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weakness

검색결과 788건 처리시간 0.027초

CodeBERT 모델의 전이 학습 기반 코드 공통 취약점 탐색 (Detecting Common Weakness Enumeration(CWE) Based on the Transfer Learning of CodeBERT Model)

  • 박찬솔;문소영;김영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10호
    • /
    • pp.431-436
    • /
    • 2023
  • 소프트웨어 공학 영역에 인공지능의 접목은 큰 화두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1) 인공지능을 통한 소프트웨어 공학, 2) 소프트웨어 공학을 통한 인공지능 두 가지 방향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 중 소프트웨어 공학에 인공지능을 접목하여 나쁜 코드 영역을 식별하고 해당 부분을 리팩토링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해당 연구에서 인공지능이 나쁜 코드 요소의 패턴을 잘 학습하기 위해서는 학습하려는 나쁜 코드 요소가 라벨링 된 데이터셋이 필요하다. 문제는 데이터셋이 부족할뿐더러, 자체적으로 수집한 데이터셋의 정확도는 신뢰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코드 데이터 수집 시 전체 코드가 아닌 높은 복잡도를 가진 코드 모듈 영역을 대상으로만 나쁜 코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후 수집한 데이터셋을 CodeBERT 모델의 전이 학습하여 코드 공통 취약점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해당 데이터셋을 통해 CodeBERT 모델이 코드의 공통 취약점 패턴을 더 잘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방법보다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코드를 분석하고 공통 취약점 패턴을 더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C에서의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활용에 대한 연구 (How to Combine Secure Software Development Lifecycle into Common Criteria)

  • 박진석;강희수;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71-182
    • /
    • 2014
  • CC는 평가보증등급에 따라 정보보호제품의 보안취약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다.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은 소프트웨어의 개발 생명주기에서 보안취약점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보안약점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CC는 정보보호제품이 인증된 시점 이전의 보안취약점에 대해선 고려하지만 인증된 시점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보안취약점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보호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국가 및 공공기관의 정보화사업에 도입되는 정보보호제품은 CC와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을 모두 만족시켜야 되기 때문에 개발자, 평가자에게 부담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CC에서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을 활용해야하는 당위성을 검증하기 위해 CC와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이 제거할 수 있는 보안약점 및 보안취약점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또한, CC에서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을 활용하기 위한 평가방법을 제안하여 정보보호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개발자와 평가자의 부담을 최소화하였다.

소스 코드 난독화 기법에 의한 Clang 정적 분석 도구의 성능 영향 분석 (Analysis of Detection Ability Impact of Clang Static Analysis Tool by Source Code Obfuscation Technique)

  • 진홍주;박문찬;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605-615
    • /
    • 2018
  • 사물 인터넷 시장 규모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인 C/C++ 언어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C/C++ 언어의 코드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발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 전반부에서 수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검증기법인 정적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많은 프로그램들이 정적 분석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으며 많은 정적 분석 도구들이 사용 및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lang 정적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검증된 시험 코드에 대한 보안 약점 검출 성능을 확인한다. 또한 소스 코드 난독화 기법인 구획 난독화, 데이터 난독화, 제어 흐름 난독화 기법이 각각 적용된 시험 코드에 대한 정적 분석 결과와 원본 시험 코드에 대한 정적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소스 코드 난독화 기법에 따른 Clang 정적 분석 도구의 성능 영향을 분석한다.

Design of Evaluation Index System for Information Experience based on B2C e-Commerce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KANG, Jangmook;HU, Haibo;CHEN, Yinghui;LEE, Sa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4호
    • /
    • pp.1-8
    • /
    • 2019
  • The online retail market continues to grow, especially in China, as e-commerce has developed rapidly in recent years in many countries. Meanwhile, the development and use of new network information technology provides consumers with various contact and experience environments for online shopping. Based on the theory of media weakness, the study began to focus consumer experience on the nature of commercial transactions. The study proposed and designed an initial measure of the consumer information evaluation index, which combines previous findings with implications. Finally, the five-dimensional B2C system was established to evaluate consumers' information experience providing information display, information interaction, information support and information personalization. We researched on evaluation index system for information experience of B2C e-commerce consumers based on samples of Chinese consumers.

노인의 색지각적 특성을 고려한 유료 노인주거 실내공간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 of Fee Charging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Elderly reflected in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

  • 송춘의;김문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47-256
    • /
    • 2007
  • 본 연구는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이 노화되어 감으로서 노인의 시각 노화과정에서 보이는 시지각과 관련된 정보습득 및 해석상의 색지각을 통한 특징을 반영하여 노인의 주 생활환경인 유료 노인주거 시설의 실내 공용공간의 설계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시각과 70세와 80세 후반까지를 모의 수정체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시지각을 통한 색채의 오류판단을 파악하였다. 노화에 따른 노인의 황변화 및 색지각 특성을 바탕으로 실내 공용공간의 색채 설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지 배색으로 유사조화 보다 대비조화를, 한색보다 난색계열을 사용함를 파악하였으며, 노인의 황변화에 따른 색지각 특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중증 언어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for Person with Language Disabilities)

  • 홍승욱;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24-327
    • /
    • 2006
  • 언어 장애를 가진 사람들 중에서는 언어 장애와 더불어 신체적인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루게릭병이라 불리는 ALS병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는 시간이 지날수록 장애의 정도가 변하여, 간병인 혹은 주변의 가족들과의 의사소통이 되었던 사람들도 간단한 의사소통도 어려운 상황이 되는 것이 보편적인 경우이다. 따라서 본 연구개발에서는 루게릭병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분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이러한 사람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것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미리 입력해두고 선택함으로써 의사를 전달하거나, 화상키보드를 통해 확장된 언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체의 불편함으로 인해 기존 입력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마우스의 클릭이라는 간단한 입력만으로 화면의 내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능들의 구현 및 그 방법에 대해 논해보고, 향후 발전될 방향을 살펴보았다.

  • PDF

Classification of Diagnostic Information and Analysis Methods for Weaknesses in C/C++ Programs

  • Han, Kyungsook;Lee, Damho;Pyo, Changw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81-88
    • /
    • 2017
  • In this paper, we classified the weaknesses of C/C++ programs listed in CWE based on the diagnostic information produced at each stage of program compilation. Our classification identifies which stages should be responsible for analyzing the weaknesses. We also present algorithmic frameworks for detecting typical weaknesses belonging to the classes to demonstrate validness of our scheme. For the weaknesses that cannot be analyzed by using the diagnostic information, we separated them as a group that are often detectable by the analyses that simulate program execution, for instance, symbolic execution and abstract interpretation. We expect that classification of weaknesses, and diagnostic information accordingly, would contribute to systematic development of static analyzers that minimizes false positives and negatives.

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에 기반한 PDL의 시스템 요구사항 (A PDL′s System Specifications Based on the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 김경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27-244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구축되어 있는 PDL(Personal Digital Library)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용자 중심의 PDL을 구축하기 위한 개발 철학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PDL은 대학생을 잠재적 이용자 그룹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정보추구행태와 관련한, 특히, 지식활동과 관련한 정보요구와 이용 그리고 관리 행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한 자료에 기초하여 대학생들이 바라는 PDL에 대한 시스템 요구사항을 개념적으로 제시하였다.

A Survey on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Image Steganography and Steganalysis

  • Hussain, Israr;Zeng, Jishen;Qin, Xinhong;Tan, Shunqu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3호
    • /
    • pp.1228-1248
    • /
    • 2020
  • Steganalysis & steganography have witnessed immense progress over the past few years by the advancement of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DCNN). In this paper, we analyzed current research states from the latest image steganography and steganalysis frameworks based on deep learning. Our objective is to provide for future researchers the work being done on deep learning-based image steganography & steganalysis and highlights the strengths and weakness of existing up-to-date techniques. The result of this study opens new approaches for upcoming research and may serve as source of hypothesis for further significant research on deep learning-based image steganography and steganalysis. Finally, technical challenges of current methods and several promising directions on deep learning steganography and steganalysis are suggested to illustrate how these challenges can be transferred into prolific future research avenues.

웹 취약점 점검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for Web Weakness Application)

  • 이승찬;장원준;조남현;조현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17-219
    • /
    • 2017
  • 이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의 취약점을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웹 취약점 점검을 위해서 Nikto와 Nmap을 이용했고, 취약점 분석 보고서를 시간 순으로 보기 위해 보고서에 순번을 정해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웹 취약점 번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효율적으로 웹 서버의 취약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