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formation Security

Search Result 17,51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스마트그리드 사이버 보안 추진 현황

  • Lee, Gun-Hee;Seo, Jung-Taek;Lee, Cheol-Won
    • Review of KIISC
    • /
    • v.20 no.5
    • /
    • pp.7-13
    • /
    • 2010
  • 아날로그 기반의 전력 시스템과 디지털 기반의 IT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그리드는 최근 가장 주목받는 분야 중의 하나이며, 이것은 기존의 전력 생산, 소비, 운반 프로세스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효율의 극대화를 추구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는 기존의 아날로그 기반의 전력 시스템에서 문제가 되지 않았던 부분이 디지털 기반의 IT 기술과 융합되면서 새로운 보안 위협플로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환경의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이러한 보안 위협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술의 동향을 살펴본다. 암호화된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술은 최근 발생한 수많은 데이터베이스 유출 사건을 계기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이다.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보안대책 현황

  • Choi, Jae-Duck;Seo, Jung-Taek;Lee, Cheol-Won
    • Review of KIISC
    • /
    • v.20 no.5
    • /
    • pp.14-19
    • /
    • 2010
  • 지난해 12월 세계 최대 최첨단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조기 구축을 목표로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사업이 시작되었다. 실증단지 사업은 전력재판매, 전기자동차 운행, 무정전 등의 신전력 서비스로 새로운 생활상을 보여주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과 융합된 전력망의 사이버 보안위협이 크게 이슈화되면서, 실증단지 사이버 보안대책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실증단지 컨소시엄 추진 현황 및 네트워크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보안대책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실증단지 사업 보안대책은 보안센터 및 보안WG 구성을 통한 총체적인 보안대책 마련 및 지원, 실증단지 보안지침 및 보안가이드라인 제시, 각 운영센터별 보안대책 수립 및 이행 등 다각도로 추진되고 있다.

스마트미터 보안 연구

  • NamGoong, Wan;Jo, Hyo-Jin;Cho, Kwan-Tae;Lee, Dong-Hoon
    • Review of KIISC
    • /
    • v.20 no.5
    • /
    • pp.20-30
    • /
    • 2010
  • 최근 기존의 전력시스템과 IT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지능형 전력시스템인 스마트그리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구성요소인 스마트미터는 실시간으로 사용되는 에너지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에너지공급업체는 스마트미터를 이용한 수요 반응 기술(Demand Response)을 통해 소비자의 능동적인 전력시장 참여를 유도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미터는 기존의 네트워크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강건한 보안메커니즘을 통해서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 주요 국가에서의 스마트미터 보급 동향과 스마트미터가 가지고 있는 보안 위협들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기술한다.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암호화된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술 동향 분석

  • Kim, Gi-Sung;Kim, Dong-Min;Noh, Geon-Tae;Jeong, Ik-Rae
    • Review of KIISC
    • /
    • v.20 no.5
    • /
    • pp.31-40
    • /
    • 2010
  • 아날로그 기반의 전력 시스템과 디지털 기반의 IT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그리드는 최근 가장 주목받는 분야 중의 하나이며, 이것은 기존의 전력 생산, 소비, 운반 프로세스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효율의 극대화를 추구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는 기존의 아날로그 기반의 전력 시스템에서 문제가 되지 않았던 부분이 디지털 기반의 IT 기술과 융합되면서 새로운 보안 위협들로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환경의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이러한 보안 위협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술의 동향을 살펴본다. 암호화된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술은 최근 발생한 수많은 데이터베이스 유출 사건을 계기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이다.

자율규제 환경에서의 정보보호 혁신을 위한 고려사항

  • Kim, Jungduk;Kim, Bokyung;Park, Su Hyung;Kim, Kunwoo
    • Review of KIISC
    • /
    • v.25 no.4
    • /
    • pp.63-68
    • /
    • 2015
  • IT 기술의 발전과 법 규제 등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정보보호 접근방법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정보보호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의 발전 속도는 IT 기술의 급속한 변화를 따라가기 어려운 실정이며, 끊임없이 발생하는 보안사고는 예방 중심 보안체계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금융권에서부터 자율규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정보보호의 효율성과 효과성뿐만 아니라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관점에서의 새로운 접근방법이 요구되어진다. 본 고에서는 정보보호 혁신 모델을 통하여 자율규제 환경에서의 정보보호의 새로운 접근방법 구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한다.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별 보안 표준화 동향

  • Lee, Gunhee
    • Review of KIISC
    • /
    • v.26 no.4
    • /
    • pp.47-54
    • /
    • 2016
  •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 해결의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스마트그리드 구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를 통해서 신재생 에너지원을 사용하고, 전기 사용의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마트그리드는 다양한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사용하므로 현재 인터넷 및 사물인터넷 등에서 지닌 사이버 보안 문제를 동일하게 가지게 되며, 피해 발생 시 파급효과는 일반 인터넷 서비스와는 비교를 할 수 없다. 이에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보안 강화 방안에 대한 고민은 연구개발, 정책, 표준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그리드 보안기술에 대한 국내 외 표준화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그리드 구축 시 참조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향후 국내 스마트그리드에도 표준화된 보안 기술이 적용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온라인 아동 보호

  • Nah, Jae Hoon;Lee, Sang-Woo;Na, Jung Chan;Kim, Jeong Nyeo;KIM, TAE KYUNG
    • Review of KIISC
    • /
    • v.25 no.4
    • /
    • pp.32-3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TU-T, ISO/IEC JTC1 SC27, GSMA, 및 OECD에서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 아동 및 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 ITU-T SG17 및 ISO/IEC JTC1 SC27에서 온라인 아동 보호 표준과 관련하여 우리나라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ITU-T SG17에서는 새로운 국제표준 제정을 위해 계속적으로 기고서를 제출하고 있다. 또한 ISO/IEC JTC1 SC27에서는 2013년 10월 송도회의에서 연령검증이 SP(Study Period) 아이템으로 선정되었으며, 2015년 4월 회의에서 Anonymous attribute assurance 제목의 SP로 진행 되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 유해정보 차단 및 안전한 이용자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아동 보호 표준에 대한 국제 및 국내표준의 제정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표준의 개발을 위해서는 게임업체 및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정보보안경영 전문가 자격요건

  • Oh, Kyeong Hee
    • Review of KIISC
    • /
    • v.25 no.4
    • /
    • pp.51-56
    • /
    • 2015
  • 적절한 능력을 보유한 정보보안경영 전문가를 확보하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많은 조직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정보보안 경영체계 관련 표준을 다루는 ISO/IEC JTC 1 SC 27/WG 1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다루기 위하여 2014년 10월 ISO/IEC 27021 정보보안경영 전문가 자격 요건에 대한 국제표준을 개시하였다. 9월까지 2차 WD가 개발될 예정인 본 표준은 2년간의 연구기간을 거치면서 표준의 범위에 관해 이미 많은 논란을 거쳤으며, 현재는 정보보안경영 전문가가 보유해야 할 비즈니스 관련 전문성에 대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표준이 개시되기까지의 배경과 진행 현황, 주요 현안들을 살펴본다. 본 표준은 국제 정보보안 인력 및 교육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해외의 대응을 살펴보고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국내 보안 전문가 및 인력 양성 기관들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한다.

ITU-T SG17(보안) 국제표준화 동향

  • Oh, Heung-Ryong;YOUM, HeungYoul
    • Review of KIISC
    • /
    • v.26 no.4
    • /
    • pp.22-27
    • /
    • 2016
  •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UN 산하에 신설된 국제기구로써, 산하에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전기통신개발부문(ITU-D), 그리고 전파통신 부문(ITU-R) 등 3개의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2]. ITU-T는 역할과 임무에 따라 11개의 연구반 (SG, study group)을 구성하고 있으며, 각 업무에 맞는 선두 그룹(Lead Study Group)을 지정하여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이중 SG17(보안)은 전기통신 분야 정보보호 국제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다[2]. 본 논문에서는 ITU-T 내에 정보보호 국제표준화 활동에 대한 상위수준의 PP-14 결의(Resolution) 분석과 SG17 국제표준화 활동의 최신 동향 및 차기 연구회기(2017-2020) 구조조정 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개인정보보호 국제표준화 분석

  • YOUM, HeungYoul
    • Review of KIISC
    • /
    • v.25 no.4
    • /
    • pp.6-10
    • /
    • 2015
  • 기업에 의해 수집되어 관리되고 있는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서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관리체계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1,2]. 국제표준화위원회/전기위원회 합동위원회 1의 정보보호 기술연구반 아이덴터티 관리 및 프라이버시 작업반 (ISO/IEC JTC 1/SC 27/WG 5)에서는 기업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원칙을 제시하고, 개인정보보호 위험 평가 지침을 제시하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각종 통제를 제시하기 위한 국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18]. 정보보호관리체계 작업반(WG 1)에서는 2013년부터 정보보호관리 요구사항을 다룬 ISO/IEC 27001[6]을 이용해 여러 섹터에 적용되는 정보보호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요구사항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반 1과 작업반 5에서 수행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국제 표준화 활동의 동향을 살펴보고,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국제 표준의 배열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