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cs education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7초

정보 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 정의 (Cognitive Components Definition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Informatics Education)

  • 김종혜;정회강;김한성;김현철;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12
    • /
    • 2008
  • 학교의 교과 교육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교육은 중요하다. 특히 정보 교육은 일반적인 문제해결능력 뿐 아니라, 컴퓨터를 이용한 문제해결능력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정보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는 문제해결능력과 창의력의 구성요소를 교차한 결과를 이용하고,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문제 이해 및 분석'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정교성, 민감성, 재구성력이 선정되었고, '문제 해결 방안 탐색'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선정되었다. '문제 해결 방안 설계' 단계와 '구현'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정교성이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융통성, 정교성이 선정되었다.

  • PDF

지적장애학생의 정보교육을 위한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의 적용 (Application of Unplugged Learning Method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Informatics Education)

  • 김정일;서영민;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89-196
    • /
    • 2012
  •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이 특수학교 정보처리 교과에서 기존의 강의와 실습을 병행한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 비해 학업 성취도 면에서 높은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언플러그드 컴퓨터과학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지적장애학생들의 정보처리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학습 자료와 방법을 개발하고, 특수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수학교 전공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방식의 정보처리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학생들은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에 대하여 매우 높은 호기심과 흥미를 보이며, 자발적으로 협력하여 과제에 참여하였고, 정보교육 학업 성취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크 패트릭 모형을 이용한 임플란트 연수 교육 효과 평가 (Evaluation of outcomes of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in implant dentistry using Kirkpatrick's four-level evaluation model)

  • 윤경인;최형길;김명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호
    • /
    • pp.27-38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outcomes of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in implant dentistry using Kirkpatrick's four-level evaluation model. Material and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dentists who attended a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in implant dentistry, 2008~2012. They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at least 6 months after its completion. Results: Mean ages of total 23 dentist was $44.8^{\circ}{\ae}8.2$. Mean period after completion of education was $2.7^{\circ}{\ae}1.2$. Knowledge (level 2) (r=0.71, p<0.01) and behavior (level 3) (r=0.68, p<0.01)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pic and methods of education in reaction (level 1).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nowledge (r=0.79, p<0.01). Result (level 4)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nowledge (r=0.64, p<0.01) and behavior (r=0.86, p<0.01). Conclusion: Reaction affects on knowledge, behavior and result in order.

  • PDF

$21^{st}$ Century Skills와 Computational Thinking 관점에서의 '정보'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f 'Informatic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21^{st}$ Century Skills and Computational Thinking)

  • 최숙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9-3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21^{st}$ Century Skills와 Computational thinking의 관점에서 컴퓨터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1^{st}$ Century Skills는 현세계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한 필수 능력으로 학습과 관련하여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통신 능력과 협동 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Computational thinking은 오늘날 융합 시대에 요구되는 기초 능력이라 할 수 있으며, 컴퓨터과학 교육의 핵심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21^{st}$ Century Skills와 Computational thinking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것들이 현재 중 고등학교에서 컴퓨터교육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정보' 과목의 교육과정과 어떻게 관련이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 중 고에서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을 도출해냈다.

  • PDF

평등과 수월성을 고려한 중국의 정보교육과정 (China's informatics curriculum to consider equality and excellence)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1-20
    • /
    • 2015
  • 국가 교육과정의 구성은 교육 전반의 평등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의 평등은 획일적인 동일성 뿐 아니라 공정성의 관점에서도 논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정보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평등과 수월성을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중국은 2000년 개정된 정보교육과정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국가 수준에서는 교수내용과 평가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 제공되며, 그 내용에 근거하여 각 지역 교육과정이 완성된다. 중국은 의무교육과정에서는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을 고려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요구와 능력을 반영할 수 있는 수월성의 관점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진행 중인 S/W 교육에 대한 논의와 교육과정 구성에서 어떤 숙의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공립초등학교와 사립초등학교의 정보교육 시수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ng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Hours between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 최문석;신승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107-11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하기 위해 얼마나 시수가 필요할지 알아보기 위해 서울 소재 사립초등학교의 정보교육 시수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실시된 2022개정교육과정 온라인 토론참여 및 조사결과 안내에 따르면 학생, 학부모가 정보교육이 강화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공립초등학교에서의 정보교육은 2015개정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실과교과에 별도 단원으로 구성되어 17시간 이상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서울에 있는 사립초등학교 28개의 평균 정보교육 시수를 조사한 결과 6년 동안 약 152시간의 정보교육시수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공립초등학교와 약 9배정도의 교육시수 격차가 발생한 것이다. 인공지능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정보교육시수는 학생들의 미래역량강화를 위해 꼭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초등학교급에서도 정보교육을 하나의 교과로 독립하고 시수를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PDF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의 교육방안 (Education plan for informatics gifted using SMART education methods)

  • 박재형;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447-449
    • /
    • 2014
  • 스마트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활용방식의 변화,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정보영재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적절한교육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정보영재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은 학습활동에 필요한 문제해결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협업 능력 등 미래사회에 필요한 학습자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미래사회에 필요한 협업, 의사소통능력, 사고력,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 정보영재 학생을 위한 SMART 교수학습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Framework

  • Choe, Hyun-Jong;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77-182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framework which provides three steps of computational thinking process and three kind of activities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learning in class. The key idea of this framework is to provide the guidelines of designing activity steps of teaching and learn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class using three axles of framework such as problem area, process of learning, and steps of computational thinking process. After designing a framework, we show that sample course of programming education program containing contents of Informatics subject in middle school by implementing our framework. Proposed framework and programming edu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will be the good case study and guide to implement computational thinking concerned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econdary, and universities.

아두이노를 활용한 STEAM 커리큘럼 설계, 적용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TEAM Curriculum Utilizing Arduino)

  • 심규헌;이상욱;서태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3-32
    • /
    • 2014
  •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문제들은 정보 논리적 사고를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정보 논리적 사고력은 정보 교과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정보 교과 STEAM 커리큘럼을 설계하였고 이를 적용 및 평가하였다. 커리큘럼은 자기 주도적 학습과 조별 학습을 통하여 학습자 간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과학, 음악, 정보 교과의 관련 지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실험은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정보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두이노 보드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아두이노를 활용한 수업 후에 컴퓨터 과목에 대한 관심도와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도가 증가하였다. 75%의 학생들이 컴퓨터에 대한 흥미가 늘어났고 93%의 학생들이 아두이노를 활용한 수업에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연구 결과의 유효성은 t-test를 통해 입증하였다.

  • PDF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CK and Possibility of Teaching about Informatic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황준영;김자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3-73
    • /
    • 2017
  •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17시간의 정보 수업을 필수로 진행하도록 하고, 교수-학습방법으로 언플러그드를 권장하고 있다. 언플러그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높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인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초등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은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수내용지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상관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