대상으로 치료 방법 및 최종 추시까지의 상태를 점검하였다. 전례 모두 병리학적 진단하에 치료되었으며, 재발 후 전원된 9례를 포함한 13례에서 광범위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1례는 서혜부의 신경, 혈관이 종양과 인접하여 종양내 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술후 항암요법을 추가한 경우였다. 결과 : 재발후 전원되었던 9례의 평균 재발 회수는 1.3 (1~2)회였으며, 처음 수술 후 첫번째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11.8(2~24)개월이었다. 술후 최종 추시까지(평균 추시기간 50.8개월)에서 광범위절제술로 치료한 13례에서는 재발을 볼 수 없었으나, 병소내 전절제술과 항암제치료를 하였던 예에서는 반복된 재발을 보였고, 결국 폐전이로 사망하였다. 결론 :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은 반드시 생검을 통한 확진 후 초기에 광범위 절제연 이상으로 절제를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발은 최소한 2년까지의 추시가 있어야 그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족 배 유리 피부판을 이용한 사지 재건술 (Reconstruction of the Extremities with the Dorsalis Pedis Free Flap)

  • 이준모;김문규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8권1호
    • /
    • pp.77-83
    • /
    • 1999
  • 전북대학교병원 정형외과에서 1993년 8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족부 및 수부 손상 5례에 대하여 족 배 유리 피부판 이식술을 시행하고, 1999년 3월까지 최소 19개월부터 최장 67개월간 추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나이별로는 9세부터 35세까지로 평균 23세 이었으며, 성별로는 전례가 남자이었으며, 족부에서 시행하였던 예가 4례, 수부에서 1례이었다. 2. 족부의 손상 원인은 교통사고 2례, 기계 사고 1례, 자전거 바퀴 사고 1례 이었으며, 수부에서는 교통사고에 의하여 전완부 요골의 개방성 골절이 동반되고 수부 배부의 다발성 신전 건 파열 및 피부 괴사에 의한 신전 건 노출 1례이었다. 3. 수여 동맥은 족 배 동맥 2례, 전 경골 동맥 1례, 후 경골 동맥 1례 그리고 척골 동맥이었으며, 수여 정맥은 족부 4례에서 2개 정맥을 문합하였으며, 5례(100%) 전례에서 성공하였다. 4. 추시 결과 유리 피판 이식술 후 외양(exterior)과 일상생활시 피부판이 손상되는 분쇄(maceration) 정도는 우수하였으나, 감각 회복 정토는 불량하였다. 5. 제공 부위인 족 배부는 유리 피판 이식술 3주 후 전층 식피술을 시행하여 완전 접착되었으며, 추시상 유병율없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단일병원 신생아 환자의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보균율 (Colonization Rat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e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최수영;한상우;윤혜선;기모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111-120
    • /
    • 2012
  • 목 적 : 단일 병원 신생아입원실에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MRSA 보균율을 알아보고, 그 기원을 추정해 보며, MRSA 보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을지대학교 서울 을지병원 신생아 입원실에 입원하여 MRSA 감시배양검사를 시행받은 1,733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MRSA 감시배양검사는 비강, 서혜부, 직장에서 시행하였고, 퇴원 시까지 매주 반복 시행 하였다. MRSA 감시배양결과에 따라서 보균자와 비보균자로 나누었다. 결 과 : 대상환자 1,733명 중에 415명(23.9%)이 MRSA 보균자였다. 제태기간, 출생체중, 분만 방식, 분만전 산모에게 항생제 투여 여부, 출생장소, 입원전 체류 장소에 따라서 MRSA 보균율에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변량 검사에서 분만전 산모에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가 투여한 경우에 비해서 신생아가 MRSA 보균자가 될 위험도가 2.8배(OR=2.77; 95% CI, 1.88-4.07), 출생장소가 외부인 경우가 본원인 경우에 비해서 2.3배(OR=2.28; 95% CI, 1.17-4.42) 높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MRSA 보균율은 23.9%로 상대적으로 높은 보균율을 확인하였다. 환자특성을 고려하여 추정한 HA-MRSA 보균율은 51/511명(10%), CA-MRSA 보균율은 309/858명(36%) 이었다. 본병원 신생아에서 MRSA 보균과 연관된 요인은 산모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여부와 출생장소임을 확인하였다.

  • PDF

한우에서 복강 내 편측성 잠복고환 제거를 위한 부정중선 및 겸부 접근의 비교 (Comparison of Paramedian and Flank Approaches for Abdominal Unilateral Cryptorchidectomy in Korean Native Calves)

  • 정재관;백영철;강현구;김일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6-70
    • /
    • 2013
  • This report compared paramedian and flank approaches for the effective removal of abdominal unilateral cryptorchidism in calves. Two Korean native calves of approximately 300 kg in body weight, which had undergone the removal of a testis from the scrotum, were diagnosed as having abdominal unilateral (left) cryptorchidism by rectal palpation. One calf was administered with xylazine (0.2 mg/kg, IV) and was restrained in the dorsal recumbency position on the ground of barn for the paramedian approach, while the other calf was sedated with xylazine (0.03 mg/kg, IV) and restrained in the standing position for a flank approach. For the two calves, 2% lidocaine was administered by local infiltration, along the proposed incision line. Following incisions of the skin, muscle and peritoneum, the testis, which was located between the left kidney and inguinal canal, was grasped, exteriorized out of the abdominal cavity and detached from the gubernaculum testis. Then spermatic cord was ligated and cut. Finally, the testis was removed. An assistant was required to restraint a calf in dorsal recumbency for paramedian approach, and cryptorchidectomy was carried out with operator in a rather uncomfortable squatting posture, while restraint was rather simple and cryptorchidectomy was proceeded with operator in a standing posture where the flank approach was taken. During surgery, the gubernaculum testis was more strained during pulling the testis in the flank approach than in the paramedian approach, as the distance between incision site and the gubernaculum testis was greater in the flank approach than that in the paramedian approach. On the other hand, intra-abdominal pressure was greater in the paramedian approach than in the flank approach during surgery. The elapsed time between restraint and the end of surgery was 10 min shorter where the flank approach (35 min) was taken, than where the paramedian approach (45 min) was taken. In conclusion, this cas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flank approach might be more convenient than the paramedian approach for abdominal unilateral cryptorchidectomy in calves.

안장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Saddle Prosthesis)

  • 박일형;인주철;이종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3-144
    • /
    • 1995
  • 고관절 제거후 재건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안장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동종골 이식술후 고관절 전치환술, 열처리한 자가골 재삽입 후 고관절 전치환술, 좌골 대퇴골간 유합술, 가동 관절로 그대로 두는 방법 등에 비해서 수술 시간의 단축에 의한 감염율 및 기타 이환율의 감소, 술후 조기 보행 가능, 좌식 생활을 하는 한국인의 생활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 방법은 Modular system으로 다리 정렬 상태를 잘 보존시킬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추후 골 재건술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자들은 비구를 침범한 악성 골 종양을 제거 고관절의 재건을 위해 3예에서 안장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이중 1예에서 가역성 서혜부 탈장이 관찰되었으나 12개월, 19개월(사망), 27개월의 추시 관찰 결과 자가 보행,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하고, 쪼그려 앉기와 방바닥에 앉을 수 있으며, 통증없이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구를 침범한 골 종양 제거후의 고관절 재건술의 좋은 방법으로 판단되어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큰눈자미 배아의 식물성 스테롤 함량 및 성숙기 흰쥐에서 항산화 효과 (Phytosterols content of Keunnunjami germ and its antioxidative effects in adult rats)

  • 량지에;마징원;정수임;강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2호
    • /
    • pp.99-11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성 쌀인 큰눈자미 배아의 phytosterols 함량 및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성숙기 흰쥐에게 보충 급여한 당질 대사, 항산화 활성 및 일부 cytokines 개선 효과 여부를 검증하였다. Phytosterols 분석에서 NG보다 KG의 campesterol과 stigmasterol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NG에 비해 KG가 DPPH 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 및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동물은 각 10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일반 식이를 급여하는 NC군, 일반현미배아 3%를 첨가하는 NG3군, 큰눈자미배아 3%를 첨가하는 KG3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그 결과 KG3군에서 체중증가량, 신장주위 및 총 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당질 대사에서 실험군들 간에 glucose, 인슐린, C-peptide 및 HOMA-IR의 수준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KG3군에서 혈중 TNF-α 수준이 NG3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eptin, AOPP 및 IL-6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큰눈자미 배아는 높은 함량의 phytosterols과, 우수한 in vitro 항산화활성, 그리고 in vivo 실험에서 일부의 cytokine 개선 및 항산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고 향후 더 많은 생리활성물질 분석, 대사 지표 개선, 작용 기전 규명 등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eriche's 증후군에서 흉부하행대동맥-양측 대퇴동맥 우회술 (Descending Thoracic Aorto-bifemoral Artery Bypass Grafting in a Leriche's Syndrome)

  • 정재호;손호성;이은주;손국희;강문철;이성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104-106
    • /
    • 2009
  • Leriche 증후군 환자에서 병변이 신동맥 상방까지 진행된 양상을 보일 경우, 직접적인 대동맥-대퇴동맥 우회술이 불가능 할 수 있어 현재까지 비해부학적 우회술 등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혈관 개통율 측면에서 볼 때 그리 매우 좋은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어, 여러 가지 수술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통증으로 인해 보행에 제약을 받고 있던 48세 Leriche 증후군 환자에서 14 mm 인조혈관과 14-7-7 mm Y자형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흉부하행대동맥-양측 대퇴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좌측 후측방 개흉술, 개복술 및 양측 대퇴부위 절개를 이용하여 흉부 하행 대동맥 및 대퇴동맥에 측단문합으로 인조혈관을 연결하였고, 두 인조혈관을 단단문합하여 수술을 진행하였다. 수술 후 환자는 별다른 문제없이 회복하여 퇴원하였다. 퇴원 후 6개월째 경과 양호한 상태로 외래 통해 관찰 중이다. 흉부하행대동맥-양측 대퇴동맥 우회술은 직접적인 대동맥-대퇴동맥 우회술이 어려운 경우 충분히 고려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Neurolysis for Megalgia Paresthetica

  • Son, Byung-Chul;Kim, Deok-Ryeong;Kim, Il-Sup;Hong, Jae-Taek;Sung, Jae-Hoon;Lee, Sa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1권6호
    • /
    • pp.363-366
    • /
    • 2012
  • Objective : Meralgia paresthetica (MP) is a syndrome of pain and/or dysesthesia in the anterolateral thigh that is caused by an entrapment of the 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 (LFCN) at its pelvic exit. Despite early accounts of MP, there is still no consensu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neurolysis or transaction treatments in the long-term relief for medically refractory patients with MP. We retrospectively analyzed available long-term results of LFCN neurolysis for medically refractory MP in an effort to clarify this issue. Methods : During the last 7 years, 11 patients who had neurolysis for MP were enrolled in this study. Nerve entrapment was confirmed preoperatively by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r a positive response to local anesthetic injection. Decompression of the LFCN was performed at the level of the iliac fascia, inguinal ligament, and fascia of the thigh distally. The outcome of surgery was assessed 8 weeks after the procedure followed at regular intervals if symptoms persisted. Results : Twelve decompress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11 patients over a 7-year period. The average duration of symptoms was 8.5 months (range, 4-15 month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3 months (range, 12-60 months). Complete and partial symptom improvement were noted in nine (81.8%) and two (18.2%) cases, respectively. No recurrence was reported. Conclusion : Neurolysis of the LFCN can provide adequate pain relief with minimal complications for medically refractory MP. To achieve a good outcome in neurolysis for MP, an accurate diagnosis with careful examination and repeated blocks of the LFCN, along with electrodiagnosis seems to be essential. Possible variation in the course of the LFCN and thorough decompression along the course of the LFCN should be kept in mind in planning decompression surgery for 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