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Security Budget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 정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of SMEs Support Policy for Information Security in Korea)

  • 장상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32-339
    • /
    • 2020
  • 본 연구는 4차산업 혁명을 뒷받침하고 국가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들이 해킹이나 기술유출 등으로 경제 활동을 할 수 없다면, 이는 국가 사회적, 경제적으로 엄청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정보보호 지원 정책에 대해 형황 및 문제점 분석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분석, 중소기업의 정보보호 실태 현황과 주요국의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 정책에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실수요자인 중소기업들의 정보보호 지원 정책의 우선순위 등을 실태조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향상된 지원 정책으로 정보보호 인식제고 강화, 법적 근거 마련, 자발적 역량강화, 공동 대응체계 구축, 전문인력 및 예산 지원 강화, 지역 안전망 구축, 언택트 시대 지원 강화, 지역 전략산업 보안 내재화 등이 도출되었다. 이는 향후 포스트 코로나19 대비 중소기업의 정보보호 수준 제고를 위한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보호 지원 정책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지방자치단체 자체 복지사업 지출 영향요인 분석 :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한 접근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Welfare Spending of Local Authority : Implementing the Detailed Data Extracted from the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 김경준;함영진;이기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141-156
    • /
    • 2013
  • 그 동안 한국 사회에서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복지사업과 재정지출에 대한 연구는 장애인, 노인, 보육 등 복지사업 대상 등을 중심으로 부문별 복지지출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가 대부분 이루어져 왔다. 최근 지자체의 자체적인 복지노력도 측면에서 자체 사업에 대한 연구가 특정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는 하고 있지만, 자료에 대한 접근과 조사의 한계로 여러 요인이 실증적으로 고려되지 못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내기 어려웠다. 현재 우리사회의 복지예산과 그 지출규모는 국가 예산의 30%에 이를 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복지 전달체계의 효율적 운영과 관리를 위해 사회보장 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하는 지방재정시스템이 아닌 사회보장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지자체 복지재정 지출과 관련, 기존 연구에서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던 전수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조사를 실시하여 학문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한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복지전달체계의 효율화를 위해 구축되었으며, 이를 통해 17개 부처 292개 복지사업이 집행되며, 230개 지자체 4만여 개 복지사업의 정보가 관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지자체 복지사업을 중심으로 지자체 복지지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 복지노력도로 대변되는 순수 시 군 구 복지예산액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기존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인구사회학적, 지역 경제적 그리고 지자체 재정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독립변수 요인간 다중공선성 문제를 점검하였고,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수급자 비율, 영유아 비율, 아동청소년 비율, 복지비 비율, 구인배율,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의 총 7개 독립변수와, 소속 정당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여 결정요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기본모델에서는 복지비 비율, 영유아 비율,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구인배율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존 문헌에서 분석되지 못했던 시 군 구별 복지지출 영향요인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복지예산 총량 데이터에 근거한 기존 연구들이 논의하지 못했던 자체 복지사업 예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구체적으로 밝혀내는데 의의가 있다.

기업용 Endpoint 보안솔루션 도입을 위한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ision Process for Adoption of Enterprise Endpoint Security solutions)

  • 문흥근;노용헌;박성식
    • 정보화연구
    • /
    • 제11권2호
    • /
    • pp.143-155
    • /
    • 2014
  • 최근 국내의 전자, 금융, 전기, 서비스, 제조, 제약 등 기업의 형태를 막론하고 악의적인 해커를 통해 기업 보안사고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기업정보 손실의 피해가 매년 꾸준히 늘어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대다수 기업들은 기업 활동과 관련된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내 다양한 Endpoint 보안솔루션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하게 도입되고 있는 Endpoint 보안솔루션 간에는 과다 예산, 동일한 기능으로 인한 충돌이나 성능 저하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추가적인 유지비용, 충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보안부서의 IT운영상의 새로운 어려움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Endpoint 보안솔루션 도입 및 운영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PC를 중심으로 정보보호 거버넌스에 기반한 Endpoint보안 솔루션 도입 결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침해사고 통계 기반 정보보호 투자 포트폴리오 최적화: 유전자 알고리즘 접근법 (Optimiz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Portfolios based on Data Breach Statistics: A Genetic Algorithm Approach)

  • 임정현;김태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01-217
    • /
    • 2020
  • 정보보호는 기업의 운영과 고객의 신뢰를 보장하는 필수요소이며 침해사고 예방을 통해 불확실한 피해를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정보보호 대책의 선택과 적정투자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산업군에 속해있는 기업에서 정보보호 대책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예산 범위에서 구성할 수 있는 최적의 정보보호 대책 포트폴리오 구성뿐만 아니라, 각 대책의 적절한 투자 수준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산업군별 침해사고 유형 통계를 분석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최적 정보보호 대책 투자 포트폴리오를 도출한다. 도출된 모델을 기존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정보보호 대책 투자 최적화 모델과 비교하고 기업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하여 실제 사례를 분석한다.

정보통신분야 HRD사업에 대한 정부예산 지원의 효율성 분석 : 대학의 IT연구센터를 중심으로 (Efficiency Analysis of Government Budget to HRD Program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 IT Research Center Case)

  • 이중만;전원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55-6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분야 HRD사업 중 매우 중요한 ITRC의 지원요인과 지원성과에 대하여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DEA효율성 분석을 통해 정부예산 지원의 효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ITRC에 대한 지원기간은 과학기술적 연구성과와 인력양성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지원기간이 길다고 하더라도 과학적 연구성과와 인력양성 성과와는 무관함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반면에 정부지원금이 증가하게 되면 인력양성 성과에도 양의 영향을 미치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분야별 ITRC를 DEA분석하면, SW/ 디지털 콘텐츠, 디지털 TV, 정보보호, 지능로봇, 차세대 PC,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크, 통신수학, IT SoC, 등 기술분야는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 Systematic Review on Human Factors in Cybersecurity

  • Alghamdi, Ahme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282-290
    • /
    • 2022
  • A huge budget is spent on technological solutions to protect Information Systems from cyberattacks by organization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invest alone in technology-based protection and to keep humans out of the cyber loop. Humans are considered the weakest link in cybersecurity chain and most of the time unaware that their actions and behaviors have consequences in cyber space. Therefore, humans' aspects cannot be neglected in cyber security field. In this work we carry ou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human factors in cybersecurity. A total of 27 papers were selected to be included in the review, which focuses on the human factors in cyber security. The results show that in total of 14 identified human factors, risk perception, lack of awareness, IT skills and gender are considered critical for organization as for as cyber security is concern. Our results presented a further step in understanding human factors that may cause issues for organizations in cyber space and focusing on the need of a customized and inclusive training and awareness programs.

네트워크 보안 관제를 위한 로그 시각화 방법 (A log visualization method for network security monitoring)

  • 조우진;신효정;김형식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4호
    • /
    • pp.70-78
    • /
    • 2018
  • 정보시스템에서 정보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기업이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예산을 들여도 이를 관리하는 보안 관제가 없으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보안 관제는 문제 발생 시 빠른 대처가 필수적이며, 관제 목적에 맞는 적절한 시각화 대시보드를 설계하여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Elastic Stack을 이용하여 보안 로그를 시각화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관제 목적에 적합한 대시보드로 구현함으로써 제시된 방법이 네트워크 보안 관제에 적합함을 보인다. 대시보드는 비정상적인 트래픽 증가와 공격 경로 분석 등의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소기업 산업기술 유출방지를 위한 정보보호 관리체계 설계 (The Design of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SMEs Industry Technique Leakage Prevention)

  • 장항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1-121
    • /
    • 2010
  • 중소기업들은 산업기술 유출방지에 필요성을 인식하여 많은 예산을 들여 정보보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나, 정보보호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통합적인 정보보호 관리체계에 따라 일관성 있는 정보보호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특정시스템의 단발성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산업기술 유출현황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기업과 차별된 중소기업 산업기술 유출방지를 위한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설계하고 하였다. 세부적으로 중소기업 산업기술 유출현황 및 취약점 등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여 정리하고,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중소기업 산업기술 유출방지 관리체계를 설계한 다음 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은 적정한 정보보호 투자수준을 산정하고 이에 대한 통제도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슈타켈버그 게임 기반 Anti-virus 백신 선택 모형 (An Anti-Virus Vaccine Selection Model Based on Stackelberg Game)

  • 성시일;최인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35-144
    • /
    • 2009
  • 이 연구는 웹기반 시스템의 운영자와 침해자의 전략과 관계된 정보보안문제를 다룬다. 슈타켈버그 게임상황을 이용하여, 백신 선택 문제의 게임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에서 운영자는 잠재적 시스템 침해자에 대응하는 백신조합을 선택하고, 침해자는 운영자의 백신 조합에 가장 효율적으로 침입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한다. 제시된 모형은 운영자의 예산, 시스템 성능 등을 고려한 추가적 현실제약조건을 동시에 고려한다. 더불어, 가정을 적용해 수정된 현실 데이터를 이용하여 2가지 시나리오 분석을 제시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정보보호 현황 및 인식의 변화 분석 (Information Security and Its Awareness in Local Governments)

  • 노재인;서진완
    • 정보화정책
    • /
    • 제23권1호
    • /
    • pp.20-37
    • /
    • 2016
  • 정보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각종 사건들이 증가하면서 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 또한 강조되어 왔다. 그동안 정부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 관련 사건들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부기관 중에서 시민들과 가장 먼저 접촉하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정부기관의 정보보호 현실에 있어서 이와 같은 모순적 상황이 발생하는 원인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보호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보보호와 관련한 제도, 예산 인력, 그리고 담당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그동안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정부차원의 제도 및 예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변화는 미미했으며, 담당공무원들의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도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