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ed Trading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정보거래자의 옵션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의 지수옵션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tion Selection of Informed Traders: A Case of Korean Index Options)

  • 최병욱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33-49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tion selection and optimal trading of informed traders in KOSPI 200 options market based on the PIN (probability of informed trading) model of Easley et al.(2002).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ses TAQ (trade and quote) data provided by Korean Exchanges (KRX) which contains all the bids and trades recorded during the continuous auction trading hours for the KOSPI 200 options between May 2019 and September 2020. Findings -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IN between call and put options in the 2019 data, but the PIN of put options was slightly higher in 2020. Second, regardless of the type of option, the PIN was higher for in-the-money (ITM) options, and the PIN of out-of-the-money (OTM) options was the same as or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at-the-money (ATM) options. Third, we found that the PIN decreases as trading liquidity increases, and fourth, the PIN increased sharply as the expiration date approached, especially for OTM options, while ITM and ATM options showed relatively weak effects. Fifth, for foreign and institutional investors, the periodicity of orders was observed in milliseconds, especially for foreign investors, where the periodicity of orders was clear and frequent in OTM op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urpose of option trading varies depending on the money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formed trader.

선물 유통시장에서 시장지배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rket Power in Futures Distribution)

  • 유원석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11호
    • /
    • pp.73-82
    • /
    • 2017
  • Purpose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 profit maximizing incentive of foreign traders in distributing the KOSPI 200 Futures. Such an incentive may induce unsophisticated retail traders to suffer loss from speculative trading. Since Korean government increased the entry barriers of the market to protect unsophisticated traders, the market size has been decreasing while the proportion of the contract held by foreign traders has been increasing. These on going changes make the market imperfectly competitive, where a profit maximization incentives of foreign traders are expected to grow. In this paper, we attempt to find any evidence of such behavior, thereby providing implications regarding market policy and market efficienc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ccording to Kyle(1985), an informed trader exploits his/her monopoly power optimally in a dynamic context so that he/she makes positive profit, where he/she could conceal his/her trading utilizing noise trading as camouflage. We apply the KOSPI 200 Futures market to the Kyle's model: foreign traders who take into account the effect of his/her trading to maximize expected profits as an informed trader, retail investors as noise traders, and financial institutions as market makers. To find any evidence of monopolistic behavior, we test the variants of trading volume and price data of the KOSPI 200 Futures over the period of 2009 and 2017. Results - First, we find that the price of the KOSPI 200 Futures are more volatile than the price of underlying asset. Second, we find that monopolistic foreign trader's trading order flows are consistent with exploiting his/her monopoly power to maximize profit. Finally, we find that retail investors' trading order flows are inversely consistent with maximizing profit, that is, uninformed retail investors suffer loss continuously in speculative trading against informed traders. Conclusions - Our results show that the quantity of strategic order flows may have a large effect on the price, therefore, resulting the market inefficiency. The results also imply that, in implementing regulations, the depth of the market must be considered to maintain market liquidity, and suggesting interesting research topics regarding the market structure.

암호화폐 거래자 사이에 형성되는 정보 비대칭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Asymmetry among Cryptocurrency Traders)

  • 박민정;채상미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3호
    • /
    • pp.29-41
    • /
    • 2019
  • As users' interests of cryptocurrency has been increased, investment volume of it also increases. In the cryptocurrency market, it cannot always be distributed homogenous information to all investors, similar to the stock market because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market microstructure. Cryptocurrency traders, thus, like stock investors, can experience the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market and cannot but help to depend on private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trading intensity of informed traders and uninformed traders among cryptocurrency investors around the world based on PIN (Probability of Informed Trading). We have an aim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asymmetry according to the ten types of cryptocurr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event the continuous increase of suspicious transactions related to cryptocurrenc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ound cryptocurrency market.

정보거래자와 브로커가 동시에 거래하는 전략적 모형의 타당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Validity of Strategic Trading Models with Concurrent Broker and Informed Trader)

  • 김승탁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1호
    • /
    • pp.43-5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증권시장의 자료를 이용하여 브로커와 정보거래자가 동시에 거래하는 전략적 거래모형들의 기본적인 가정에 관한 타당성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간단히 요약한 뒤 관련되는 경험적 연구들을 외국의 연구와 국내의 연구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우리나라의 KOSPI 200 주가지수 선물시장에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간 737일 간의 일별 거래현황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간 동안의 평균적 거래로 보아 외국인과 증권회사 간의 거래는 김승탁(2000) 모형의 정보거래자와 브로커의 거래와 일치하는 반면에 증권회사와 개인의 거래결과는 김승탁 모형의 가정과 일치하지 않았다. 둘째, 각 유형별 투자자들의 비기대순매수량 증가율 간의 교차상관함수 분석을 통하여 2001년과 2003 기간 중 일별거래 전체에서는 외국인과 증권회사, 그리고 개인은 특별히 서로 상관된 거래를 수행한다는 증거를 찾을 수는 없었다. 셋째, 비기대순매수량의 변화가 가장 큰 30개 거래일과 가장 적은 30일 동안의 외국인투자가, 증권회사 및 개인투자가 등 각 유형별 투자자들의 거래 형태에 관한 적합도 검정을 통하여 각 당사자들의 거래는 서로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를 통하여 김승탁 모형의 기본적 가정의 타당성을 간접적으로 지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공시시차를 이용한 전략적 매매의 개연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ossibility of Strategic Trade using Disclosure Interval)

  • 고혁진;박성호;임준규;박영석
    • 재무관리연구
    • /
    • 제26권4호
    • /
    • pp.165-189
    • /
    • 2009
  • 본 연구는 지분공시와 같은 증권시장의 제도가 투자자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자본시장통합법 개정 이전의 공시규정에 따르면 내부자는 본인의 거래를 공시하는데 있어 매매시점과 공시시점 사이에 공시시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정보거래자는 공시시차를 이용하여 분할매매를 통해 본인의 거래를 은닉할 수 있으며, 분할매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능한 공시시차를 길게 가져갈 유인을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공시시차를 이용한 정보거래자의 전략적 행동이 국내시장에 존재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들의 전략적 행동이 공시일 이후의 초과수익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이들의 은닉전략이 성공했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추종거래의 존재를 가정하여 추종거래의 주가 영향력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시공시 의무가 없는 주요주주의 경우 공시시차를 최대한 길게 가져갈 수 있는 월초에 매매를 시작하는 빈도가 다른 시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거래자들이 공시시차를 이용하여 전략적으로 행동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해주고 있다. 또한 중규모정보에 있어서 전략변수가 가장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이 전략적인 매매를 통하여 초과수익을 실현했다는 실증적 근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매도거래의 경우 매매일 시점에 주가가 과민반응하였으며, 공시일 이후 과도하게 하락한 부분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나 추종거래의 개연성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투자자집단별 선택적 종목거래활동의 정보효율성 검증 (A Study on Information Efficiency in Stock Selection by Various Investor Type)

  • 이성훈;이정진;이재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1호
    • /
    • pp.65-80
    • /
    • 2015
  • 본 연구는 완전자본시장이 성립하는 경우 시장참가자들이 소유 및 거래하는 포트폴리오의 형태가 시장포트폴리오여야 한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그들이 거래하는 포트폴리오가 시장포트폴리오의 모습과 다르다면 이는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가지고 거래를 하였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매수-매도 거래별로 시장포트폴리오로부터의 이격정도를 측정하는 선택적 종목거래활동 강도 지표를 구성하고 가격비율과의 회귀분석을 통해 특정 투자자집단의 거래가 정보거래인지를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개인 투자자집단의 종목선택행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회귀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일관적이지 못 하고 그 크기 또한 경제적 의미를 부여할만큼 크지 못 하기에 이들의 거래는 정보거래와는 무관한 거래라고 판단된다. 기관 투자자집단의 경우 회귀계수가 유의적인 음(-)으로 나와 그들의 거래는 정보거래와는 거리가 멀다고 판단된다. 외국인 투자자집단의 경우 매도 거래행위에서 일관적인 양(+)의 회귀계수가 나타남을 통해 정보거래를 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Yoo(2008)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흥시장에서는 외국인투자자가 상위 정보거래자, 기관투자자가 하위 정보거래자, 개인투자자는 비정보거래자의 역할을 한다고 보는 견해와 일치된다.

  • PDF

VPIN과 고빈도 자료를 활용한 거래기법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rading Techniques Using VPIN and High Frequency Data)

  • 정대성;박종해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4호
    • /
    • pp.79-93
    • /
    • 2019
  • 본 연구는 VPIN(volume synchronized probability of informed trading, 거래량 기반 정보거래확률)의 KOSPI200과 KOSPI200 선물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발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시차의 회귀분석결과 VPIN의 수준이 높은 경우 KOSPI200의 수익률과 변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VPIN 측정 전후의 KOSPI200 수익률과 KOSPI200 선물의 수익률은 VPIN과 양(+)의 관계를 보였으며, VPIN을 측정한 시점 이후 KOSPI200 누적수익률에 약 10분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KOSPI200 선물의 누적수익률은 약 15분까지 양(+)의 값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10분위로 구분한 포트폴리오별 결과, VPIN의 수준이 높은 포트폴리오는 KOSPI200수익률과 KOSPI200 선물수익률이 높게 관찰되고 있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거래전략 지표로서의 VPIN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사전적으로 KOSPI200과 KOSPI200 선물 시장의 변동성 예측과 미래가격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측정치로 금융시장에서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예고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Risk-Averse Insider and Asset Pricing in Continuous Time

  • Lim, Byung Hwa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9권1호
    • /
    • pp.11-16
    • /
    • 2013
  • This paper derives an equilibrium asset price when there exist three kinds of traders in financial market: a risk-averse informed trader, noise traders, and risk neutral market makers. This paper is an extended version of Kyle's (1985, Econometrica) continuous time model by introducing insider's risk aversion. We obtain not only the equilibrium asset pricing and market depth parameter but also insider's value function and optimal insider's trading strategy explicitly. The comparative static shows that the market depth (the reciprocal of market pressure) increases with time and volatility of noise traders' trading.

외국인 거래정보를 이용한 트레이딩시스템의 성과분석 (Performance Analysis on Trading System using Foreign Investors' Trading Information)

  • 김선웅;최흥식
    • 경영과학
    • /
    • 제32권4호
    • /
    • pp.57-67
    • /
    • 2015
  • It is a familiar Wall Street adage that "It takes volume to make prices move." Numerous researches have fou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rading volume and price changes. Recent studies have documented that informed traders have strong influences on stock market prices through their trading with distinctive information power. Ever since 1992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in Korea, it is said that foreign investors make consistent profits with their superior information and analytical skills. This study aims at whether we can make a profitable trading strategy by using the foreign investors' trading information. We analyse the relation between the KOSPI index returns and the foreign investors trading volume using GARCH models and VAR models. This study suggests the profitable trading strategies based on the documented relation between the foreign investors' trading volume and KOSPI index returns. We simulate the trading system with the real stock market data. The data include the daily KOSPI index returns and foreign investors' trading volume for 2001~2013. We estimate the GARCH and VAR models using 2001~2011 data and simulate the suggested trading system with the remaining out-of-sample data.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KOSPI index returns and contemporaneous foreign investors' trading volume. Second, we also foun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KOSPI index returns and lagged foreign investors' trading volume. But the relation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our suggested trading system showed better trading performance than B&H strategy, especially trading system 2. Our results provide good information for uninformed traders in the Korean stock market.

Synchronous Price Discovery of Cross-Listings

  • Chen, Haiqiang;Choi, Moon Sub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20권1호
    • /
    • pp.11-16
    • /
    • 2014
  • Extending from Grossman and Stiglitz (1980), we provide an asset pricing model of a synchronously traded cross-listed pair under information asymmetry. Following Garbade and Silber (1983), the model further embraces multi-market price discovery in a dynamic framework.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price sensitivity of holdings is higher for informed traders than for uninformed traders; the largest cross-border price spread occurs in the absence of arbitrageurs; price discovery is more likely in markets with a larger population of informed traders; and parity convergence accelerates with a higher price elasticity of demand of arbitrage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