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Filtering

검색결과 3,003건 처리시간 0.023초

잡음 제거를 위한 윤곽선 보존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our-Preserving Image Filtering for Noise Removal)

  • 유충웅;유대현;배강열
    • 전자공학회논문지T
    • /
    • 제36T권4호
    • /
    • pp.24-29
    • /
    • 1999
  • In this paper, a simple contour-preserving filtering algorithm is proposed. The goal of the contour-preserving filtering method is to remove noise ad granularity as the preprocessing for the image segmentation procedure. Our method finds edge map and separates the image into the edge region and the non-edge region using this edge map. For the non-edge region, typical smoothing filters could be used to remove the noise and the small areas during the segmentation procedure. The result of simulation shows that our method is slightly better than the typical methods such as the median filtering and gradient inverse weighted filtering in the point of view of analysis of variance (ANOVA).

  • PDF

협업 필터링 개선을 위한 베이지안 모형 개발 (Simple Bayesian Model for Improvement of Collaborative Filtering)

  • 이영찬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239
    • /
    • 2005
  • Collaborative-filtering-enabled Web sites that recommend books, CDs, movies, and so on, have become very popular on the Internet. Such sites recommend items to a user on the basis of the opinions of other users with similar tastes. This paper discuss an approach to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the Simple Bayesian and apply this model to two variants of the collaborative filtering. One is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which makes predictions based on the users' similarities. The other is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which makes predictions based on the items' similarities. To evaluate the proposed algorithms, this paper used a database of movie recommendation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Bayesian approaches outperform typical correlation-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s.

  • PDF

Analyzing the Effect of Lexical and Conceptual Information in Spam-mail Filtering System

  • Kang Sin-Jae;Kim Jong-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05-109
    • /
    • 2006
  •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a two-phase spam-mail filtering system based on the lexical and conceptual information. There are two kinds of information that can distinguish the spam mail from the ham (non-spam) mail. The definite information is the mail sender's information, URL, a certain spam keyword list, and the less definite information is the word list and concept codes extracted from the mail body. We first classified the spam mail by using the definite information, and then used the less definite information. We used the lexical information and concept codes contained in the email body for SVM learning in the 2nd phase.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ham misclassification rate was reduced if more lexical information was used as features, and the spam misclassification rate was reduced when the concept codes were included in features as well.

배전자동화 중앙장치에서 필터링 알고리즘을 통한 고장표시 오류 개선방법 (An Improved Method of Fault Indication Information Using Filtering Algorithm)

  • 서정수;김형승;임성일;최면송;이승재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10호
    • /
    • pp.1418-1425
    • /
    • 2015
  • In this paper, an filtering method of FI(Fault Ind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s is proposed for the present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In order to find fault area, correct FI information should be generated. But when a single line-to-ground fault occurs, FI information is generated in downside of the fault in some circumstance because existing FI algorithm considers only magnitude. These wrong FI information can be removed by changing existing algorithm. An improved algorithm considers both the direction of zero-sequence current and the phase of three-phase current&voltage. But many FRTUs are distributed in DAS and Changing the algorithm all of FRTU will spend a lot of time and cost. On the other hand, an filtering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can substitute for it. The filtering algorithm also considers both the direction of zero-sequence current and the phase of three-phase current&voltage. In case study,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shown the reasonability in filtering the fault indication information.

인스타그램 기반의 전이학습과 게시글 메타 정보를 활용한 페이스북 스팸 게시글 판별 (Facebook Spam Post Filtering based on Instagram-based Transfer Learning and Meta Information of Posts)

  • 김준홍;서덕성;김해동;강필성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2-202
    • /
    • 2017
  • This study develops a text spam filtering system for Facebook based on two variable categories: keywords learned from Instagram and meta-information of Facebook posts. Since there is no explicit labels for spam/ham posts, we utilize hash tags in Instagram to train classification models. In addition, the filtering accuracy is enhanced by considering meta-information of Facebook posts. To verify the proposed filtering system, we conduct an empirical experiment based on a total of 1,795,067 and 761,861 Facebook and Instagram documents, respectively. Employing random forest as a base classification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filtering system yield 99% and 98% in terms of filtering accuracy and F1-measure, respectively. We expect that the proposed filtering scheme can be applied other web services suffering from massive spam posts but no explicit spam labels are available.

음성 정보와 DTW 알고리즘을 활용한 성인 컨텐츠 필터링 (Adult Contents Filtering using Voice Information and DTW)

  • 조정익;이일병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32-434
    • /
    • 2008
  • 본 논문은 필터링 수행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DTW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컨텐츠 필터링은 음성의 특징을 사용해서 컨텐츠를 구분하는 것을 확인하는 기술이다. 즉, 이 방법이 일반 컨텐츠와 성인 컨텐츠를 구분한다. 음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 컨텐츠를 필터링하는데 있어서 기여를 할 수 있다. 즉, DTW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필터링 인식률을 향상하는 방법이라고 제안을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적용 가능성과 일반성을 평가하기위하여 수치적인 예를 적용한다. 제안하는 성질의 정확도를 시험하기 위해서 실험을 제공하였다. 결과적으로 일반 컨텐츠와 성인 컨텐츠 특성의 차이를 알았다. 추후에 이 성질을 필터링 성능 향상에 응용할 수 있다.

  • PDF

효율적인 여과를 위한 그리드 필터를 갖는 R-Tree 의 확장 (Extended R-Tree with Grid Filter for Efficient Filtering)

  • 김재흥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55-170
    • /
    • 2000
  • 공간 인덱스인 R-Tree를 이용하여 조건에 만족하는 공간 객체를 찾기 위해서 MBR의 비교하는 여과 과정만으로는 부정확한 경우가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해당 공간 객체를 읽어 조건과 직접 비교하는 과정, 즉 정제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정제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입출력이 요구되고 고비용 공간 연상을 수행해야 하므로 이는 검색 비용이 커지는 요인이 된다. 그래서, 여과 과정후의 후보 객체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2단계 여과 기법들이 연구되었지만, 여과 효율이 떨어지거나, 추가로 데이터를 유지해야하거나, 원래 객체의 정보를 잃어버려 객체들을 재구성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차 여과 과정에서 공간 객체의 존재여부를 저장하는 진위 테이블인 그리드 필터를 이용하여 간단한 논리 연산만으로 공간객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된 R-Tree를 제안한다. 그러므로, 그리드 필터를 가지는 확장된 R-Tree 는 효율적인 이차 여과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여과를 위한 연산비용이 작고, 근사의 질이 높아 여과 효율이 우수하다.

  • PDF

P2P 모바일 에이전트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협력적 필터링 기법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Using Context of P2P Mobile Agents)

  • 이세일;이상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43-648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지능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컨텍스트 정보의 효과적인 필터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컨텍스트 정보의 필터링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컨텍스트 정보의 필터링을 위해서는 전자상거래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협력적 필터링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협력적 필터링을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필터링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기 평가 문제, 희소성 문제, 축적된 자료의 문제 등이 해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텍스트 정보의 타입을 이용한 협력적 필터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필터링 기법을 P2P 모바일 에이전트 시스템인 MAUCA에 적용해 본 결과, 서비스 지원 성능 평가 면에서 평균적으로 7.7% 정도 우수함을 보였다.

사건트래킹과 정보필터링 기법의 사건검색 성능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vent-Retrieval Performances of Event Tracking and Information Filtering)

  • 정영미;장지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1-127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사건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사건트래킹 기법이 과연 최신 사건 정보를 검색함에 있어 기존의 정보필터링 기법보다 성능이 우수한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특정 사건에 관한 최신 기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기법을 찾아내기 위하여 kNN(k-Nearest Neighbors) 분류기를 응용한 사건트래킹 기법과 질의기반 정보필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사건검색 실험을 수행한 후 두 기법의 검색 성능을 비교하였다. 사건트래킹 실험은 초기의 고정 학습문서 집합을 사용한 사건트래킹과 트래킹 과정에서 변화하는 동적 학습문서 집합을 사용한 사건트래킹의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정보필터링 실험도 초기질의를 사용한 정보 필터링과 필터링 과정에서 계속 수정되는 질의를 사용한 정보필터링의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사건트래킹 기법에서는 고정 학습문서 집합을 사용한 경우가 동적 학습문서 집합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정보필터링 기법에서는 초기질의를 사용한 경우가 수정질의를 사용한 경우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고정 학습문서 집합을 사용한 사건트래킹과 초기질의를 사용한 정보필터링을 비교한 결과 정보필터링 기법이 사건트래킹 기법에 비해 더 좋은 사건검색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DCT 영역에서의 2차원 분리 대칭 선형 필터링 (DCT Domain Separable Symmetric 2-D Linear Filtering)

  • 임창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5C호
    • /
    • pp.461-46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DCT 영역에서의 효과적인 분리 대칭 선형 필터링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2차원 분리 선형 필터링을 DCT 영역에서의 1차원 필터링이 연결된 형태로 분해한다. 필터 계수가 대칭적일 때, DCT 영역의 필터링행렬의 특별한 성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DCT 영역에서의 2차원 필터링을 수행한다. 제안된 방법은 이전의 DCT 영역에서의 선형 필터링 방법에 비해서 일반적인 DCT 계수들이 가지고 있는 희소성을 고려할 때,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더 적은 수의 연산을 요구한다. 그리고 제안된 방식은 간단하고 규칙적인 연산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VLSI 구현에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