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검색결과 265,085건 처리시간 0.206초

21 세기 한국 농촌지도사업의 비전과 발전과제 (Vision and Developmental Tasks for Korea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for the 21 st Century)

  • 이수철;이채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1호
    • /
    • pp.101-119
    • /
    • 2000
  •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Korea have accomplished a significant role in self- sufficiency of rice, a national staple food, through green revolution in 1970's; supplying green vegetables even during the winter season through white revolution in 1980's; and establishing technical agriculture by organizing rural leaders and 4-H members. In 1990s changes were made in international situations under the Uruguay Round multilateral trade negotiations and inauguration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This was followed by localization of the extension staffs and the functions of extension services in Korea changed dramatically from nation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s. Thus, a weakened national function resulted in loosening of the linkages of research and extension i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extension offices. Difficulties were reported in diffusion of new agricultural technology and efficient management of extension personnel. Developmental tasks for better extension services for the 21st century in Korea would include recovering national functions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developing a new paradigm for extension service. This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measures; 1)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should be adapted to involve national as well as local governments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 2) The target groups for extension service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farmers, noel residents as well as urban consumers. 3) The role of the extension service should cover agricultural technological diffusion of innovations as well as managerial skills and leadership development for rural organizations. 4) Extension services should be introduced to small farmers as well as consultation services for advanced farms. Diversified approaches should be employed for mama effective services. 5) Pre-service as well as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secure better extension educators equipped with knowledge, understanding and abilities on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agricultural philosophy, instructional methods and communication skills.

  • PDF

농민조직의 리더십 유형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dership Style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Organization in Korea)

  • 김성수;최민호;정지웅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4권1호
    • /
    • pp.73-8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dership style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organization in Korea.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 1) identify the leadership style of agricultural organization though literature review, 2) survey the members' opinions about their leadership style, 3) examine the leader's self-estimation of their leadership style, 4) identify the desirable leadership style items of the leaders and members, 5) suggest effective way to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style.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otal of 715 farmers were surveyed to collect data, and 501 responded. The statistical techniques applied on the data are frequency, percentile,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utilizing the SPSS/WIN,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at .05 level.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1) the leaders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agricultural organizations were not enough to satisfy the members, 2) members believed the leaders make somewhat arbitrary decisions, 3) the leaders of the organizations had difficulties to coordinate the different opinions of the members, and 4) the leaders of the organizations felt the need of skills and information on leadership style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organization. For improvement of leadership for agricultural organization, this study suggests; 1) the mor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made and practiced to make their leadership special, 2) all members should make much efforts to have channels for rational communication, 3) the leaders have to give members well-polished incentives for active participation, 4) more governmental support should be given to empower those organizations, and 5) the agricultural organizations, universities and government must establish a strong coordinating system to realize above suggestions.

  • PDF

일부(一部) 농촌주민(農村住民)의 상병현황조사(傷病現況調査)와 조사기법(調査技法)의 비교연구(比較硏究) (A Study on the morbid status of a rural area and comparison of its study methodology)

  • 이은일;민재기;송동빈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9권1호
    • /
    • pp.39-45
    • /
    • 1984
  • This research was done to gain the health information in one of the target areas(rural area) of the Korea University Community Health Project, and to improve and standardize the methodology of the health interview survey. There were two types of questions;one was the simple open-ended question and the other was check list in the interview survey for a total of 1,406 inhabitants. And so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above survey was analysed. The results as follows; 1) The morbidity rate in general was 11.2% by simple open-ended question and 32.5% by check list during recent 20 days in interview method. 2) Women had higher morbidity rate in both kinds of method. 3) The most prevalent diseases in the interview method using check list were the one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22.5%), and diseases of the respiratory system (19.8%) and digestive system (13.7%) were in order of frequency. 4) By the position in the family, housewives had highest morbidity rate in the interview method unrespectedly, and the reason seemed that the respondents were houseweives themselves and the morbidity rate was the one by spell not by person. But morbidity rate by the socio-economic statu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methods. 5) The agreement rate on simple open-ended question and check list was 72.5%, but if limiting respondents themselves only, the rate was falled to 54%. 6) The morbidities were diverse in the review of the results of previous morbidity surveies, but the morbidity rate was higher and less variable in case of using check list and getting the replies individually than using simple open-ended question and proxy respondents.

  • PDF

웹 코스웨어 개발·보급·활용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중심으로 (An Analysis of Web Courseware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Usage Status in Elementary School)

  • 이미자;김인숙;박승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71-83
    • /
    • 200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교육용 웹코스웨어 개발 보급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실태분석을 기초로 웹코스웨어 개발 보급 활용에 관한 문제점 및 발전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웹코스웨어 개발 보급 실태 분석을 위해 시 도 교육청 담당 장학사와 민간업체 개발자 등 52명을 선정하였고 활용 실태 분석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 529명과 학생 527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현재까지 개발된 웹코스웨어는 수량적으로 매우 부족하였다. 웹코스웨어 연구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민간업체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하여 공공기관과 민간업체간의 균형 있는 개발을 유도해야 한다. 둘째, 개발된 웹코스웨어는 교육과정 및 현장여건과의 연계성이 매우 적었다. 웹코스웨어의 연구 개발과정에 교사의 참여를 더욱 더욱 높여야 한다고 지적되었다. 셋째, 웹코스웨어 활용정도는 미흡했으며 주된 이유는 개발된 자료 홍보 미흡과 교사의 활용 능력 부족이었다. 정보화관련 연수를 하드웨어와 컴퓨터소양 중심에서 교수-학습에 웹코스웨어를 포함한 정보통신기술활용 수업 중심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

  • PDF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학습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프로젝트 완성 능력의 차이 검증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Project Completing Abilities Depending on a Learning Style using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 장윤재;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2
    • /
    • 2011
  •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이하 EPL)는 많은 연구를 통해 사고를 확장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개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EPL의 다양한 적용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고 있으나, EPL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EPL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대학교 4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양식에 따른 프로젝트 완성 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정보처리방법에 따라 프로젝트 완성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반성적 성찰을 선호하는 학습자의 점수가 높았다. 둘째, 학습양식에 따라서는 분산자 유형 학습자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EPL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프로젝트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요소 탐색을 통해 학습자들이 구현할 아이디어에 대한 반성적 성찰 활동에 대한 지도와 구체적인 계획을 통한 구현 학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PDF

일반대학에서 교양 e-러닝 강좌의 중도탈락 예측모형 개발과 조기 판별 가능성 탐색 (Dropout Prediction Modeling and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of Early Detection in e-Learning Courses)

  • 유지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14
  • e-러닝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학습행동이 학습관리시스템(LMS)에 자동으로 기록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업과 학습성과 향상에 활용하는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적 접근이 증가하고 있다. 중도탈락은 e-러닝에서 지속되어 온 문제로, 본 연구는 일반대학 e-러닝 강좌에서 LMS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중도탈락 예측 모형을 구축하여 e-러닝 중도탈락 처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내 일반대학에서 운영되는 교양 e-러닝 강좌를 편의표집하고, 이 강좌를 수강하는 578명의 자료로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차별로 계획된 학습을 규칙적으로 완료하는 출석과 총 학습시간이 중도탈락 예측에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분석되었고, 이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전체적으로 96%의 정확도로 수강완료자와 중도탈락자를 구분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중도탈락을 결정하기 이전 시점에서 이 모형을 적용하여 중도탈락 조기 판별 가능성을 탐색하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이 모형의 잠재적 활용가치를 논의하였다.

  • PDF

부모의 관심과 문화자본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 형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s concern and cultural capital on Internet using behaviors of primary school students)

  • 이경숙;박인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23-1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실시된 한국청소년패널조사를 통해 수집된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모의 관심과 문화자본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부모의 아동에 대한 관심 정도는 아동의 인터넷 사용형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부모의 관심 정도가 컴퓨터 이용 형태에 차이를 가져온다는 점이다. 게임 및 오락 사용 정도는 부모의 관심에 반비례하여 줄어드는 반면, 학습 및 정보를 찾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은 증가한다. 또한 문화자본은 직접 간접적으로 아동의 인터넷 사용 형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문화자본은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고, 인터넷 대신 여가 시간을 보내는 방법을 부모로부터 배우고 또래들과의 활동으로 사회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하기 때문에 인터넷을 대체활동으로 선택할 필요성이 줄어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PDF

융합적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학생용 CT 기반 융합인재교육(CT-STEAM)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T-STEAM Education Program Enhancing Integrated Thinking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 함성진;김순화;박세영;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1-91
    • /
    • 2014
  • 기존의 과학교육이 지닌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2011년부터 우리 교육현장에 STEAM이 도입되었다. 하지만, 급속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각종 스마트기기와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교육용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될 미래의 학교 모습은 이에 걸맞은 새로운 형태의 STEAM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본 연구에서는 각종 Computing 기기를 활용하여 현실 세계의 복잡한 문제를 융합적 사고를 통하여 해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융합인재교육인 CT-STEAM(Computational Thinking & STEAM) 교육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전단계로 CT-STEAM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지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여 정보와 컴퓨터 교육 분야 전문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21세기 미래 학교에서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문제 해결을 도와줄 수 있는 CT와 STEAM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며 향후 융합적 CT 교육을 위한 다양한 수업방법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entoring program assisting freshmen belonging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ree year college to adapt to their major)

  • 서혜정;원계선;임진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01-23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을 돕기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신입생의 학과 적응에 대한 어려움의 목록을 추출하기 위해 focus group 인터뷰를 하였다. 이후, 신입생의 학과적응을 도와주기 위한 방법에 대해 학년별로 브레인스토밍과 서술식 질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어려움은 개인 내 어려움, 대인간 어려움, 지원체계에 대한 것이었다. 신입생의 어려움을 돕기 위해서는 신입생 겪는 어려움을 해소시키는 것과 그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정보 안내가 필요하였다.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신입생이 겪는 학과 적응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내용과 신입생에게 필요한 정보 안내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그 내용은 시간 관리, 학업 활동, 사회적 관계 형성, 진로 및 취업 준비, 교과 외 활동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3D Surface Representation and Manipulation Scheme for Web-based 3D Geo-Processing

  • Choe, Seung-Keol;Kim, Kyong-Ho;Lee, Jong-Hun;Yang, Young-Kyu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요약문
    • /
    • pp.66-71
    • /
    • 1999
  • For given 3D geographic data which is usually of DEM(Data Elevation Model) format, we have to represent and manipulate the data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e have to draw a part of them in drawing canvas. To do this we give users a way of selecting area they want to visualize. And we have to give a base tool for users to select the local area which can be chosen for some geographic ope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3D data processing method for representation and manipulation. The method utilizes the major properties of DEM and TIN(Triangular Irregular Network), respectively. Furthermore, by approximating DEM with a TIN of an appropriate resolution, we can support a fast and realistic surface modeling. We implement the structure with the following 4 level stages. The first is an optimal resolution of DEM which represent all of wide range of geographic data. The second is the full resolution DEM which is a subarea of original data generated by user's selection in our implemeatation. The third is the TIN approximation of this data with a proper resolution determined by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camera. And the last step is multi-resolution TIN data whose resolution is dynamically decided by considering which direction user take notice currently. Specialty, the TIN of the last step is designed for realtime camera navigation. By using the structure we implemented realtime surface clipping, efficient approximation of height field and the locally detailed surface LOD(Level of Detail). We used the initial 10-meter sampling DEM data of Seoul, KOREA and implement the structure to the 3D Virtual GIS based on the Intern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