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정보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Smart Phone Users)

  • 오세나;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1-209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등장한 정보탐색매체인 스마트폰을 통한 이용자들의 정보탐색행태를 탐색주제와 고려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단순한 사실을 제시하거나 실시간으로 요구되는 성격의 주제에 대한 탐색 빈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웹과 모바일 정보탐색행태에서 고려되는 요인들을 스마트폰 정보탐색행태에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요인들이 스마트폰 정보탐색에서도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onsumers' Channel Selection Behavior Based on Psychological Distance Cue: Regulatory-Focus as Moderator

  • Jungyeon Sung;Sangcheol Park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2호
    • /
    • pp.248-267
    • /
    • 2019
  • As merging online and offline channels into one single platform, individuals could easily and frequently switch between online and offline channels. In order for understanding such unique behavior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why and how consumers choose their channels to search and purchase a product. We have drawn on multiple theories that have been used to explain individuals'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i.e., construal level theory and regula-tory focus theory) in order to develop and tested two-way ANOVA based models of how both regulatory focus (e.g., promotion vs. prevention) and product types (e.g., experience goods vs. searching goods) including the psychological distance cue separately and jointly affect individuals' channel selection behavior (e.g., intention to use single channel vs. intention to use cross-channels). Our results have indicated that consumers with promotion-focus are more likely to use a single channel in experience goods rather than in searching goods when there exists the psychological cue. Based on our findings, the implication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대학생들의 건강정보 접근이 건강행태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pproach to health information on improvement of health behavior)

  • 김승대;김명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268-3275
    • /
    • 2015
  • 본 연구는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건강관리를 하는데 있어 건강정보를 어떻게 접근하여 획득하느냐에 따라서 건강행태 개선이 얼마나 이루어지는지 파악하고 건강행태 개선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언을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경북의 일개 대학의 224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TV의 건강 관련 방송과 건강 관련 서적보다 인터넷 검색에 대한 분석결과가 유의미하였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B=.103(p=.007), 건강정보 접근빈도가 많아질수록 B=.137(p=.008), 기존의 건강행태 점수가 높을수록 B=.431(p=.000)만큼 건강행태 개선의 점수가 증가하였다. 인터넷이 건강정보 검색에 있어 가장 인기가 있었는데 원하는 정보를 즉시 탐색하여 비교적 금방 얻어낼 수 있는 점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TV의 건강 관련 방송은 건강전문가 등이 출현하여 건강정보를 알려주므로 질적인 측면에서는 인터넷 건강정보보다 우수하나 맞춤식으로 방송을 보기에는 어느 정도 무리가 있으나 건강 관련 서적과 방송은 인터넷에서 다시보기 및 e-book으로 전환되는 점에서 인터넷 건강정보와 구분이 모호해지는 면이 있다.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탐색자의 탐색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rching Behavior of the Online Database Searchers)

  • 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2-73
    • /
    • 1991
  • 본 논문은 탐색자의 개인적 특성이 온라인 서지 데이터베이스 탐색과정 및 탐색 성 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탐색 행태에 관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도서관학과 재학생들을 피험자(N=67)로 하여 측정한 적성, 성격, 정규 교육, 온라인 탐색 교육 효과, 탐 색 과정, 탐색 성과에 대한 29가지 요소를 기초로 하여 9개의 변인을 구성한 후, 12개의 가 설을 검증하여 영향인자를 식별하였고,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5가지의 인과 모형을 구축하 였다.

  • PDF

사회과학 연구자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Social Science Researchers)

  • 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3-38
    • /
    • 1996
  • 본 연구는 사회과학분야에서 학술정보를 이용하는 연구자집단을 표본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연구 및 학술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현실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특성들이 정보이용행태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자료수집은 1995년 7월 약 2주간에 걸쳐 국내 주요 사회과학분야 정보서비스기관 세 곳을 이용하고 있는 임의의 사회과학연구자 15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질문지를 배포, 회수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정보이용행태 특성 규명을 위해서 다섯 가지의 작업가설을 도출,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회과학연구자들은 도서(단행본)나 학술지를 선호하며, 비교적 최신자료에 많이 의존하는 편이다. 이들이 연구착수단계에서 가장 먼저 접하는 정보원은 도서나 학술지에 인용된 참고문헌이다. 문헌탐색은 사서에게 많이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나 온라인 정보검색은 직접탐색하는 편이다. 이들은 또한 최근의 정보기술발전에 따른 급격한 정보환경변화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회과학정보제공을 위한 효율적 정보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나 이용자들에게의 보다 원활한 정보이용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특성과 현실을 감안함이 필수적임이 강조되었다.

  • PDF

의사들의 정보추구행태를 반영한 의학정보시스템 개발 및 평가 (Construction and Feedback of an Information System by Analyzing Physician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 김나원;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1-180
    • /
    • 2016
  • 의사들은 학술연구와 환자진료에 관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있고, 전자정보원을 이용하여 해결하고 있으나 정보원의 선택이나 검색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의사들의 연구와 진료정보요구를 지원할 수 있는 검색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의사들의 정보요구에 적합한 정보원 개발을 위해서 정보이용행태에 관하여 심층인터뷰를 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검색 시스템인 MediSearching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효용성 검증과 제안을 얻기 위해 추가 인터뷰와 테스트검색을 통하여 피드백을 받았다. 의사들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인터뷰 결과 소속병원의 종류나 진료 과목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대학병원 의사들은 연구와 관련된 정보요구가 컸으며 학술지 논문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으나, 전문병원이나 개인병원 의사들은 진료와 관련된 정보요구가 대부분으로 동료와의 대화로 해결하는 형태를 보였다. MediSearching은 연구와 진료정보요구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검색시스템으로 개발되었고, 인터페이스와 검색효용성이 검증되었다. 기존의 한국 의학 정보 사이트에서는 제공 정보의 종류나 검색방법에 따라 서비스 범위가 모두 달라 의사들은 동일한 검색 과정을 반복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이를 해결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파일 형태나 언어와 상관없이 정보원의 추가가 가능하도록 한 점에서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RDL 시계열 모형을 활용한 패션 브랜드의 매출 예측 분석 -패션 브랜드와 광고모델의 웹 검색량, 정보량, 가격할인 프로모션을 중심으로- (Fashion Brand Sales Forecasting Analysis Using ARDL Time Series Model -Focusing on Brand and Advertising Endorser's Web Search Volume, Information Amount, and Brand Promotion-)

  • 서주연;김효정;박민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868-889
    • /
    • 2022
  • Fashion companies are using a big data approach as a key strategic analysis to predict and forecast sa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ast sales, web search volume, information amount, brand promotion, and the advertising endorser on the sales forecasting model. The study conducted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time series model u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ocial big data of a national fashion brand. Results indicated that the brand's past sales, search volume, promotion, and amount of advertising endorser information amou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sales forecast, whereas the brand's advertising endorser search volume and information amoun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ales forecast. Moreover, the brand's promotion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ales forecasting. This study adds to information-searching behavior theory by measuring consumers' brand involvement. Last, this study provides digital marketers with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fitable marketing strategies on the basis of consumers' interest in the brand and advertising endorser.

A Study on Visual Behavior for Presenting Consumer-Oriented Information on an Online Fashion Store

  • Kim, Dahyun;Lee, Seunghe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89-809
    • /
    • 2020
  • Growth in online channels has created fierce competition; consequently, retailers have to invest an increasing amount of effort into attracting consumers. In this study, eye-tracking technology examined consumers' visual behavior to gain an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in exploring product information for fashion products.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image-based elements (model image information and detail image information) and two text-based elements (basic text information, detail text information), after which consumers' visual behavior for each information element was analyzed. Furthermore, whether involvement affects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del image information attracted visual attention the quickest, while detail text information and model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e most visual attention. Additionally, high-involvement consumers tended to pay more attention to detailed information while low-involvement consumers tended to pay more attention to image-based and basic inform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trategies on how to efficiently organize product information for online fashion stores.

Gain From Consumer's Information Searching and Price Dispersion

  • Lee, Jo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59-67
    • /
    • 2014
  • Consumer information influences purchasing behavior; however, less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in the credit market. Credit markets offer consumers a complex array of different products when choosing mortgages. The current study examines whether borrowers search for the very best terms when making major decisions about borrowing money or obtaining credit as well as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consumer information seeking and the cost of credit.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xistence of price dispersion between those who made an extensive information seeking and those who did not. When controlling for the proxies of creditworthiness and demographics of the respondents, it is found that those who made a great deal of information seeking tend to have lower mortgage rates than those who made almost no information seeking. This study offers financial educators and policy makers suggestions on how to help consumers make better financial decisions.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 후의 건강관련 행태 경로 분석 (The Analysis of Health Related Behavior after Using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조희숙;김화종;송예리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2호
    • /
    • pp.121-127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information such as the general health information, the health product information,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and we wan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the health related behavior by analyzing the process after people search the Internet. Methods : A telephone survey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performed by trained surveyors. The respondents were sampled proportionate to the Korean demographic distribution with considering the city size and the populations' ages and gender.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06 to November 2006. Results : Out of 3,758 successfully connected persons of age 20 or more, 871(23.2%) respondents had use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during the last year. The purposes of searching the Internet for health was, 1) to get general health information (717 cases, 81.0%), 2) shopping for health product (109 cases, 12.3%) and 3) seeking information about hospital selection (59 cases, 6.7%). Our research showed that the process after searching the Internet for health information depends on the purpose of the search. 68.8% of the searchers for general health information, 67% of the searchers for health product shopping and 64.4% of the searchers seeking information to guide hospital selection were satisfied with their Internet search. However one third of the respondents reported not being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he search. Conclusions : Unsatisfied consumers with internet health information tended to ask lay referrals from others or they gave up seeking health information. The health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to provide reliable and effective information. Also, a more user-centric community is need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effective role of lay referrals among the internet u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