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ve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34초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family Colchicaceae (Liliales)

  • Thi, Nguyen Pham Anh;Kim, Jung-Sung;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9-19
    • /
    • 2012
  • The Colchicaceae comprising 250 species and 15-19 genera of rhizomatous or cormous perennials, the moderate sized family in Liliales, distributes widely through the temperate and tropical areas of Africa, Asia and North America. The division of two subfamilies in Colchicaceae is still unclear because of different results in previous studies. Moreover, sister taxa of this family has not been determined. In genus level, it was uncertain that whether expand circumscription of three genera of Colchicum, Gloriosa, and Wurmbea which are include Androcymbium, Littonia and Onixotis, respectively, is reasonable or not. In this study, three coding genes of atpB, matK and rbcL were analyzed to reconstruct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Colchicaceae and both of maximum parsimony (MP) and Bayesian analysis were conducted. Among three genes, matK region was most variable and provided more parsimony-informative sites, whereas the atpB and rbcL regions were similar in the variation and number of informative characters. Monophyly of Colchicaceae was strongly supported and it was divided into two subfamilies (Wurmbeoideae and Uvulariodeae). Uvularia-Disporum clade, comprises the subfamily Uvularioideae, is a sister of the rest Colchicaceae and subsequently differentiated Burchardia was a sister within subfamily Wurmbeoideae. Burchadia was used to be supposed to be a sister of the family in the previous studies. It was clear the monophyl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six tribes sensu Vinnersten and Manning (2007) within the family. In addition, the expanded circumscription of three genera was also strongly supported; Colchicum-Androcymbium (BP99), Wurmbea-Onixotis (BP100), and Littonia-Gloriosa (BP100). Here, we propose a re-circumscription among taxa of Colchicaceae.

  • PDF

cpDNA와 ITS 염기변이에 근거한 신품종 생장알로에 유전적 상관관계 (Genetic relationship of Aloe vera 'Saengjang', a new forma, based on cpDNA and ITS sequence variation)

  • 크리쉬나모르씨;장선일;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50-256
    • /
    • 2014
  • 본 연구는 3개의 색소체 matK, trnL-F, rbcL DNA 염기서열과 1개의 핵 ITS DNA 염기서열을 근거로 한국산 Aloe 3종 A. arborescens, A. vera 그리고 A. saponaria 등과 하나의 변이종 알로에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알고자 수행되었다. 전체 2,420 bp 서열이 증폭되었다. 두 개의 삽인-결실(indel)이 trnL 지역에서 확인되었고, 또한 여러 개의 종 특이적인 염기자위가 전체 29개의 최소변이 정보지역(parsimonious informative site)에서 확인되었다. 조사된 한국산 4 종간에는 148 염기변이 지역이 있었으며, 세계산 Aloe 종들을 포함한 비교해서는 170개의 변이지역 중 75개의 최소변이 지역이 확인되었다. UPGMA를 이용한 phenogram에서 새로운 변이종 알로에는 A. vera와 가장 가깝게 유집되었다. 변이종 알로에는 아직까지 보고된 어떤 종류의 Aloe속내 종과 형태적 및 유전적으로 일치하지 않았다. 조사된 알로에 종들의 유집분석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종속적인 중도절단을 가진 동물종양 자료의 분석을 위한 모형 (Analysis of Tumorigenicity Data with Informative Censoring)

  • 김진흠;김윤남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5호
    • /
    • pp.871-882
    • /
    • 2010
  • 동물종양 실험에서는 종양발생 시간이 직접 관찰되지 않고 단지 자연사로 인한 관찰 시점이나 강제적으로 희생시킨 시점 이전에 종양이 발생했는지 유무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결측을 가진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3단계(건강$\rightarrow$종양발생$\rightarrow$사망) 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사로 인한 사망 시간이 종속적인 중도절단으로 작용하여 사망 시간과 종양발생 시간이 종속될 때, 이를 모형에 반영하기 위해 감마 프레일티 효과를 도입하였다. 모수 추정은 종양발생 시간과 프레일티 효과의 결측을 다루기 위해 EM 알고리즘 방법을 사용하였다. 제안한 추정량의 소표본 성질을 살펴보기 위해 제안한 방법을 Lindsey와 Ryan (1993, 1994)의 방광암 자료에 적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으며, 그 추정값을 바탕으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응답률이 관심변수의 지수함수를 따를 경우 정보적 표본설계 기법을 이용한 모수추정 (Estimation using informative sampling technique when response rate follows exponential function of variable of interest)

  • 정희영;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6호
    • /
    • pp.993-1004
    • /
    • 2017
  • 표본조사에서는 추정의 정확성 및 정밀성 향상을 위해 흔히 층화추출법을 사용하며 층 내에서는 동일한 표본 가중치를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한다. 그러나 실제 응답률은 관심변수 값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어진 동일한 가중치는 응답률을 반영하여 보정되어야 한다. 또한 관심변수가 연속형 보조변수와 선형 관계가 있고 보조변수를 기준으로 층이 나누어진 경우에는 층 내에서 동일한 가중치를 사용하는 것 보다 층을 세분화한 후 얻어진 가중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률이 관심변수 자료 값의 지수함수이고, 관심변수가 보조변수와 선형 관계가 있을 때 정보적 표본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실습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임선아;윤혜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35-942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420 dental hygiene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from March 8 to April 8, 2014. Except 26 incomplete answers, 394 data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7 questions), social support(7 question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clinical practice(22 questions). The instrument for satisfaction level with clinical practice included self-esteem(1 question), interest and usefulness(2 questions), knowledge application(1 question), place of clinical practice(1 question), and influence by practice leader(1 question). Cronbach alpha was 0.773 in the study. The instrument of social support was adapted from Park and reconstructed. Social support included emotional support(11 questions), self-esteem support(7 questions), and informative support(4 questions). Social support was score by Likert 5 scale and higher score showed the higher social support. Results: The dental hygiene students got a mean of $3.11{\pm}0.55$ i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y got 3.35 points i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3.32 in satisfaction with curricula(p<0.001). They got a mean of $3.68{\pm}0.55$ in social support. They got $3.69{\pm}0.57$ in emotional support; $3.81{\pm}0.59$ in self-esteem support; and $3.53{\pm}0.66$ in informative support. The influencing variables o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ere self-esteem support(B=0.202), satisfaction with major(B=0.234), and satisfaction with curricula (B=0.128). Conclusions: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enhance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connect self-esteem support with major satisfaction and curricula satisfaction.

Molecular Systematics of the Tephritoidea (Insecta: Diptera): Phylogenetic Signal in 16S and 28S rDNAs for Inferring Relationships Among Families

  • Han, Ho-Yeon;Ro, Kyung-Eui;Choi, Deuk-Soo;Kim, Sam-Ky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45-151
    • /
    • 2002
  • Phylogenetic signal present in the mitochondrial 16S ribosomal RNA gene (16S rDNA) and the nuclear large subunit ribosomal RNA gene (28S rDNA) was explored to assess their utility in resolving family level relationships of the superfamily Tephritoidea. These two genes were chosen because they appear to evolve at different rates, and might contribute to resolve both shallow and deeper phylogenetic branches within a highly diversified group. For the 16S rDNA data set, the number of aligned sites was 1,258 bp, but 1,204 bp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sites of ambiguous alignment. Among these 1,204 sites, 662 sites were variable and 450 sites were informative for parsimony analysis. For the 28S rDNA data set, the number of aligned sites was 1,102 bp, but 1,000 bp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sites of ambiguous alignment. Among these 1000 sites, 235 sites were variable and 95 sites were informative for parsimony analysis. Our analyses suggest that: (1) while 16S rDNA is useful for resolving more recent phylogenetic divergences, 28S rDNA can be used to define much deeper phylogenetic branches; (2) the combined analysis of the 16S and 28S rDNAs enhances the overall resolution without losing phylogenetic signal from either single gene analysis; and (3) additional genes that evolve at intermediate rates between the 16S and 28S rDNAs are needed to further resolve relationships among the tephritoid families.

가족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아동의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act of each family communication type on children's use of media)

  • 이우현;임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73-179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족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라 미디어 이용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미디어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TV(F=6.719, p<.05), PC(F=7.713, p<.05), 휴대전화(F=6.404, p<.05)이용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응지향형인 권위형은 TV 이용에서는 이용시간이 많고 오락적 프로그램을 선호하며, PC 이용에서는 오락적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대화지향인 협의형은 TV 이용에서는 교양, 정보 프로그램을 선호하였으며, PC 이용에서는 정보적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의 효과적인 미디어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신정보소외계층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지역별 정보화 교육과정 (Regional Information Education To Vitaliz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of New Information Alienated Class)

  • 안미리;황윤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7-5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로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사회참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정보 소외계층인 이주민 여성의 지역별 정보화 실태를 분석하고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이주민 여성의 정보화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민 여성이 제일 많이 하는 활동은 취미 및 여가 활동이었고 지역별로는 정보화 교육을 활발히 하고 있는 지역과 도시지역이 전체적으로 사회 활동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경상북도와 광주 등과 같은 지역의 사회참여활동을 위해서는 가장 기초적인 정보화 교육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서울과 대전, 제주도와 같이 활발한 사회참여활동이 이미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정보화 트랙을 연계한 더 높은 수준과 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환자가 인식한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치료지시이행과 치과서비스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dental care compliance and service satisfaction of patients depending on dental hygienists' communication patterns perceived by patients)

  • 김선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943-955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to improve dental hygienists' competencies to communicate with patients to increase the compliance and dental service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data given to patients on dental hygienists' communication patterns with pati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aimed to serve as th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es on related area.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o ordinary people with experiences of receiving dental treatment in Gwangju and Jeonnam from July 29th 2017 to September 10th 2017. 22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Results: The scores of each communication pattern (informative, friendly, and authoritative patterns) of dental hygienists perceived by research subjects were as follows: $3.76{\pm}0.76$, $3.47{\pm}0.62$, and $2.64{\pm}0.70$ respectively. I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patterns on the compliance of patients,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ve communication pattern (${\beta}=0.227$, p=0.008) and friendly communication pattern (${\beta}=0.216$, p=0.012) had positive (+) effects. Conclusion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dental hygienists' communication patterns are important elements affecting patients' compliance and their satisfaction. For the smooth patient-centered bilateral communications,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dental hygienists' communication, and also to have continuous researches targeting patient groups for the comparison to meet dental service satisfaction.

효율적인 계획 수립을 위한 동작-기반의 휴리스틱 (A Action-based Heuristics for Effective Planning)

  • 김현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290-6296
    • /
    • 2015
  • 정보력이 높은 휴리스틱들은 해 계획을 찾기 위한 탐색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계획 문제 명세로부터 이러한 정보력이 높은 휴리스틱을 추출하는 것은 매우 많은 계산 노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계획문제로부터 계획 수립을 보다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 상태-동작 기반 계획 그래프와 동작-기반 휴리스틱을 제안한다. 상태-동작 기반 계획그래프는 계획문제 풀이를 위한 휴리스틱 계산에 이용되는 간략화된 계획그래프를 부속 목표와 목표조건들 간의 상호작용을 찾는데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한 자료구조로써, 상태-동작 기반 계획그래프를 이용하는 동작 기반 휴리스틱은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부속 목표와 목표조건들 간의 상호작용을 찾아내고, 이들을 목표 도달 거리 계산에 이용한다. 따라서 동작-기반 휴리스틱은 종래의 최대 휴리스틱, 합산 휴리스틱 보다 더 높은 정보력을 가지며 겹침 휴리스틱보다 더 적은 계산 노력을 통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작-기반 휴리스틱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동작-기반 휴리스틱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적 분석에 대해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